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무실 ‘동물등록제’…5년간 과태료 단 28만 원
입력 2019.07.27 (06:53)
수정 2019.07.27 (07: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반려견에 칩이나 인식표를 달아주는 동물등록제가 유명무실해졌습니다.
제도 시행한 지 5년이 됐지만, 등록한 개는 백30만 마리로 전체의 4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문예슬 기자가 실태와 문제점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시의 반려견 등록 단속 현장입니다.
매주 한 번, 반려견이 많이 나오는 공원 등지에서 등록 여부를 점검합니다.
목줄을 차고 주인과 걷는 반려견 상당수는 등록을 하지 않았습니다.
[반려견 보호자/음성변조 : "돈이 좀 들어간다더라고요. 제가 지금 여윳돈이 없어가지고..."]
내장 칩을 이용할 경우 등록에 3만 원에서 5만 원 정도 듭니다.
등록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견주도 있습니다.
[반려견 보호자/음성변조 : "(동물등록 하셨어요? 3개월 이상 되면 의무적으로 하셔야 되거든요?) 근데 얘가 워낙 똑똑해 가지고... 뭐 싸우지를 않고 그러니깐."]
등록했더라도 목에 거는 외장형은 효과가 떨어집니다.
[김윤진/서울시 광진구 : "워낙 얘들 많이 구르고 움직이고 하니까 며칠 안 가서 금방 떨어져서 (외장형) 이름표 안 하고 있어요."]
등록하지 않으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하지만 실효성은 없습니다.
도입 첫해인 2014년, 부과한 과태료는 고작 28만 원.
그 이후에는 아예 한 푼도 부과한 적이 없습니다.
반려견 분실이나 유기에 대비한다는 취지가 무색합니다.
실제로 떠돌다 구조된 반려견 대부분은 미등록 상태입니다.
경기도의 한 보호소입니다.
동물이 들어오면, 이렇게 기계를 통해 왼쪽 어깨를 스캔합니다.
몸속에 심어진 마이크로 칩을 통해 동물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겁니다.
하루 새 들어온 40여 마리 중 등록된 반려견은 단 한 마리.
이 개만 등록 정보로 주인을 찾았을 뿐 나머지는 안락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박선덕/서울시 동물보호과 팀장 : "동물등록에 대한 인식이 아직 자리잡히지 않아서 제일 힘듭니다. 견주분들은 왜 내가 이걸 해야 되느냐 그런 생각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가 이걸 해서 무슨 이득이 있느냐..."]
동물 유기나 분실뿐 아니라 최근 잇따르는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라도 반려동물 등록제도의 안착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반려견에 칩이나 인식표를 달아주는 동물등록제가 유명무실해졌습니다.
제도 시행한 지 5년이 됐지만, 등록한 개는 백30만 마리로 전체의 4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문예슬 기자가 실태와 문제점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시의 반려견 등록 단속 현장입니다.
매주 한 번, 반려견이 많이 나오는 공원 등지에서 등록 여부를 점검합니다.
목줄을 차고 주인과 걷는 반려견 상당수는 등록을 하지 않았습니다.
[반려견 보호자/음성변조 : "돈이 좀 들어간다더라고요. 제가 지금 여윳돈이 없어가지고..."]
내장 칩을 이용할 경우 등록에 3만 원에서 5만 원 정도 듭니다.
등록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견주도 있습니다.
[반려견 보호자/음성변조 : "(동물등록 하셨어요? 3개월 이상 되면 의무적으로 하셔야 되거든요?) 근데 얘가 워낙 똑똑해 가지고... 뭐 싸우지를 않고 그러니깐."]
등록했더라도 목에 거는 외장형은 효과가 떨어집니다.
[김윤진/서울시 광진구 : "워낙 얘들 많이 구르고 움직이고 하니까 며칠 안 가서 금방 떨어져서 (외장형) 이름표 안 하고 있어요."]
등록하지 않으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하지만 실효성은 없습니다.
도입 첫해인 2014년, 부과한 과태료는 고작 28만 원.
그 이후에는 아예 한 푼도 부과한 적이 없습니다.
반려견 분실이나 유기에 대비한다는 취지가 무색합니다.
실제로 떠돌다 구조된 반려견 대부분은 미등록 상태입니다.
경기도의 한 보호소입니다.
동물이 들어오면, 이렇게 기계를 통해 왼쪽 어깨를 스캔합니다.
몸속에 심어진 마이크로 칩을 통해 동물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겁니다.
하루 새 들어온 40여 마리 중 등록된 반려견은 단 한 마리.
이 개만 등록 정보로 주인을 찾았을 뿐 나머지는 안락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박선덕/서울시 동물보호과 팀장 : "동물등록에 대한 인식이 아직 자리잡히지 않아서 제일 힘듭니다. 견주분들은 왜 내가 이걸 해야 되느냐 그런 생각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가 이걸 해서 무슨 이득이 있느냐..."]
동물 유기나 분실뿐 아니라 최근 잇따르는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라도 반려동물 등록제도의 안착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명무실 ‘동물등록제’…5년간 과태료 단 28만 원
-
- 입력 2019-07-27 07:00:05
- 수정2019-07-27 07:18:21
[앵커]
반려견에 칩이나 인식표를 달아주는 동물등록제가 유명무실해졌습니다.
제도 시행한 지 5년이 됐지만, 등록한 개는 백30만 마리로 전체의 4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문예슬 기자가 실태와 문제점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시의 반려견 등록 단속 현장입니다.
매주 한 번, 반려견이 많이 나오는 공원 등지에서 등록 여부를 점검합니다.
목줄을 차고 주인과 걷는 반려견 상당수는 등록을 하지 않았습니다.
[반려견 보호자/음성변조 : "돈이 좀 들어간다더라고요. 제가 지금 여윳돈이 없어가지고..."]
내장 칩을 이용할 경우 등록에 3만 원에서 5만 원 정도 듭니다.
등록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견주도 있습니다.
[반려견 보호자/음성변조 : "(동물등록 하셨어요? 3개월 이상 되면 의무적으로 하셔야 되거든요?) 근데 얘가 워낙 똑똑해 가지고... 뭐 싸우지를 않고 그러니깐."]
등록했더라도 목에 거는 외장형은 효과가 떨어집니다.
[김윤진/서울시 광진구 : "워낙 얘들 많이 구르고 움직이고 하니까 며칠 안 가서 금방 떨어져서 (외장형) 이름표 안 하고 있어요."]
등록하지 않으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하지만 실효성은 없습니다.
도입 첫해인 2014년, 부과한 과태료는 고작 28만 원.
그 이후에는 아예 한 푼도 부과한 적이 없습니다.
반려견 분실이나 유기에 대비한다는 취지가 무색합니다.
실제로 떠돌다 구조된 반려견 대부분은 미등록 상태입니다.
경기도의 한 보호소입니다.
동물이 들어오면, 이렇게 기계를 통해 왼쪽 어깨를 스캔합니다.
몸속에 심어진 마이크로 칩을 통해 동물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겁니다.
하루 새 들어온 40여 마리 중 등록된 반려견은 단 한 마리.
이 개만 등록 정보로 주인을 찾았을 뿐 나머지는 안락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박선덕/서울시 동물보호과 팀장 : "동물등록에 대한 인식이 아직 자리잡히지 않아서 제일 힘듭니다. 견주분들은 왜 내가 이걸 해야 되느냐 그런 생각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가 이걸 해서 무슨 이득이 있느냐..."]
동물 유기나 분실뿐 아니라 최근 잇따르는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라도 반려동물 등록제도의 안착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반려견에 칩이나 인식표를 달아주는 동물등록제가 유명무실해졌습니다.
제도 시행한 지 5년이 됐지만, 등록한 개는 백30만 마리로 전체의 4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문예슬 기자가 실태와 문제점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시의 반려견 등록 단속 현장입니다.
매주 한 번, 반려견이 많이 나오는 공원 등지에서 등록 여부를 점검합니다.
목줄을 차고 주인과 걷는 반려견 상당수는 등록을 하지 않았습니다.
[반려견 보호자/음성변조 : "돈이 좀 들어간다더라고요. 제가 지금 여윳돈이 없어가지고..."]
내장 칩을 이용할 경우 등록에 3만 원에서 5만 원 정도 듭니다.
등록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견주도 있습니다.
[반려견 보호자/음성변조 : "(동물등록 하셨어요? 3개월 이상 되면 의무적으로 하셔야 되거든요?) 근데 얘가 워낙 똑똑해 가지고... 뭐 싸우지를 않고 그러니깐."]
등록했더라도 목에 거는 외장형은 효과가 떨어집니다.
[김윤진/서울시 광진구 : "워낙 얘들 많이 구르고 움직이고 하니까 며칠 안 가서 금방 떨어져서 (외장형) 이름표 안 하고 있어요."]
등록하지 않으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하지만 실효성은 없습니다.
도입 첫해인 2014년, 부과한 과태료는 고작 28만 원.
그 이후에는 아예 한 푼도 부과한 적이 없습니다.
반려견 분실이나 유기에 대비한다는 취지가 무색합니다.
실제로 떠돌다 구조된 반려견 대부분은 미등록 상태입니다.
경기도의 한 보호소입니다.
동물이 들어오면, 이렇게 기계를 통해 왼쪽 어깨를 스캔합니다.
몸속에 심어진 마이크로 칩을 통해 동물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겁니다.
하루 새 들어온 40여 마리 중 등록된 반려견은 단 한 마리.
이 개만 등록 정보로 주인을 찾았을 뿐 나머지는 안락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박선덕/서울시 동물보호과 팀장 : "동물등록에 대한 인식이 아직 자리잡히지 않아서 제일 힘듭니다. 견주분들은 왜 내가 이걸 해야 되느냐 그런 생각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가 이걸 해서 무슨 이득이 있느냐..."]
동물 유기나 분실뿐 아니라 최근 잇따르는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라도 반려동물 등록제도의 안착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
-
문예슬 기자 moonster@kbs.co.kr
문예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