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에 악용되는 공유차량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요즘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해 차를 빌리는 분들 있으시죠.
그런데 이를 범죄에 악용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이 다른 사람 명의로 공유 차량을 빌려 절도를 하고 돌아다니다가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김 호 기잡니다.
[리포트]
모자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남성 두 명이 주차된 승용차로 다가갑니다.
주변을 살피더니 차량이 잠기지 않은 걸 확인하고, 차에 올라 금품을 훔칩니다.
잠시 뒤 주변에 세워둔 승용차를 타고 달아납니다.
범행에 이용한 차량은 '카 셰어링' 업체의 공유차량으로 고등학생인 권 모군이 빌렸습니다.
면허가 없었지만 친형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간단한 절차로 차를 빌릴 수 있었습니다.
제 뒤에는 공유차가 있습니다.
제 스마트폰에 다른 사람의 아이디를 입력해 공유차량을 빌려보겠습니다.
이렇게 다른 사람의 아이디를 도용하거나 빌려 손쉽게 차량을 쓸 수 있습니다.
면허가 없는 사람들도 다른 사람의 회원정보로 얼마든지 차를 빌릴 수 있습니다.
<카 셰어링 상담원(음성변조)>
"다른 분 휴대폰으로 고객님 ID 넣고 로그인 시도해주시면 로그인 가능합니다."
명의를 빌리거나 빌려주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의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이 발의됐지만 현재로선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타인의 명의, 타인의 ID로 대여한다든지에 대해서는 규제사항은 없는 실정이고요"
차량공유 서비스가 무면허 사고를 불러오고 각종 범죄에 이용되면서 본인 인증절차 강화 등
보완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홉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범죄에 악용되는 공유차량
-
- 입력 2019-05-24 08:23:06
- 수정2019-05-24 11:22:00
[앵커멘트]
요즘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해 차를 빌리는 분들 있으시죠.
그런데 이를 범죄에 악용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이 다른 사람 명의로 공유 차량을 빌려 절도를 하고 돌아다니다가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김 호 기잡니다.
[리포트]
모자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남성 두 명이 주차된 승용차로 다가갑니다.
주변을 살피더니 차량이 잠기지 않은 걸 확인하고, 차에 올라 금품을 훔칩니다.
잠시 뒤 주변에 세워둔 승용차를 타고 달아납니다.
범행에 이용한 차량은 '카 셰어링' 업체의 공유차량으로 고등학생인 권 모군이 빌렸습니다.
면허가 없었지만 친형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간단한 절차로 차를 빌릴 수 있었습니다.
제 뒤에는 공유차가 있습니다.
제 스마트폰에 다른 사람의 아이디를 입력해 공유차량을 빌려보겠습니다.
이렇게 다른 사람의 아이디를 도용하거나 빌려 손쉽게 차량을 쓸 수 있습니다.
면허가 없는 사람들도 다른 사람의 회원정보로 얼마든지 차를 빌릴 수 있습니다.
<카 셰어링 상담원(음성변조)>
"다른 분 휴대폰으로 고객님 ID 넣고 로그인 시도해주시면 로그인 가능합니다."
명의를 빌리거나 빌려주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의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이 발의됐지만 현재로선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음성변조)>
"타인의 명의, 타인의 ID로 대여한다든지에 대해서는 규제사항은 없는 실정이고요"
차량공유 서비스가 무면허 사고를 불러오고 각종 범죄에 이용되면서 본인 인증절차 강화 등
보완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홉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