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내일 파업…"불편 최소화"
입력 2019.07.02 (23:08)
수정 2019.07.02 (23: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내일(오늘) 경남에서도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가면서
일부 학교에서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에
차질이 우려됩니다.
경상남도교육청은
대체급식이나 단축수업,
내부인력 투입으로 차질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40개 직종, 8천여 명이 가입한
경남 학교 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들어갑니다.
최저임금보다 낮은
기본급 6.24% 인상과 차별 해소가
주요 요구사항입니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불편을 끼치게 돼 죄송하지만,
아이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더 크다며
도민들의 지지를 부탁했습니다.
이진숙/여성노조 경남지부장[인터뷰]
"우리 아이들이 미래에 좀 더 평탄한 길에,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만들어 주고자, 차별 없는 세상을 만들어주고자 나서는 길입니다."
경상남도교육청은
일단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차질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학교급식은
미리 안내해 도시락을 준비하거나
빵이나 우유로 대체급식을 합니다.
그나마 경남지역 중고등학교 80%가
기말고사 기간이어서
급식수요는 평소보다 적은 편입니다.
초등학교 돌봄교실은
최대한 학교 선생님들을 투입해
차질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박은중/경남교육청 노사협력담당[인터뷰]
"이와 관련해 어떤 불편한 사항이나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그 부분은 학교 측에 문의하시면 학교별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또, 파업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콜센터를 통해 민원을 접수하고
필요한 경우 학생과 학부모에 대해
1대1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내일(오늘) 경남에서도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가면서
일부 학교에서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에
차질이 우려됩니다.
경상남도교육청은
대체급식이나 단축수업,
내부인력 투입으로 차질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40개 직종, 8천여 명이 가입한
경남 학교 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들어갑니다.
최저임금보다 낮은
기본급 6.24% 인상과 차별 해소가
주요 요구사항입니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불편을 끼치게 돼 죄송하지만,
아이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더 크다며
도민들의 지지를 부탁했습니다.
이진숙/여성노조 경남지부장[인터뷰]
"우리 아이들이 미래에 좀 더 평탄한 길에,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만들어 주고자, 차별 없는 세상을 만들어주고자 나서는 길입니다."
경상남도교육청은
일단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차질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학교급식은
미리 안내해 도시락을 준비하거나
빵이나 우유로 대체급식을 합니다.
그나마 경남지역 중고등학교 80%가
기말고사 기간이어서
급식수요는 평소보다 적은 편입니다.
초등학교 돌봄교실은
최대한 학교 선생님들을 투입해
차질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박은중/경남교육청 노사협력담당[인터뷰]
"이와 관련해 어떤 불편한 사항이나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그 부분은 학교 측에 문의하시면 학교별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또, 파업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콜센터를 통해 민원을 접수하고
필요한 경우 학생과 학부모에 대해
1대1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학교 비정규직 내일 파업…"불편 최소화"
-
- 입력 2019-07-02 23:08:39
- 수정2019-07-02 23:08:57

[앵커멘트]
내일(오늘) 경남에서도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가면서
일부 학교에서
급식과 돌봄교실 운영에
차질이 우려됩니다.
경상남도교육청은
대체급식이나 단축수업,
내부인력 투입으로 차질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40개 직종, 8천여 명이 가입한
경남 학교 비정규직연대회의 소속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들어갑니다.
최저임금보다 낮은
기본급 6.24% 인상과 차별 해소가
주요 요구사항입니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불편을 끼치게 돼 죄송하지만,
아이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더 크다며
도민들의 지지를 부탁했습니다.
이진숙/여성노조 경남지부장[인터뷰]
"우리 아이들이 미래에 좀 더 평탄한 길에,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만들어 주고자, 차별 없는 세상을 만들어주고자 나서는 길입니다."
경상남도교육청은
일단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차질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학교급식은
미리 안내해 도시락을 준비하거나
빵이나 우유로 대체급식을 합니다.
그나마 경남지역 중고등학교 80%가
기말고사 기간이어서
급식수요는 평소보다 적은 편입니다.
초등학교 돌봄교실은
최대한 학교 선생님들을 투입해
차질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박은중/경남교육청 노사협력담당[인터뷰]
"이와 관련해 어떤 불편한 사항이나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그 부분은 학교 측에 문의하시면 학교별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또, 파업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콜센터를 통해 민원을 접수하고
필요한 경우 학생과 학부모에 대해
1대1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상현입니다.
-
-
박상현 기자 sanghyun@kbs.co.kr
박상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