2차 공공기관 이전...선제 대응 본격화

입력 2019.03.29 (23: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멘트]
수도권 공공기관의
2차 지방이전이
본격 추진될 전망입니다.
이른바 혁신도시 시즌2인데요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이전 대상 공공기관을
분류하기 위한
용역에 착수한 가운데
자치단체마다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구병회 기잡니다.

[리포트]


추가 이전 대상으로 거론되는
공공기관은 122곳입니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대형 국책 은행과
대한적십자사, 한국환경공단,
지역난방공사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정부와 여당은
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에 대한 추가 이전 의지를
거듭 강조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해찬 / 더불어민주당 대표
--------------------------
" 새로 보낼 공공기관들을
어디로 보낼까 건가를
검토하는 용역을 하고 있어서
용역결과가 나오면 각 시도와 협의를 해서
판단하겠습니다."

공공기관 이전이 가시화되면서
전국 각 시·도마다
이전 효과가 큰 기관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영남과 호남은 벌써
제3 금융의 중심지를
만들겠다고 나섰고,
충북은 공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충청북도는
충북혁신도시에
공공기업을 수용할 수 있는
25만 제곱미터의
용지가 마련돼 있는 만큼
전담팀을 꾸려
이전 가능한 공공기관에 대한
검토 작업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이제승 /
충북 혁신도시발전 추진단장
-----------------------------------
"지역 산업을 선도하려면 공공기관 중
공기업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첫 번째는 공기업이
추가 이전에 반드시 포함돼야 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고..."

충북은
현재까지 이전한 공공기관 대부분이
연구. 교육기관이어서
성장 거점으로서의
역할이 부족하다고 보고
공공기관 추가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디딤돌로 삼겠다는 전략입니다.

케이비에스 뉴스 구병횝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차 공공기관 이전...선제 대응 본격화
    • 입력 2019-03-29 23:34:45
    뉴스9(청주)
[앵커멘트] 수도권 공공기관의 2차 지방이전이 본격 추진될 전망입니다. 이른바 혁신도시 시즌2인데요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이전 대상 공공기관을 분류하기 위한 용역에 착수한 가운데 자치단체마다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구병회 기잡니다. [리포트] 추가 이전 대상으로 거론되는 공공기관은 122곳입니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대형 국책 은행과 대한적십자사, 한국환경공단, 지역난방공사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재 정부와 여당은 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에 대한 추가 이전 의지를 거듭 강조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해찬 / 더불어민주당 대표 -------------------------- " 새로 보낼 공공기관들을 어디로 보낼까 건가를 검토하는 용역을 하고 있어서 용역결과가 나오면 각 시도와 협의를 해서 판단하겠습니다." 공공기관 이전이 가시화되면서 전국 각 시·도마다 이전 효과가 큰 기관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영남과 호남은 벌써 제3 금융의 중심지를 만들겠다고 나섰고, 충북은 공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충청북도는 충북혁신도시에 공공기업을 수용할 수 있는 25만 제곱미터의 용지가 마련돼 있는 만큼 전담팀을 꾸려 이전 가능한 공공기관에 대한 검토 작업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이제승 / 충북 혁신도시발전 추진단장 ----------------------------------- "지역 산업을 선도하려면 공공기관 중 공기업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첫 번째는 공기업이 추가 이전에 반드시 포함돼야 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고..." 충북은 현재까지 이전한 공공기관 대부분이 연구. 교육기관이어서 성장 거점으로서의 역할이 부족하다고 보고 공공기관 추가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디딤돌로 삼겠다는 전략입니다. 케이비에스 뉴스 구병횝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