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학과서 '선배가 후배에 갑질' 폭로
입력 2019.04.08 (21:35)
수정 2019.04.08 (23: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새학년 새학기가 되면
대학 선배들의 군기잡기 문화가
종종 문제로 떠오르는데요.
이번에는 대전의 한 대학 무용학과에서
선배들이 후배를 집합시키는 등
부당하게 대우했다는 폭로가 나왔습니다.
비난이 커지자 학교에서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이연경 기잡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대학 무용과 학생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익명으로 쓴 글입니다.
정규 수업을 마치고도
공연 연습을 했는데
가족 행사가 있거나 몸이 아파도
빠질 수 없었다,
연습에 빠지면 후배들을 집합시키고
동기들이 올 때까지 고개를 들고
천장을 보게하는 얼차려를 받으며
기다려야 했다는 폭로가 이어집니다.
여기에 신입생은
화장을 할 수 없다거나,
탈의실에 선배가 있을 때는
떠들거나 휴대폰을 만지지 못한다 등
불합리한 규칙을 강요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논란이 확산되자 같은과 고학년 학생들이
잘못이 있었다며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다만 이미 사라진 규칙이
많다는 해명도 함께 내놨습니다.
학교 측은
사실 관계를 확인한 뒤
학칙에 따라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00대 학생처장[녹취]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비합리적이고 부조리한 그런 학과 내 문화가 있다면 개선해 나갈 생각입니다."
대학가가
개성과 능력을 중시하는 문화로
바뀌고 있지만 선배들의 후배 군기잡기가 잊을만하면 불거지면서
대책마련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새학년 새학기가 되면
대학 선배들의 군기잡기 문화가
종종 문제로 떠오르는데요.
이번에는 대전의 한 대학 무용학과에서
선배들이 후배를 집합시키는 등
부당하게 대우했다는 폭로가 나왔습니다.
비난이 커지자 학교에서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이연경 기잡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대학 무용과 학생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익명으로 쓴 글입니다.
정규 수업을 마치고도
공연 연습을 했는데
가족 행사가 있거나 몸이 아파도
빠질 수 없었다,
연습에 빠지면 후배들을 집합시키고
동기들이 올 때까지 고개를 들고
천장을 보게하는 얼차려를 받으며
기다려야 했다는 폭로가 이어집니다.
여기에 신입생은
화장을 할 수 없다거나,
탈의실에 선배가 있을 때는
떠들거나 휴대폰을 만지지 못한다 등
불합리한 규칙을 강요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논란이 확산되자 같은과 고학년 학생들이
잘못이 있었다며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다만 이미 사라진 규칙이
많다는 해명도 함께 내놨습니다.
학교 측은
사실 관계를 확인한 뒤
학칙에 따라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00대 학생처장[녹취]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비합리적이고 부조리한 그런 학과 내 문화가 있다면 개선해 나갈 생각입니다."
대학가가
개성과 능력을 중시하는 문화로
바뀌고 있지만 선배들의 후배 군기잡기가 잊을만하면 불거지면서
대책마련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용학과서 '선배가 후배에 갑질' 폭로
-
- 입력 2019-04-08 21:35:49
- 수정2019-04-08 23:06:06

[앵커멘트]
새학년 새학기가 되면
대학 선배들의 군기잡기 문화가
종종 문제로 떠오르는데요.
이번에는 대전의 한 대학 무용학과에서
선배들이 후배를 집합시키는 등
부당하게 대우했다는 폭로가 나왔습니다.
비난이 커지자 학교에서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이연경 기잡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대학 무용과 학생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익명으로 쓴 글입니다.
정규 수업을 마치고도
공연 연습을 했는데
가족 행사가 있거나 몸이 아파도
빠질 수 없었다,
연습에 빠지면 후배들을 집합시키고
동기들이 올 때까지 고개를 들고
천장을 보게하는 얼차려를 받으며
기다려야 했다는 폭로가 이어집니다.
여기에 신입생은
화장을 할 수 없다거나,
탈의실에 선배가 있을 때는
떠들거나 휴대폰을 만지지 못한다 등
불합리한 규칙을 강요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논란이 확산되자 같은과 고학년 학생들이
잘못이 있었다며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다만 이미 사라진 규칙이
많다는 해명도 함께 내놨습니다.
학교 측은
사실 관계를 확인한 뒤
학칙에 따라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00대 학생처장[녹취]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비합리적이고 부조리한 그런 학과 내 문화가 있다면 개선해 나갈 생각입니다."
대학가가
개성과 능력을 중시하는 문화로
바뀌고 있지만 선배들의 후배 군기잡기가 잊을만하면 불거지면서
대책마련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
-
이연경 기자 yglee@kbs.co.kr
이연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