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vs 토스’…오늘 제3인터넷은행 심사 착수

입력 2019.05.24 (09:10) 수정 2019.05.24 (09: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케이뱅크에 이은 인터넷전문은행 추가 인가를 위한 금융당국의 심사 절차가 오늘(24일) 시작됩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위촉한 외부평가위원들은 이날 오후 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신청한 '키움뱅크 컨소시엄'과 '토스뱅크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외부와 차단한 채 합숙심사에 들어갑니다.

외부평가위원들의 인적사항, 평가위원단 규모, 합숙 장소 등은 비밀에 부쳐졌습니다.

평가위원들도 전날 통보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융위원회는 2박3일의 심사를 마치는 모레(26일) 임시회의를 열어 의결·발표할 예정입니다.

키움뱅크 컨소시엄은 키움증권을 주축으로 하나금융지주, SK텔레콤, 온라인 쇼핑몰 11번가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 모회사인 다우기술을 통한 정보기술(IT) 역량에 하나금융과 SK텔레콤의 금융·통신 노하우를 접목한다는 전략입니다.

토스뱅크 컨소시엄은 간편송금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60.8%의 지분으로 주도하고, 실리콘밸리 기반 벤처캐피털 알토스벤처스와 영국 챌린저뱅크(소규모 특화은행) 몬조의 투자사 굿워터캐피털이 9%씩 투자합니다. 틈새 고객을 겨냥한 챌린저뱅크 모델을 내세웠습니다.

평가위원들은 키움뱅크와 토스뱅크가 제출한 기본 자료와 금감원의 사전심사 결과, 이튿날 진행될 두 후보 업체의 프레젠테이션 등을 토대로 채점할 계획입니다.

사업계획의 혁신성(350점)·안정성(200점)·포용성(150점)과 자본금·자금조달방안(100점), 대주주·주주구성계획(100점), 인력·물적기반(100점) 등 1천 점 만점입니다.

키움뱅크의 경우 자본금·자금조달, 대주주·주주구성, 사업계획 안정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성 금융회사(키움증권)에 인터넷은행을 얹어주는 것에 불과하다는 점이 혁신성에 감점 요인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토스뱅크는 혁신성과 포용성 등의 장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자본금·자금조달과 대주주·주주구성은 의구심이 제기될 여지가 있습니다.

토스뱅크 대주주인 비바리퍼블리카에 대해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22일 "통계청 산업분류에 따라야 할 것 같고, 그렇다면 거기를 비금융주력자(산업자본)라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산업자본이면 인터넷은행 지분을 34%까지만 보유할 수 있지만, 금융주력자(금융자본)면 이 한도를 초과하는 주주가 되는 데 문제가 없습니다.

금융위는 이번에 최대 2개까지 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줄 방침입니다.

이후로는 추가 인가가 상당기간 없을 것으로 관측돼 키움뱅크와 토스뱅크 모두 인가를 받거나, 둘 중 최소한 한 곳은 인가를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본인가 일정과 전산설비 구축 등의 절차를 고려하면 이번에 추가로 인가받는 인터넷은행의 공식 출범 시기는 내년 상반기로 전망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키움 vs 토스’…오늘 제3인터넷은행 심사 착수
    • 입력 2019-05-24 09:10:56
    • 수정2019-05-24 09:35:57
    경제
카카오뱅크·케이뱅크에 이은 인터넷전문은행 추가 인가를 위한 금융당국의 심사 절차가 오늘(24일) 시작됩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위촉한 외부평가위원들은 이날 오후 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신청한 '키움뱅크 컨소시엄'과 '토스뱅크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외부와 차단한 채 합숙심사에 들어갑니다.

외부평가위원들의 인적사항, 평가위원단 규모, 합숙 장소 등은 비밀에 부쳐졌습니다.

평가위원들도 전날 통보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융위원회는 2박3일의 심사를 마치는 모레(26일) 임시회의를 열어 의결·발표할 예정입니다.

키움뱅크 컨소시엄은 키움증권을 주축으로 하나금융지주, SK텔레콤, 온라인 쇼핑몰 11번가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 모회사인 다우기술을 통한 정보기술(IT) 역량에 하나금융과 SK텔레콤의 금융·통신 노하우를 접목한다는 전략입니다.

토스뱅크 컨소시엄은 간편송금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60.8%의 지분으로 주도하고, 실리콘밸리 기반 벤처캐피털 알토스벤처스와 영국 챌린저뱅크(소규모 특화은행) 몬조의 투자사 굿워터캐피털이 9%씩 투자합니다. 틈새 고객을 겨냥한 챌린저뱅크 모델을 내세웠습니다.

평가위원들은 키움뱅크와 토스뱅크가 제출한 기본 자료와 금감원의 사전심사 결과, 이튿날 진행될 두 후보 업체의 프레젠테이션 등을 토대로 채점할 계획입니다.

사업계획의 혁신성(350점)·안정성(200점)·포용성(150점)과 자본금·자금조달방안(100점), 대주주·주주구성계획(100점), 인력·물적기반(100점) 등 1천 점 만점입니다.

키움뱅크의 경우 자본금·자금조달, 대주주·주주구성, 사업계획 안정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성 금융회사(키움증권)에 인터넷은행을 얹어주는 것에 불과하다는 점이 혁신성에 감점 요인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토스뱅크는 혁신성과 포용성 등의 장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자본금·자금조달과 대주주·주주구성은 의구심이 제기될 여지가 있습니다.

토스뱅크 대주주인 비바리퍼블리카에 대해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지난 22일 "통계청 산업분류에 따라야 할 것 같고, 그렇다면 거기를 비금융주력자(산업자본)라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산업자본이면 인터넷은행 지분을 34%까지만 보유할 수 있지만, 금융주력자(금융자본)면 이 한도를 초과하는 주주가 되는 데 문제가 없습니다.

금융위는 이번에 최대 2개까지 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줄 방침입니다.

이후로는 추가 인가가 상당기간 없을 것으로 관측돼 키움뱅크와 토스뱅크 모두 인가를 받거나, 둘 중 최소한 한 곳은 인가를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본인가 일정과 전산설비 구축 등의 절차를 고려하면 이번에 추가로 인가받는 인터넷은행의 공식 출범 시기는 내년 상반기로 전망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