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징계권’ 삭제 추진…학대 아동은 국가가 보호
입력 2019.05.23 (19:16)
수정 2019.05.23 (19: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아동학대를 근절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에게 체벌을 가하지 못하도록 민법 조항 개정을 적극 추진합니다.
보호가 필요한 위기 아동은 국가가 책임지고 돌보기로 했습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동 학대가 의심되신다고요?"]
학대 신고가 들어오면 조사를 나가고 응급상황 시 조처를 하는 학대 전담 사회복지 공무원입니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이런 아동 학대 전담 공무원이 있는 곳은 3곳뿐.
대부분 민간 기관에서 맡고 있습니다.
응급상황에선 아이를 분리해야 하지만, 민간 기관은 강제력을 행사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가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을 늘려 시군구가 직접 학대 조사에 나서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김한기/서울시 노원구 아동보호전문기관장 : "경찰, 또 구청에 있는 다른 아동보호체계인 협력기관들하고 관계가 굉장히 용이할 수 있다(고 봅니다)."]
부모의 자녀 체벌도 제한됩니다.
아동학대는 형법상 처벌 대상이지만, 민법에서는 친권자의 '징계권'이 남아있습니다.
정부는 징계권 조항 개정을 통해 체벌의 범위 등을 새로 규정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용구/법무부 법무실장 : "'사회 통념상 허용되는 체벌의 범위가 어디까지냐'가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결국은 국민적 합의를 통해서 (이뤄져야)."]
하지만 국민의 상당수가 상황에 따라 체벌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기문/서울시 금천구 : "부모는 체벌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너무 심하게 하는 부모들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아동 유기 등을 막기 위해 부모가 아닌 의료기관이 태어난 아이를 국가기관에 통보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정부가 아동학대를 근절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에게 체벌을 가하지 못하도록 민법 조항 개정을 적극 추진합니다.
보호가 필요한 위기 아동은 국가가 책임지고 돌보기로 했습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동 학대가 의심되신다고요?"]
학대 신고가 들어오면 조사를 나가고 응급상황 시 조처를 하는 학대 전담 사회복지 공무원입니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이런 아동 학대 전담 공무원이 있는 곳은 3곳뿐.
대부분 민간 기관에서 맡고 있습니다.
응급상황에선 아이를 분리해야 하지만, 민간 기관은 강제력을 행사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가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을 늘려 시군구가 직접 학대 조사에 나서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김한기/서울시 노원구 아동보호전문기관장 : "경찰, 또 구청에 있는 다른 아동보호체계인 협력기관들하고 관계가 굉장히 용이할 수 있다(고 봅니다)."]
부모의 자녀 체벌도 제한됩니다.
아동학대는 형법상 처벌 대상이지만, 민법에서는 친권자의 '징계권'이 남아있습니다.
정부는 징계권 조항 개정을 통해 체벌의 범위 등을 새로 규정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용구/법무부 법무실장 : "'사회 통념상 허용되는 체벌의 범위가 어디까지냐'가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결국은 국민적 합의를 통해서 (이뤄져야)."]
하지만 국민의 상당수가 상황에 따라 체벌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기문/서울시 금천구 : "부모는 체벌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너무 심하게 하는 부모들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아동 유기 등을 막기 위해 부모가 아닌 의료기관이 태어난 아이를 국가기관에 통보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모 ‘징계권’ 삭제 추진…학대 아동은 국가가 보호
-
- 입력 2019-05-23 19:22:41
- 수정2019-05-23 19:27:55
[앵커]
정부가 아동학대를 근절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에게 체벌을 가하지 못하도록 민법 조항 개정을 적극 추진합니다.
보호가 필요한 위기 아동은 국가가 책임지고 돌보기로 했습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동 학대가 의심되신다고요?"]
학대 신고가 들어오면 조사를 나가고 응급상황 시 조처를 하는 학대 전담 사회복지 공무원입니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이런 아동 학대 전담 공무원이 있는 곳은 3곳뿐.
대부분 민간 기관에서 맡고 있습니다.
응급상황에선 아이를 분리해야 하지만, 민간 기관은 강제력을 행사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가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을 늘려 시군구가 직접 학대 조사에 나서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김한기/서울시 노원구 아동보호전문기관장 : "경찰, 또 구청에 있는 다른 아동보호체계인 협력기관들하고 관계가 굉장히 용이할 수 있다(고 봅니다)."]
부모의 자녀 체벌도 제한됩니다.
아동학대는 형법상 처벌 대상이지만, 민법에서는 친권자의 '징계권'이 남아있습니다.
정부는 징계권 조항 개정을 통해 체벌의 범위 등을 새로 규정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용구/법무부 법무실장 : "'사회 통념상 허용되는 체벌의 범위가 어디까지냐'가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결국은 국민적 합의를 통해서 (이뤄져야)."]
하지만 국민의 상당수가 상황에 따라 체벌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기문/서울시 금천구 : "부모는 체벌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너무 심하게 하는 부모들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아동 유기 등을 막기 위해 부모가 아닌 의료기관이 태어난 아이를 국가기관에 통보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정부가 아동학대를 근절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에게 체벌을 가하지 못하도록 민법 조항 개정을 적극 추진합니다.
보호가 필요한 위기 아동은 국가가 책임지고 돌보기로 했습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동 학대가 의심되신다고요?"]
학대 신고가 들어오면 조사를 나가고 응급상황 시 조처를 하는 학대 전담 사회복지 공무원입니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이런 아동 학대 전담 공무원이 있는 곳은 3곳뿐.
대부분 민간 기관에서 맡고 있습니다.
응급상황에선 아이를 분리해야 하지만, 민간 기관은 강제력을 행사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가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을 늘려 시군구가 직접 학대 조사에 나서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김한기/서울시 노원구 아동보호전문기관장 : "경찰, 또 구청에 있는 다른 아동보호체계인 협력기관들하고 관계가 굉장히 용이할 수 있다(고 봅니다)."]
부모의 자녀 체벌도 제한됩니다.
아동학대는 형법상 처벌 대상이지만, 민법에서는 친권자의 '징계권'이 남아있습니다.
정부는 징계권 조항 개정을 통해 체벌의 범위 등을 새로 규정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용구/법무부 법무실장 : "'사회 통념상 허용되는 체벌의 범위가 어디까지냐'가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결국은 국민적 합의를 통해서 (이뤄져야)."]
하지만 국민의 상당수가 상황에 따라 체벌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기문/서울시 금천구 : "부모는 체벌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너무 심하게 하는 부모들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아동 유기 등을 막기 위해 부모가 아닌 의료기관이 태어난 아이를 국가기관에 통보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됩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