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환경청의 안동댐 일대
자연환경보전지역 해제
부동의 결정에 대해
지역 사회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에선 그러나,
하류 수질 오염에 대한 우려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하늬 기잡니다.
[리포트]
"즉각 해제하라, 해제하라!"
안동의 60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범시민 대책위원회가,
대구지방환경청장 앞에서
항의집회를 열었습니다.
앞서 안동시의회는
자연환경보전지역 해제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지난달 내려진
환경청의 해제 부동의 결정에 대한
반발이 이처럼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40년 간,
국토 이용 규제의 최상단인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묶이면서
재산권 침해와 저개발 피해가
심각하다는 주장입니다.
김원일/ 안동시 도시디자인과장[인터뷰]
"소양강 댐 해제 관계를 보면 사실상 억울한 부분이 좀 있고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좀 어필하고 해서 다시 협의할 예정"
하지만, 안동시가 해제 시 난개발이나수질 오염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환경청은,
앞서 자연환경보전지역이 해제된
소양강댐은 군사보호구역이어서
직접비교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안동댐 중금속 오염 논란도
안동댐의 환경 규제를
일괄 해제하는 데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김수동/안동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인터뷰]
"하류지역 주민들의 물을 안전한 물을 만들고 보전하고 재산권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지역 차별을 내세워
반발을 키우기보단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장치를
먼저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환경청의 안동댐 일대
자연환경보전지역 해제
부동의 결정에 대해
지역 사회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에선 그러나,
하류 수질 오염에 대한 우려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하늬 기잡니다.
[리포트]
"즉각 해제하라, 해제하라!"
안동의 60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범시민 대책위원회가,
대구지방환경청장 앞에서
항의집회를 열었습니다.
앞서 안동시의회는
자연환경보전지역 해제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지난달 내려진
환경청의 해제 부동의 결정에 대한
반발이 이처럼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40년 간,
국토 이용 규제의 최상단인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묶이면서
재산권 침해와 저개발 피해가
심각하다는 주장입니다.
김원일/ 안동시 도시디자인과장[인터뷰]
"소양강 댐 해제 관계를 보면 사실상 억울한 부분이 좀 있고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좀 어필하고 해서 다시 협의할 예정"
환경청은,
앞서 자연환경보전지역이 해제된
소양강댐은 군사보호구역이어서
직접비교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안동댐 중금속 오염 논란도
안동댐의 환경 규제를
일괄 해제하는 데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김수동/안동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인터뷰]
"하류지역 주민들의 물을 안전한 물을 만들고 보전하고 재산권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지역 차별을 내세워
반발을 키우기보단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장치를
먼저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슈퍼>'해제 촉구'확산.."오염 저감대책이 먼저"(rep)
-
- 입력 2019-04-01 08:55:10
[앵커멘트]
환경청의 안동댐 일대
자연환경보전지역 해제
부동의 결정에 대해
지역 사회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에선 그러나,
하류 수질 오염에 대한 우려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하늬 기잡니다.
[리포트]
"즉각 해제하라, 해제하라!"
안동의 60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범시민 대책위원회가,
대구지방환경청장 앞에서
항의집회를 열었습니다.
앞서 안동시의회는
자연환경보전지역 해제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지난달 내려진
환경청의 해제 부동의 결정에 대한
반발이 이처럼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40년 간,
국토 이용 규제의 최상단인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묶이면서
재산권 침해와 저개발 피해가
심각하다는 주장입니다.
김원일/ 안동시 도시디자인과장[인터뷰]
"소양강 댐 해제 관계를 보면 사실상 억울한 부분이 좀 있고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좀 어필하고 해서 다시 협의할 예정"
하지만, 안동시가 해제 시 난개발이나수질 오염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환경청은,
앞서 자연환경보전지역이 해제된
소양강댐은 군사보호구역이어서
직접비교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안동댐 중금속 오염 논란도
안동댐의 환경 규제를
일괄 해제하는 데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김수동/안동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인터뷰]
"하류지역 주민들의 물을 안전한 물을 만들고 보전하고 재산권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지역 차별을 내세워
반발을 키우기보단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장치를
먼저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
-
이하늬 기자 hanuy@kbs.co.kr
이하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