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공조달때 중소기업 제품 혁신성 높을수록 더 산다
입력 2019.07.02 (17:38)
수정 2019.07.02 (1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내년부터 공공조달을 통해 혁신 기술·제품을 대거 사들입니다.
정부는 오늘(2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을 논의해 확정했습니다. 정부는 혁신을 지향하는 공공조달을 위해 4대 추진전략과 10대 과제를 마련했습니다.
먼저 정부는 혁신지향 구매제도를 활성화합니다. 내년 2분기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 우선 구매대상'을 중소기업 기술개발 촉진 관점에서 재검토해 혁신제품 위주로 범위를 조정합니다.
공공기관은 중소기업 물품 구매액 중 10% 이상을 기술개발제품 중에서 우선 구매해야 하는데, 이 범주에 혁신제품을 담아 판로를 개척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올해 3분기부터는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정부의 구매를 결정하는 평가 기준에 '혁신성' 지표를 추가합니다. 각 부처는 소관 기관 국가 연구개발(R&D) 제품의 혁신성이 입증된다면, 별도 성능인증을 받기 전이라도 수의계약 허용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됩니다.
혁신성 평가를 통과한 시제품은 시범구매 후보 제품군으로 지정해 조달청 예산으로 구매한 뒤, 수요 기관에 제공하는 등 혁신제품 시범구매사업도 합니다.
정부는 또 수요-공급자 간 쌍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국가 혁신조달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부처별로 분산된 공공수요조사 창구를 통합하고 혁신제품 개발 역량 보유 기업과 수요 공공기관을 연결하는 등 정보 비대칭을 해소합니다.
내년에는 '조달청책심의위원회'(가칭)를 신설해 공공조달과 관련한 중장기 정책·제도 심의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깁니다. 위원회 산하에는 국민 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조달수요를 발굴하는 민관 합동 '공공수요발굴위원회'도 설치해 운영할 계획입니다.
혁신과제를 뒷받침할 기술이 시장에 없다면 맞춤형 R&D를 통해 신속히 지원합니다.
정부는 적극 조달행정을 위해 면책이나 인센티브를 활성화합니다. 규정이 명확하지 않은 신산업 분야에서 조달할 때, 감사원 등의 사전컨설팅 제도 등을 활용하면 문제가 생겨도 담당 공무원의 책임을 묻지 않도록 합니다.
정부는 앞으로 기획재정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범정부추진단을 구성해 세부과제별 이행상황을 주기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입니다. 이승철 기재부 재정관리관은 "방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작년 기준 123조 4천억 원 규모의 구매력을 가진 정부·공공기관이 혁신제품 판로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조달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해 궁극적으로 공공서비스의 질도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는 오늘(2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을 논의해 확정했습니다. 정부는 혁신을 지향하는 공공조달을 위해 4대 추진전략과 10대 과제를 마련했습니다.
먼저 정부는 혁신지향 구매제도를 활성화합니다. 내년 2분기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 우선 구매대상'을 중소기업 기술개발 촉진 관점에서 재검토해 혁신제품 위주로 범위를 조정합니다.
공공기관은 중소기업 물품 구매액 중 10% 이상을 기술개발제품 중에서 우선 구매해야 하는데, 이 범주에 혁신제품을 담아 판로를 개척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올해 3분기부터는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정부의 구매를 결정하는 평가 기준에 '혁신성' 지표를 추가합니다. 각 부처는 소관 기관 국가 연구개발(R&D) 제품의 혁신성이 입증된다면, 별도 성능인증을 받기 전이라도 수의계약 허용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됩니다.
혁신성 평가를 통과한 시제품은 시범구매 후보 제품군으로 지정해 조달청 예산으로 구매한 뒤, 수요 기관에 제공하는 등 혁신제품 시범구매사업도 합니다.
정부는 또 수요-공급자 간 쌍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국가 혁신조달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부처별로 분산된 공공수요조사 창구를 통합하고 혁신제품 개발 역량 보유 기업과 수요 공공기관을 연결하는 등 정보 비대칭을 해소합니다.
내년에는 '조달청책심의위원회'(가칭)를 신설해 공공조달과 관련한 중장기 정책·제도 심의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깁니다. 위원회 산하에는 국민 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조달수요를 발굴하는 민관 합동 '공공수요발굴위원회'도 설치해 운영할 계획입니다.
혁신과제를 뒷받침할 기술이 시장에 없다면 맞춤형 R&D를 통해 신속히 지원합니다.
정부는 적극 조달행정을 위해 면책이나 인센티브를 활성화합니다. 규정이 명확하지 않은 신산업 분야에서 조달할 때, 감사원 등의 사전컨설팅 제도 등을 활용하면 문제가 생겨도 담당 공무원의 책임을 묻지 않도록 합니다.
정부는 앞으로 기획재정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범정부추진단을 구성해 세부과제별 이행상황을 주기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입니다. 이승철 기재부 재정관리관은 "방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작년 기준 123조 4천억 원 규모의 구매력을 가진 정부·공공기관이 혁신제품 판로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조달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해 궁극적으로 공공서비스의 질도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공공조달때 중소기업 제품 혁신성 높을수록 더 산다
-
- 입력 2019-07-02 17:38:18
- 수정2019-07-02 18:15:09

정부가 내년부터 공공조달을 통해 혁신 기술·제품을 대거 사들입니다.
정부는 오늘(2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을 논의해 확정했습니다. 정부는 혁신을 지향하는 공공조달을 위해 4대 추진전략과 10대 과제를 마련했습니다.
먼저 정부는 혁신지향 구매제도를 활성화합니다. 내년 2분기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 우선 구매대상'을 중소기업 기술개발 촉진 관점에서 재검토해 혁신제품 위주로 범위를 조정합니다.
공공기관은 중소기업 물품 구매액 중 10% 이상을 기술개발제품 중에서 우선 구매해야 하는데, 이 범주에 혁신제품을 담아 판로를 개척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올해 3분기부터는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정부의 구매를 결정하는 평가 기준에 '혁신성' 지표를 추가합니다. 각 부처는 소관 기관 국가 연구개발(R&D) 제품의 혁신성이 입증된다면, 별도 성능인증을 받기 전이라도 수의계약 허용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됩니다.
혁신성 평가를 통과한 시제품은 시범구매 후보 제품군으로 지정해 조달청 예산으로 구매한 뒤, 수요 기관에 제공하는 등 혁신제품 시범구매사업도 합니다.
정부는 또 수요-공급자 간 쌍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국가 혁신조달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부처별로 분산된 공공수요조사 창구를 통합하고 혁신제품 개발 역량 보유 기업과 수요 공공기관을 연결하는 등 정보 비대칭을 해소합니다.
내년에는 '조달청책심의위원회'(가칭)를 신설해 공공조달과 관련한 중장기 정책·제도 심의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깁니다. 위원회 산하에는 국민 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조달수요를 발굴하는 민관 합동 '공공수요발굴위원회'도 설치해 운영할 계획입니다.
혁신과제를 뒷받침할 기술이 시장에 없다면 맞춤형 R&D를 통해 신속히 지원합니다.
정부는 적극 조달행정을 위해 면책이나 인센티브를 활성화합니다. 규정이 명확하지 않은 신산업 분야에서 조달할 때, 감사원 등의 사전컨설팅 제도 등을 활용하면 문제가 생겨도 담당 공무원의 책임을 묻지 않도록 합니다.
정부는 앞으로 기획재정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범정부추진단을 구성해 세부과제별 이행상황을 주기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입니다. 이승철 기재부 재정관리관은 "방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작년 기준 123조 4천억 원 규모의 구매력을 가진 정부·공공기관이 혁신제품 판로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조달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해 궁극적으로 공공서비스의 질도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는 오늘(2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을 논의해 확정했습니다. 정부는 혁신을 지향하는 공공조달을 위해 4대 추진전략과 10대 과제를 마련했습니다.
먼저 정부는 혁신지향 구매제도를 활성화합니다. 내년 2분기까지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 우선 구매대상'을 중소기업 기술개발 촉진 관점에서 재검토해 혁신제품 위주로 범위를 조정합니다.
공공기관은 중소기업 물품 구매액 중 10% 이상을 기술개발제품 중에서 우선 구매해야 하는데, 이 범주에 혁신제품을 담아 판로를 개척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올해 3분기부터는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정부의 구매를 결정하는 평가 기준에 '혁신성' 지표를 추가합니다. 각 부처는 소관 기관 국가 연구개발(R&D) 제품의 혁신성이 입증된다면, 별도 성능인증을 받기 전이라도 수의계약 허용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됩니다.
혁신성 평가를 통과한 시제품은 시범구매 후보 제품군으로 지정해 조달청 예산으로 구매한 뒤, 수요 기관에 제공하는 등 혁신제품 시범구매사업도 합니다.
정부는 또 수요-공급자 간 쌍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국가 혁신조달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부처별로 분산된 공공수요조사 창구를 통합하고 혁신제품 개발 역량 보유 기업과 수요 공공기관을 연결하는 등 정보 비대칭을 해소합니다.
내년에는 '조달청책심의위원회'(가칭)를 신설해 공공조달과 관련한 중장기 정책·제도 심의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깁니다. 위원회 산하에는 국민 생활과 연결할 수 있는 조달수요를 발굴하는 민관 합동 '공공수요발굴위원회'도 설치해 운영할 계획입니다.
혁신과제를 뒷받침할 기술이 시장에 없다면 맞춤형 R&D를 통해 신속히 지원합니다.
정부는 적극 조달행정을 위해 면책이나 인센티브를 활성화합니다. 규정이 명확하지 않은 신산업 분야에서 조달할 때, 감사원 등의 사전컨설팅 제도 등을 활용하면 문제가 생겨도 담당 공무원의 책임을 묻지 않도록 합니다.
정부는 앞으로 기획재정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범정부추진단을 구성해 세부과제별 이행상황을 주기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입니다. 이승철 기재부 재정관리관은 "방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작년 기준 123조 4천억 원 규모의 구매력을 가진 정부·공공기관이 혁신제품 판로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조달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해 궁극적으로 공공서비스의 질도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수연 기자 kbsksy@kbs.co.kr
김수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