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교생도 공감대…“100년 전 독립 의지 느껴요”
입력 2019.04.15 (06:45)
수정 2019.04.15 (07: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에 할렘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방문했습니다.
그들이 왜 이곳을 찾았을까요?
뉴욕 김철우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뉴욕 할렘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한 전시회를 찾았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입니다, 제국주의를 딛고 일어선 아프리카 선조들의 역사를 기억하는 학생들.
100년 전 지구 반대편, 한반도를 중심으로 꿈틀거렸던 독립의 기운을 느끼고 공감합니다,
[주니어 켐공/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생 : "둘 다 독립을 위해 싸운 것이죠.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도 강대국 조종 아래에 있었어요."]
BTS 음악 등 K팝에 매료돼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된 학생들도 서사시처럼 펼쳐지는 구한말 격동의 역사에 빠져듭니다,
[라마투 사노구/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생 : "한국 문화의 모든면을 배우고 싶었어요. 언어뿐 아니라 그들의 역사와 그들이 사는 방법 그리고 그들이 싸워서 현재 자리에 서기 까지 말이죠."]
["비폭력, 모든 사람, 정직함."]
학생들은 3.1. 독립 선언서에 들어가 있는 3대 공약을 또박또박 한글로 쓰며 되새겨 봅니다,
[김명교/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 교사 : "한국어를 쓰고있는 한국이란 나라에 관심이 많아 지고, 그 나라가 어떻게 형성이 됐는지 그런 호기심, 그런 갈증을 많이 가지고 있는거 같아요."]
한달 넘게 열린 전시회에 4백명에 가까운 미국 학생들이 찾아 한국 선조들의 독립 의지를 느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에 할렘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방문했습니다.
그들이 왜 이곳을 찾았을까요?
뉴욕 김철우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뉴욕 할렘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한 전시회를 찾았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입니다, 제국주의를 딛고 일어선 아프리카 선조들의 역사를 기억하는 학생들.
100년 전 지구 반대편, 한반도를 중심으로 꿈틀거렸던 독립의 기운을 느끼고 공감합니다,
[주니어 켐공/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생 : "둘 다 독립을 위해 싸운 것이죠.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도 강대국 조종 아래에 있었어요."]
BTS 음악 등 K팝에 매료돼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된 학생들도 서사시처럼 펼쳐지는 구한말 격동의 역사에 빠져듭니다,
[라마투 사노구/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생 : "한국 문화의 모든면을 배우고 싶었어요. 언어뿐 아니라 그들의 역사와 그들이 사는 방법 그리고 그들이 싸워서 현재 자리에 서기 까지 말이죠."]
["비폭력, 모든 사람, 정직함."]
학생들은 3.1. 독립 선언서에 들어가 있는 3대 공약을 또박또박 한글로 쓰며 되새겨 봅니다,
[김명교/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 교사 : "한국어를 쓰고있는 한국이란 나라에 관심이 많아 지고, 그 나라가 어떻게 형성이 됐는지 그런 호기심, 그런 갈증을 많이 가지고 있는거 같아요."]
한달 넘게 열린 전시회에 4백명에 가까운 미국 학생들이 찾아 한국 선조들의 독립 의지를 느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고교생도 공감대…“100년 전 독립 의지 느껴요”
-
- 입력 2019-04-15 06:45:37
- 수정2019-04-15 07:06:33

[앵커]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에 할렘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방문했습니다.
그들이 왜 이곳을 찾았을까요?
뉴욕 김철우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뉴욕 할렘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한 전시회를 찾았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입니다, 제국주의를 딛고 일어선 아프리카 선조들의 역사를 기억하는 학생들.
100년 전 지구 반대편, 한반도를 중심으로 꿈틀거렸던 독립의 기운을 느끼고 공감합니다,
[주니어 켐공/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생 : "둘 다 독립을 위해 싸운 것이죠.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도 강대국 조종 아래에 있었어요."]
BTS 음악 등 K팝에 매료돼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된 학생들도 서사시처럼 펼쳐지는 구한말 격동의 역사에 빠져듭니다,
[라마투 사노구/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생 : "한국 문화의 모든면을 배우고 싶었어요. 언어뿐 아니라 그들의 역사와 그들이 사는 방법 그리고 그들이 싸워서 현재 자리에 서기 까지 말이죠."]
["비폭력, 모든 사람, 정직함."]
학생들은 3.1. 독립 선언서에 들어가 있는 3대 공약을 또박또박 한글로 쓰며 되새겨 봅니다,
[김명교/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 교사 : "한국어를 쓰고있는 한국이란 나라에 관심이 많아 지고, 그 나라가 어떻게 형성이 됐는지 그런 호기심, 그런 갈증을 많이 가지고 있는거 같아요."]
한달 넘게 열린 전시회에 4백명에 가까운 미국 학생들이 찾아 한국 선조들의 독립 의지를 느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에 할렘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방문했습니다.
그들이 왜 이곳을 찾았을까요?
뉴욕 김철우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뉴욕 할렘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한 전시회를 찾았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입니다, 제국주의를 딛고 일어선 아프리카 선조들의 역사를 기억하는 학생들.
100년 전 지구 반대편, 한반도를 중심으로 꿈틀거렸던 독립의 기운을 느끼고 공감합니다,
[주니어 켐공/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생 : "둘 다 독립을 위해 싸운 것이죠.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도 강대국 조종 아래에 있었어요."]
BTS 음악 등 K팝에 매료돼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된 학생들도 서사시처럼 펼쳐지는 구한말 격동의 역사에 빠져듭니다,
[라마투 사노구/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생 : "한국 문화의 모든면을 배우고 싶었어요. 언어뿐 아니라 그들의 역사와 그들이 사는 방법 그리고 그들이 싸워서 현재 자리에 서기 까지 말이죠."]
["비폭력, 모든 사람, 정직함."]
학생들은 3.1. 독립 선언서에 들어가 있는 3대 공약을 또박또박 한글로 쓰며 되새겨 봅니다,
[김명교/데모크라시프렙 할렘 고교 교사 : "한국어를 쓰고있는 한국이란 나라에 관심이 많아 지고, 그 나라가 어떻게 형성이 됐는지 그런 호기심, 그런 갈증을 많이 가지고 있는거 같아요."]
한달 넘게 열린 전시회에 4백명에 가까운 미국 학생들이 찾아 한국 선조들의 독립 의지를 느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
-
김철우 기자 cwkim@kbs.co.kr
김철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임시정부 수립 100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