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육성 현장을 가다]③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IB

입력 2019.06.05 (21:48) 수정 2019.06.05 (2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세계 공통 평가 기준 가운데 하나가
국제 바칼로레아,
즉 IB인데요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5천 60여 개의 학교가
이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학교에서는
IB를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해외 기획 순서를 통해 알아봅니다.

김영중 기잡니다.

[리포트]

미국 오하이오주에 있는
쉐이커 하이츠 스쿨의 한 교실.

4학년 학생 5명이
6주 동안 잠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합니다.

[이펙트1]
네프/쉐이커 하이츠 스쿨 4학년
"우리 팀은 우리 학교 학생의 72%가
하루 권장 수준인 6시간에서 9시간 동안
수면을 취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학생 스스로 과제를 선정한 뒤
이를 수행하고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질문을 발견하고
또 그 답을 찾는 국제 바칼레로아 즉
IB 교육의 창의적인 학습 방법을
보여주는 작은 사롑니다.

5천2백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쉐이커 하이츠 스쿨은
초, 중, 고등학교 8개가 모여 있는
이른바 하나의 학교굽니다.

모든 학교가 IB 과정을 도입해
대학을 준비하는 마지막 단계까지
유기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IB는 국제 기준인 만큼
이를 수용하는 대학의 경우
나라와 상관 없이 입학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습니다.

[인터뷰]
캘빈 브라운/쉐이커 하이츠 스쿨11학년
"통계적으로 미국에서 IB 수강 학생들의 대학 입학률이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높기 때문에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학생은
원하는 수업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성취도에 따라
보충 또는 심화 학습을 지원합니다.

교사는 여기에서
지식 전달자가 아닌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인터뷰]
존 무어/IB 코디네이터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알아야 하는지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이해력을 돕고 창의력을 높이도록 하는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같은 IB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 잘못 적용될 경우
또 다른 입시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따라서 IB 프로그램이
우리 교육현장에 적용되기까지는
상당기간 연구와 검토의 시간이
필요할 전망입니다.
미국 클리블랜드에서
KBS 뉴스 김영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재 육성 현장을 가다]③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IB
    • 입력 2019-06-05 21:48:57
    • 수정2019-06-05 23:52:42
    뉴스9(충주)
[앵커멘트]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세계 공통 평가 기준 가운데 하나가 국제 바칼로레아, 즉 IB인데요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5천 60여 개의 학교가 이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학교에서는 IB를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해외 기획 순서를 통해 알아봅니다. 김영중 기잡니다. [리포트] 미국 오하이오주에 있는 쉐이커 하이츠 스쿨의 한 교실. 4학년 학생 5명이 6주 동안 잠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합니다. [이펙트1] 네프/쉐이커 하이츠 스쿨 4학년 "우리 팀은 우리 학교 학생의 72%가 하루 권장 수준인 6시간에서 9시간 동안 수면을 취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학생 스스로 과제를 선정한 뒤 이를 수행하고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질문을 발견하고 또 그 답을 찾는 국제 바칼레로아 즉 IB 교육의 창의적인 학습 방법을 보여주는 작은 사롑니다. 5천2백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쉐이커 하이츠 스쿨은 초, 중, 고등학교 8개가 모여 있는 이른바 하나의 학교굽니다. 모든 학교가 IB 과정을 도입해 대학을 준비하는 마지막 단계까지 유기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IB는 국제 기준인 만큼 이를 수용하는 대학의 경우 나라와 상관 없이 입학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습니다. [인터뷰] 캘빈 브라운/쉐이커 하이츠 스쿨11학년 "통계적으로 미국에서 IB 수강 학생들의 대학 입학률이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높기 때문에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학생은 원하는 수업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성취도에 따라 보충 또는 심화 학습을 지원합니다. 교사는 여기에서 지식 전달자가 아닌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인터뷰] 존 무어/IB 코디네이터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알아야 하는지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이해력을 돕고 창의력을 높이도록 하는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같은 IB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 잘못 적용될 경우 또 다른 입시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따라서 IB 프로그램이 우리 교육현장에 적용되기까지는 상당기간 연구와 검토의 시간이 필요할 전망입니다. 미국 클리블랜드에서 KBS 뉴스 김영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충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