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정상회담 회담 날짜·장소 관련 관측만 무성

입력 2019.04.22 (18:51) 수정 2019.04.22 (18: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극동 방문이 임박한 징후가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회담 날짜와 장소에 대한 북러 양측의 공식 발표는 여전히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러시아 현지에선 여러 관측만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 일간 '이즈베스티야'는 22일(현지시간) 북러 정상회담이 오는 25일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의 루스키 섬에서 열릴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북러 정상회담 준비 상황을 잘 아는 자체 소식통을 인용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오는 26일부터 27일에 열리는 중국 베이징 정상포럼에 가는 길에 블라디보스토크에 들러 김 위원장과 회담할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인테르팍스 통신도 자체 소식통을 인용해 북러 정상회담이 24일에서 25일 루스키 섬의 극동연방대학에서 열릴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김정은 위원장이 열차로 러시아를 방문할 것이라는 대다수 관측과 달리 항공기를 이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방러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도 여러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 소식통은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김 위원장이 블라디보스토크 방문 기간 태평양함대 소속 함정 가운데 한 곳을 방문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른 소식통은 선발대로 먼저 블라디보스토크에 온 김 위원장의 '집사'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블라디보스토크 기차역에서 가까운 '코라벨니 나베제르나야' 해안로를 시찰했다면서 이 거리에 면한 해안에 태평양함대 소속 함정들이 정박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밖에 김 위원장이 블라디보스토크 시내 쇼핑몰과 인근 지역 산업시설 등을 둘러보고 시내 중심가의 마린스키 극장을 방문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습니다.

회담 장소로 유력한 극동연방대학 출입 통제도 강화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까지는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대학 캠퍼스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이제 학생증을 소지하고 있거나 방문 예정자 명단에 들어있는 사람들만 출입시키라는 대학 지도부의 지시가 내려졌다고 리아노보스티 통신이 전했습니다.

이 대학 정문 경비요원은 "외부인은 교수 전화와 같이 초청이 있을 때만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비요원은 고위인사 방문 준비와 관련해 이 같은 새로운 보안조치가 취해졌다고 전했으나 누가 대학을 방문할지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 알렉산드르 마체고라도 이날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소식통은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마체고라 대사가 부인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에 왔다"고 말했습니다.

마체고라 대사는 이날 평양-블라디보스토크 노선을 운항한 북한 고려항공편으로 현지에 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마체고라 대사는 북러 정상회담에 배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러 정상회담 회담 날짜·장소 관련 관측만 무성
    • 입력 2019-04-22 18:51:56
    • 수정2019-04-22 18:53:02
    국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극동 방문이 임박한 징후가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회담 날짜와 장소에 대한 북러 양측의 공식 발표는 여전히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러시아 현지에선 여러 관측만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현지 일간 '이즈베스티야'는 22일(현지시간) 북러 정상회담이 오는 25일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의 루스키 섬에서 열릴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북러 정상회담 준비 상황을 잘 아는 자체 소식통을 인용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오는 26일부터 27일에 열리는 중국 베이징 정상포럼에 가는 길에 블라디보스토크에 들러 김 위원장과 회담할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인테르팍스 통신도 자체 소식통을 인용해 북러 정상회담이 24일에서 25일 루스키 섬의 극동연방대학에서 열릴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김정은 위원장이 열차로 러시아를 방문할 것이라는 대다수 관측과 달리 항공기를 이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방러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도 여러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 소식통은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김 위원장이 블라디보스토크 방문 기간 태평양함대 소속 함정 가운데 한 곳을 방문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른 소식통은 선발대로 먼저 블라디보스토크에 온 김 위원장의 '집사'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블라디보스토크 기차역에서 가까운 '코라벨니 나베제르나야' 해안로를 시찰했다면서 이 거리에 면한 해안에 태평양함대 소속 함정들이 정박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밖에 김 위원장이 블라디보스토크 시내 쇼핑몰과 인근 지역 산업시설 등을 둘러보고 시내 중심가의 마린스키 극장을 방문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습니다.

회담 장소로 유력한 극동연방대학 출입 통제도 강화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까지는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대학 캠퍼스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이제 학생증을 소지하고 있거나 방문 예정자 명단에 들어있는 사람들만 출입시키라는 대학 지도부의 지시가 내려졌다고 리아노보스티 통신이 전했습니다.

이 대학 정문 경비요원은 "외부인은 교수 전화와 같이 초청이 있을 때만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비요원은 고위인사 방문 준비와 관련해 이 같은 새로운 보안조치가 취해졌다고 전했으나 누가 대학을 방문할지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 알렉산드르 마체고라도 이날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소식통은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마체고라 대사가 부인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에 왔다"고 말했습니다.

마체고라 대사는 이날 평양-블라디보스토크 노선을 운항한 북한 고려항공편으로 현지에 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마체고라 대사는 북러 정상회담에 배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