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앞으로 5년 동안
현대자동차 직원 만 7천여명이
정년퇴직으로 회사를 떠납니다.
이 빈 자리를 놓고
떠난 수만큼 충원해달라는 노조와
그럴 수 없다는 사측의 갈등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홍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년퇴직으로
늘어나는 빈자리를 어떻게 해야 하나?
최근
현대차 노사의 주된 관심삽니다.
2025년까지
정년이 돼 현대차를 떠나는
직원 수는 만 7천500명,
이 가운데
친환경차 생산 증가와 자동화 설비 확대로
7천 명 분의 일자리는 사라질 전망이라는 데에 노사 양측의 큰 이견이 없습니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내연차보다 구조가 단순해
생산인력이 더 적게 투입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입니다.
남은 만여 명의
일자리에 대해서는 노사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현대차 윤여철 부회장은 최근
"노조 주장대로 정년퇴직으로
줄어드는 인원을
그대로 채워줄 수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사측이 인원을 충원하지 않는 이유는
정규직 대신 비정규직을 늘리기 위한 의도 때문'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녹취]
홍재관 / 현대차 노조 대외협력실장
회사가 인력 감소가 7천 명이 추정된다고 하면 만 명이 있어야 공장이 돌아가는 거 아니에요. 정규직을 안 뽑겠다는 건 비정규, 촉탁직을 쓰겠다는 얘기잖아요. 사회적으로 큰 문제예요.
노조는
최근 제정한 인원 협상 규칙을 근거로
"정년퇴직으로 빈자리는
비정규직이 아닌 정규직으로 채우도록
사측과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업계는
자동차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줄어드는 일자리 규모가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전망합니다.
인원 충원에 대한
갈등은 앞으로 더 첨예해져
현대차 노사관계의
핵심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KBS뉴스, 김홍희입니다.
앞으로 5년 동안
현대자동차 직원 만 7천여명이
정년퇴직으로 회사를 떠납니다.
이 빈 자리를 놓고
떠난 수만큼 충원해달라는 노조와
그럴 수 없다는 사측의 갈등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홍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년퇴직으로
늘어나는 빈자리를 어떻게 해야 하나?
최근
현대차 노사의 주된 관심삽니다.
2025년까지
정년이 돼 현대차를 떠나는
직원 수는 만 7천500명,
이 가운데
친환경차 생산 증가와 자동화 설비 확대로
7천 명 분의 일자리는 사라질 전망이라는 데에 노사 양측의 큰 이견이 없습니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내연차보다 구조가 단순해
생산인력이 더 적게 투입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입니다.
남은 만여 명의
일자리에 대해서는 노사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현대차 윤여철 부회장은 최근
"노조 주장대로 정년퇴직으로
줄어드는 인원을
그대로 채워줄 수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사측이 인원을 충원하지 않는 이유는
정규직 대신 비정규직을 늘리기 위한 의도 때문'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녹취]
홍재관 / 현대차 노조 대외협력실장
회사가 인력 감소가 7천 명이 추정된다고 하면 만 명이 있어야 공장이 돌아가는 거 아니에요. 정규직을 안 뽑겠다는 건 비정규, 촉탁직을 쓰겠다는 얘기잖아요. 사회적으로 큰 문제예요.
노조는
최근 제정한 인원 협상 규칙을 근거로
"정년퇴직으로 빈자리는
비정규직이 아닌 정규직으로 채우도록
사측과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업계는
자동차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줄어드는 일자리 규모가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전망합니다.
갈등은 앞으로 더 첨예해져
현대차 노사관계의
핵심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KBS뉴스, 김홍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원해 달라"vs"못 채워준다"
-
- 입력 2019-03-29 23:35:14

[앵커멘트]
앞으로 5년 동안
현대자동차 직원 만 7천여명이
정년퇴직으로 회사를 떠납니다.
이 빈 자리를 놓고
떠난 수만큼 충원해달라는 노조와
그럴 수 없다는 사측의 갈등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홍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년퇴직으로
늘어나는 빈자리를 어떻게 해야 하나?
최근
현대차 노사의 주된 관심삽니다.
2025년까지
정년이 돼 현대차를 떠나는
직원 수는 만 7천500명,
이 가운데
친환경차 생산 증가와 자동화 설비 확대로
7천 명 분의 일자리는 사라질 전망이라는 데에 노사 양측의 큰 이견이 없습니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내연차보다 구조가 단순해
생산인력이 더 적게 투입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입니다.
남은 만여 명의
일자리에 대해서는 노사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현대차 윤여철 부회장은 최근
"노조 주장대로 정년퇴직으로
줄어드는 인원을
그대로 채워줄 수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사측이 인원을 충원하지 않는 이유는
정규직 대신 비정규직을 늘리기 위한 의도 때문'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녹취] 홍재관 / 현대차 노조 대외협력실장 회사가 인력 감소가 7천 명이 추정된다고 하면 만 명이 있어야 공장이 돌아가는 거 아니에요. 정규직을 안 뽑겠다는 건 비정규, 촉탁직을 쓰겠다는 얘기잖아요. 사회적으로 큰 문제예요. 노조는 최근 제정한 인원 협상 규칙을 근거로 "정년퇴직으로 빈자리는 비정규직이 아닌 정규직으로 채우도록 사측과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업계는 자동차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줄어드는 일자리 규모가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전망합니다.인원 충원에 대한
갈등은 앞으로 더 첨예해져
현대차 노사관계의
핵심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KBS뉴스, 김홍희입니다.
[녹취] 홍재관 / 현대차 노조 대외협력실장 회사가 인력 감소가 7천 명이 추정된다고 하면 만 명이 있어야 공장이 돌아가는 거 아니에요. 정규직을 안 뽑겠다는 건 비정규, 촉탁직을 쓰겠다는 얘기잖아요. 사회적으로 큰 문제예요. 노조는 최근 제정한 인원 협상 규칙을 근거로 "정년퇴직으로 빈자리는 비정규직이 아닌 정규직으로 채우도록 사측과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업계는 자동차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줄어드는 일자리 규모가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전망합니다.
-
-
김홍희 기자 moi@kbs.co.kr
김홍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