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대란>가연성 생활쓰레기를 매립?…쓰레기처리 총체적 난국 드러내
입력 2019.05.27 (18:26)
수정 2019.05.27 (23: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서귀포시
일부 읍면 지역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그대로 매립되고 있습니다.
생활쓰레기 처리의
총체적 난국을 드러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를 반입하는 매립장입니다.
흰색 쓰레기 봉투가
매립장 흙더미에 파묻혀있고
봉투 주변에는 벌레도 꼬입니다.
가연성 쓰레기를
태우지 않고 묻고 있는 건데,
성산과 표선 등
나머지 서귀포시 동부 읍면지역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생활 쓰레기들은
당초 소각해서 처리해야 하지만
지난 4월 말부터는
하루 평균 15톤가량의 생활쓰레기가
그대로 매립되고 있습니다.
문제가 불거진 건
제주시 소각장의 포화 때문입니다.
서귀포 동부 읍면도
제주시 소각장의 담당 지역이지만
소각로 고장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된 겁니다.
결국, 불가피하면
매립할 수 있다는 규정을 근거로
매립장에 반입하고 있는 건데,
만적 시기가
빠르게 앞당겨지고,
음식물 혼합 배출에 따른
토양오염도 우려됩니다.
오순옥/서귀포시 읍면환경시설팀 [인터뷰]
"악취와 해충, 날림쓰레기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매일 복토를 하고 있고요, 그리고 침출수는 하수처리장하고 연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생활쓰레기 처리의 총체적 난국입니다.
김정도/제주환경운동연합[인터뷰]
"단기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류하는 작업이라든가 사업장에 대한 부담 증가라든가 이런 부분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1회용품을 제한할 수 있도록"
쓰레기 불법수출에 이어
가연성 생활 쓰레기의 매립 문제까지.
포화 상태에 다다른
환경수용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서귀포시
일부 읍면 지역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그대로 매립되고 있습니다.
생활쓰레기 처리의
총체적 난국을 드러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를 반입하는 매립장입니다.
흰색 쓰레기 봉투가
매립장 흙더미에 파묻혀있고
봉투 주변에는 벌레도 꼬입니다.
가연성 쓰레기를
태우지 않고 묻고 있는 건데,
성산과 표선 등
나머지 서귀포시 동부 읍면지역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생활 쓰레기들은
당초 소각해서 처리해야 하지만
지난 4월 말부터는
하루 평균 15톤가량의 생활쓰레기가
그대로 매립되고 있습니다.
문제가 불거진 건
제주시 소각장의 포화 때문입니다.
서귀포 동부 읍면도
제주시 소각장의 담당 지역이지만
소각로 고장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된 겁니다.
결국, 불가피하면
매립할 수 있다는 규정을 근거로
매립장에 반입하고 있는 건데,
만적 시기가
빠르게 앞당겨지고,
음식물 혼합 배출에 따른
토양오염도 우려됩니다.
오순옥/서귀포시 읍면환경시설팀 [인터뷰]
"악취와 해충, 날림쓰레기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매일 복토를 하고 있고요, 그리고 침출수는 하수처리장하고 연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생활쓰레기 처리의 총체적 난국입니다.
김정도/제주환경운동연합[인터뷰]
"단기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류하는 작업이라든가 사업장에 대한 부담 증가라든가 이런 부분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1회용품을 제한할 수 있도록"
쓰레기 불법수출에 이어
가연성 생활 쓰레기의 매립 문제까지.
포화 상태에 다다른
환경수용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쓰레기 대란>가연성 생활쓰레기를 매립?…쓰레기처리 총체적 난국 드러내
-
- 입력 2019-05-27 18:26:03
- 수정2019-05-27 23:21:11
[앵커멘트]
서귀포시
일부 읍면 지역의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그대로 매립되고 있습니다.
생활쓰레기 처리의
총체적 난국을 드러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불에 타지 않는
쓰레기를 반입하는 매립장입니다.
흰색 쓰레기 봉투가
매립장 흙더미에 파묻혀있고
봉투 주변에는 벌레도 꼬입니다.
가연성 쓰레기를
태우지 않고 묻고 있는 건데,
성산과 표선 등
나머지 서귀포시 동부 읍면지역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생활 쓰레기들은
당초 소각해서 처리해야 하지만
지난 4월 말부터는
하루 평균 15톤가량의 생활쓰레기가
그대로 매립되고 있습니다.
문제가 불거진 건
제주시 소각장의 포화 때문입니다.
서귀포 동부 읍면도
제주시 소각장의 담당 지역이지만
소각로 고장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된 겁니다.
결국, 불가피하면
매립할 수 있다는 규정을 근거로
매립장에 반입하고 있는 건데,
만적 시기가
빠르게 앞당겨지고,
음식물 혼합 배출에 따른
토양오염도 우려됩니다.
오순옥/서귀포시 읍면환경시설팀 [인터뷰]
"악취와 해충, 날림쓰레기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매일 복토를 하고 있고요, 그리고 침출수는 하수처리장하고 연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생활쓰레기 처리의 총체적 난국입니다.
김정도/제주환경운동연합[인터뷰]
"단기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류하는 작업이라든가 사업장에 대한 부담 증가라든가 이런 부분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1회용품을 제한할 수 있도록"
쓰레기 불법수출에 이어
가연성 생활 쓰레기의 매립 문제까지.
포화 상태에 다다른
환경수용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
-
김가람 기자 garam@kbs.co.kr
김가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