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견 ‘메이’의 죽음…대학 동물실험 관리 사각지대

입력 2019.04.18 (08:51) 수정 2019.04.18 (0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대 동물실험 뒤 코피를 흘리며 처참한 몰골로 나타난 복제견 메이,

결국 지난 2월, 실험실에서 폐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병천 교수는 사망 원인은 모르지만 부검 결과 특이 소견은 없다고 밝혔는데, 서울대 동물실험윤리위는 메이의 사망 보고를 전혀 받지 못했습니다.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대학 내 동물실험,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대 동물실험을 겪은 복제견 메이의 몰골은 그야말로 처참했습니다.

[검역본부 관계자/음성변조 : "아이구, 다리에 힘이 없어. 나 이런 개 처음 봐."]

메이는 결국 지난 2월 말, 이병천 교수의 실험실에서 폐사했습니다.

이 교수는 메이에게 이유를 모르는 급격한 체중 감소가 나타났고, 부검을 했지만 사망 원인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메이의 사망 관련 내용은 서울대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윤리위 측은 동물실험의 윤리적인 문제는 일차적으로 연구자 책임이라며, 동물의 사인이나 사후 처리까지 보고받지는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실험 중인 동물이 어떻게 죽든 평상시엔 윤리위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더구나 동물 실험 윤리 논란의 당사자인 이병천 교수는 2년 전부터 서울대 실험동물자원 관리원장을 맡아 학교 전체의 실험동물 관리를 총지휘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위원도 함께 맡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 외부 관리 감독도 현재로서는 어려운 상황,

정부가 직접 동물 실험의 윤리성과 적절성 등을 관리 감독하게끔 하는 '실험동물에 관한 법'에는 대학 등 교육기관은 제외돼 있기 때문입니다.

[권유림/변호사 : "실험동물법에 교육기관이나 교육을 위한 실험을 포섭해서 대학 기관 등에서 실험하는 경우에도 실험동물법으로 규제를 받을 수 있도록 법을 강화해서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 대학에서 한 해 실험에 쓰는 동물은 약 100만 마리로, 국내 동물 실험의 34%를 차지합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제견 ‘메이’의 죽음…대학 동물실험 관리 사각지대
    • 입력 2019-04-18 08:54:10
    • 수정2019-04-18 08:56:26
    아침뉴스타임
[앵커]

서울대 동물실험 뒤 코피를 흘리며 처참한 몰골로 나타난 복제견 메이,

결국 지난 2월, 실험실에서 폐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병천 교수는 사망 원인은 모르지만 부검 결과 특이 소견은 없다고 밝혔는데, 서울대 동물실험윤리위는 메이의 사망 보고를 전혀 받지 못했습니다.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대학 내 동물실험,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대 동물실험을 겪은 복제견 메이의 몰골은 그야말로 처참했습니다.

[검역본부 관계자/음성변조 : "아이구, 다리에 힘이 없어. 나 이런 개 처음 봐."]

메이는 결국 지난 2월 말, 이병천 교수의 실험실에서 폐사했습니다.

이 교수는 메이에게 이유를 모르는 급격한 체중 감소가 나타났고, 부검을 했지만 사망 원인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메이의 사망 관련 내용은 서울대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윤리위 측은 동물실험의 윤리적인 문제는 일차적으로 연구자 책임이라며, 동물의 사인이나 사후 처리까지 보고받지는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실험 중인 동물이 어떻게 죽든 평상시엔 윤리위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더구나 동물 실험 윤리 논란의 당사자인 이병천 교수는 2년 전부터 서울대 실험동물자원 관리원장을 맡아 학교 전체의 실험동물 관리를 총지휘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위원도 함께 맡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 외부 관리 감독도 현재로서는 어려운 상황,

정부가 직접 동물 실험의 윤리성과 적절성 등을 관리 감독하게끔 하는 '실험동물에 관한 법'에는 대학 등 교육기관은 제외돼 있기 때문입니다.

[권유림/변호사 : "실험동물법에 교육기관이나 교육을 위한 실험을 포섭해서 대학 기관 등에서 실험하는 경우에도 실험동물법으로 규제를 받을 수 있도록 법을 강화해서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 대학에서 한 해 실험에 쓰는 동물은 약 100만 마리로, 국내 동물 실험의 34%를 차지합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