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제 검토 '부실'

입력 2019.08.07 (10: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목포의 한 사립고등학교 수학 시험문제 일부가 상위권반만 사용하는 교재에서 출제됐다는 보도 전해드렸습니다.

출제된 문제를 사전에 검토하는 과정이 부실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최정민 기잡니다.





[리포트]

이번에 문제가 된 목포 사립고등학교 기말고사 수학 시험지 입니다.



결재란에 부장과 교감 그리고 교장의 서명이 있습니다.



교사 4명이 공동으로 시험 문제를 제출한 뒤 이상이 없다는 이른바 '검토' 서명입니다.



하지만 참고서나 기출문제를 그대로 시험문제로 출제해서는 안된다는 교육청 지침을 어겼는데도 결재가 된 것은

검토 과정이 부실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지침에는 검토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학교 재량에 맡길 뿐입니다.



<최광희/전남교육청 교육과정운영팀장>

"평가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시킬 어떤 정책적인 방안을 더 모색해야겠다는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학교를 대상으로 특별감사에 들어간 전남도 교육청은 다른 학년과 과목에서 같은 사례가 있었는 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교육청은 또 다른 학교에도 참고서 문제의 시험 출제 여부와 심화반 전용교재의 시험 출제 등을 검토하라는 공문을 보낼 예정이지만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실효성은 낮아 보입니다.



<이혁재/전남도의원>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해당학교뿐만 아니라 일반계 고등학교에 대한 전수조사를 해야 될 것이고요."



이런 가운데 해당 학교는 지침에 위반한 문제가 2문항이고 점수 차이에 큰 변화가 없어

재시험을 치르지 않겠다고 밝혀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최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출제 검토 '부실'
    • 입력 2019-08-07 10:44:59
    930뉴스(광주)
[앵커멘트]
목포의 한 사립고등학교 수학 시험문제 일부가 상위권반만 사용하는 교재에서 출제됐다는 보도 전해드렸습니다.
출제된 문제를 사전에 검토하는 과정이 부실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최정민 기잡니다.


[리포트]
이번에 문제가 된 목포 사립고등학교 기말고사 수학 시험지 입니다.

결재란에 부장과 교감 그리고 교장의 서명이 있습니다.

교사 4명이 공동으로 시험 문제를 제출한 뒤 이상이 없다는 이른바 '검토' 서명입니다.

하지만 참고서나 기출문제를 그대로 시험문제로 출제해서는 안된다는 교육청 지침을 어겼는데도 결재가 된 것은
검토 과정이 부실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지침에는 검토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학교 재량에 맡길 뿐입니다.

<최광희/전남교육청 교육과정운영팀장>
"평가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시킬 어떤 정책적인 방안을 더 모색해야겠다는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학교를 대상으로 특별감사에 들어간 전남도 교육청은 다른 학년과 과목에서 같은 사례가 있었는 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교육청은 또 다른 학교에도 참고서 문제의 시험 출제 여부와 심화반 전용교재의 시험 출제 등을 검토하라는 공문을 보낼 예정이지만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실효성은 낮아 보입니다.

<이혁재/전남도의원>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해당학교뿐만 아니라 일반계 고등학교에 대한 전수조사를 해야 될 것이고요."

이런 가운데 해당 학교는 지침에 위반한 문제가 2문항이고 점수 차이에 큰 변화가 없어
재시험을 치르지 않겠다고 밝혀 논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최정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