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은사는 폐지했지만…사찰 24곳 여전히 ‘통행료’
입력 2019.05.05 (21:18)
수정 2019.05.05 (22: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찰이 있는 전국의 유명산마다 갈등이 끊이지 않는 논란거리가 하나 있죠.
바로, 사찰에서 통행료처럼 받아가는 '문화재 관람료' 문제인데요.
최근 지리산 천은사가 32년 만에 이를 폐지했습니다.
그러나 전국 20여 곳 사찰에서는 여전히 돈을 받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설악산 케이블카 근처 매표소입니다.
성인 한 사람에 3천5백 원씩 돈을 받습니다.
언뜻 보면 국립공원 입장료 같지만, 사실은 근처 절에서 걷는 돈입니다.
[매표소 관계자/음성변조 : "(국립공원 입장료 없어진 거 아니에요?) 맞아요. 국립공원 요금 받는 건 아니고요. 사찰에서 운영하는 거예요."]
사찰에 가지 않고 지나가기만 해도 예외 없이 내야 합니다.
[강희장/서울시 강남구 : "저희는 케이블카만 타고 위에 갔다 오려고 했는데, 통행한다고 입장료를 부과한다는 거에 대해서 좀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가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를 모두 폐지했지만, 현재도 국립공원 내 사찰 24곳이 사실상의 입장료를 받습니다.
사찰 소유의 땅에 있는 자연환경과 문화재 관리에 비용이 든다는 명목입니다.
[신흥사 관계자/음성변조 : "꼭 절에 경내에만 안 들어온다고 해서 그런 게 아니고 전체가 문화재 보호 관리 구역으로 돼 있어요."]
수입의 절반은 사찰이 문화재 유지·보수 등에 쓰고, 나머지는 조계종에서 사용합니다.
대부분 현금 수입인데, 정확한 징수 규모와 사용 내용도 공개하지 않습니다.
[조계종 관계자/음성변조 : "내부적으로는 보고가 돼서 수치는 갖고 있지만 그걸 외부에 공개할 이유는 없다고 저희가 생각하고 있거든요."]
문화재 보수 관리 용도로 국가 예산을 지원받으면서 같은 명목의 관람료를 받는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손상훈/종교투명성센터 운영위원 : "(사찰) 관람 의사가 있는 시민에게 관람료를 받아야 하고, 받은 관람료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폐지를 결정한 지리산 천은사의 경우처럼, 해묵은 '통행료' 논란을 끝낼 혜안을 찾자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사찰이 있는 전국의 유명산마다 갈등이 끊이지 않는 논란거리가 하나 있죠.
바로, 사찰에서 통행료처럼 받아가는 '문화재 관람료' 문제인데요.
최근 지리산 천은사가 32년 만에 이를 폐지했습니다.
그러나 전국 20여 곳 사찰에서는 여전히 돈을 받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설악산 케이블카 근처 매표소입니다.
성인 한 사람에 3천5백 원씩 돈을 받습니다.
언뜻 보면 국립공원 입장료 같지만, 사실은 근처 절에서 걷는 돈입니다.
[매표소 관계자/음성변조 : "(국립공원 입장료 없어진 거 아니에요?) 맞아요. 국립공원 요금 받는 건 아니고요. 사찰에서 운영하는 거예요."]
사찰에 가지 않고 지나가기만 해도 예외 없이 내야 합니다.
[강희장/서울시 강남구 : "저희는 케이블카만 타고 위에 갔다 오려고 했는데, 통행한다고 입장료를 부과한다는 거에 대해서 좀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가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를 모두 폐지했지만, 현재도 국립공원 내 사찰 24곳이 사실상의 입장료를 받습니다.
사찰 소유의 땅에 있는 자연환경과 문화재 관리에 비용이 든다는 명목입니다.
[신흥사 관계자/음성변조 : "꼭 절에 경내에만 안 들어온다고 해서 그런 게 아니고 전체가 문화재 보호 관리 구역으로 돼 있어요."]
수입의 절반은 사찰이 문화재 유지·보수 등에 쓰고, 나머지는 조계종에서 사용합니다.
대부분 현금 수입인데, 정확한 징수 규모와 사용 내용도 공개하지 않습니다.
[조계종 관계자/음성변조 : "내부적으로는 보고가 돼서 수치는 갖고 있지만 그걸 외부에 공개할 이유는 없다고 저희가 생각하고 있거든요."]
문화재 보수 관리 용도로 국가 예산을 지원받으면서 같은 명목의 관람료를 받는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손상훈/종교투명성센터 운영위원 : "(사찰) 관람 의사가 있는 시민에게 관람료를 받아야 하고, 받은 관람료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폐지를 결정한 지리산 천은사의 경우처럼, 해묵은 '통행료' 논란을 끝낼 혜안을 찾자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천은사는 폐지했지만…사찰 24곳 여전히 ‘통행료’
-
- 입력 2019-05-05 21:21:35
- 수정2019-05-05 22:46:53

[앵커]
사찰이 있는 전국의 유명산마다 갈등이 끊이지 않는 논란거리가 하나 있죠.
바로, 사찰에서 통행료처럼 받아가는 '문화재 관람료' 문제인데요.
최근 지리산 천은사가 32년 만에 이를 폐지했습니다.
그러나 전국 20여 곳 사찰에서는 여전히 돈을 받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설악산 케이블카 근처 매표소입니다.
성인 한 사람에 3천5백 원씩 돈을 받습니다.
언뜻 보면 국립공원 입장료 같지만, 사실은 근처 절에서 걷는 돈입니다.
[매표소 관계자/음성변조 : "(국립공원 입장료 없어진 거 아니에요?) 맞아요. 국립공원 요금 받는 건 아니고요. 사찰에서 운영하는 거예요."]
사찰에 가지 않고 지나가기만 해도 예외 없이 내야 합니다.
[강희장/서울시 강남구 : "저희는 케이블카만 타고 위에 갔다 오려고 했는데, 통행한다고 입장료를 부과한다는 거에 대해서 좀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가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를 모두 폐지했지만, 현재도 국립공원 내 사찰 24곳이 사실상의 입장료를 받습니다.
사찰 소유의 땅에 있는 자연환경과 문화재 관리에 비용이 든다는 명목입니다.
[신흥사 관계자/음성변조 : "꼭 절에 경내에만 안 들어온다고 해서 그런 게 아니고 전체가 문화재 보호 관리 구역으로 돼 있어요."]
수입의 절반은 사찰이 문화재 유지·보수 등에 쓰고, 나머지는 조계종에서 사용합니다.
대부분 현금 수입인데, 정확한 징수 규모와 사용 내용도 공개하지 않습니다.
[조계종 관계자/음성변조 : "내부적으로는 보고가 돼서 수치는 갖고 있지만 그걸 외부에 공개할 이유는 없다고 저희가 생각하고 있거든요."]
문화재 보수 관리 용도로 국가 예산을 지원받으면서 같은 명목의 관람료를 받는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손상훈/종교투명성센터 운영위원 : "(사찰) 관람 의사가 있는 시민에게 관람료를 받아야 하고, 받은 관람료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폐지를 결정한 지리산 천은사의 경우처럼, 해묵은 '통행료' 논란을 끝낼 혜안을 찾자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사찰이 있는 전국의 유명산마다 갈등이 끊이지 않는 논란거리가 하나 있죠.
바로, 사찰에서 통행료처럼 받아가는 '문화재 관람료' 문제인데요.
최근 지리산 천은사가 32년 만에 이를 폐지했습니다.
그러나 전국 20여 곳 사찰에서는 여전히 돈을 받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설악산 케이블카 근처 매표소입니다.
성인 한 사람에 3천5백 원씩 돈을 받습니다.
언뜻 보면 국립공원 입장료 같지만, 사실은 근처 절에서 걷는 돈입니다.
[매표소 관계자/음성변조 : "(국립공원 입장료 없어진 거 아니에요?) 맞아요. 국립공원 요금 받는 건 아니고요. 사찰에서 운영하는 거예요."]
사찰에 가지 않고 지나가기만 해도 예외 없이 내야 합니다.
[강희장/서울시 강남구 : "저희는 케이블카만 타고 위에 갔다 오려고 했는데, 통행한다고 입장료를 부과한다는 거에 대해서 좀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가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를 모두 폐지했지만, 현재도 국립공원 내 사찰 24곳이 사실상의 입장료를 받습니다.
사찰 소유의 땅에 있는 자연환경과 문화재 관리에 비용이 든다는 명목입니다.
[신흥사 관계자/음성변조 : "꼭 절에 경내에만 안 들어온다고 해서 그런 게 아니고 전체가 문화재 보호 관리 구역으로 돼 있어요."]
수입의 절반은 사찰이 문화재 유지·보수 등에 쓰고, 나머지는 조계종에서 사용합니다.
대부분 현금 수입인데, 정확한 징수 규모와 사용 내용도 공개하지 않습니다.
[조계종 관계자/음성변조 : "내부적으로는 보고가 돼서 수치는 갖고 있지만 그걸 외부에 공개할 이유는 없다고 저희가 생각하고 있거든요."]
문화재 보수 관리 용도로 국가 예산을 지원받으면서 같은 명목의 관람료를 받는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손상훈/종교투명성센터 운영위원 : "(사찰) 관람 의사가 있는 시민에게 관람료를 받아야 하고, 받은 관람료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폐지를 결정한 지리산 천은사의 경우처럼, 해묵은 '통행료' 논란을 끝낼 혜안을 찾자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
김소영 기자 sos@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