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이희호 여사 추모식 비용 미지급’ 설훈·김한정 “누끼쳐 송구, 국민께 사과”
입력 2019.08.07 (16:52)
수정 2019.08.07 (16: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故 이희호 여사의 추모식 비용 수천만 원이 50여 일 넘게 업체들에 지급되지 않고 있다는 어제(6일) KBS 보도와 관련해 장례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을 맡았던 설훈·김한정 민주당 국회의원이 사과의 뜻을 밝혔습니다.
설훈·김한정 의원과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은 오늘(7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일로 상심이 크실 국민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여성 지도자 故 이희호 여사의 명예에 누를 끼치게 되어 매우 송구스러운 마음뿐"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사회장 비용 지급이 늦어져 본의 아니게 피해를 끼친 업체 관계자에게도 사과드린다"면서 "이번 일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이들은 비용 미지급의 책임은 김성재 김대중평화센터 상임이사에게 있다고 재차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들은 "정부 장례보조금은 유족에게 지급됐고, 지원 취지에 따라 제반 장례비용에 사용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단법인 김대중평화센터는 유족과 상의도 없이 사회장 비용에 대해서만 지급하지 않았다"면서 "김성재 상임임사 개인이 결정할 수도 없고 결정해서도 안 된다"고 전했습니다.
또 "김성재 상임이사 개인의 잘못된 결정으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고인의 명예가 더 이상 실추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전했습니다.
장례위 집행위원장을 맡았던 김성재 상임이사도 취재진에게 문자를 보내 비용 미지급에 대한 책임은 설훈·김한정 의원 측에 있다고 재차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상임이사는 "본래 장례식순에는 추모식이 없었는데, 장례식을 두 번 하는 게 된다는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두 의원이 강력하게 주장해 안장식 전 현충관에서 추모식을 갖기로 하고, 두 의원이 주관한다고 했으며 비용도 국회의원들의 후원금으로 별도 충당한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장례집행위원장으로서 모든 장례를 마치고, 사회장 주관단체인 김대중평화센터 이사회에 정산 회계보고까지 하고 행정안전부에도 보고했다"면서 "이렇게 장례집행위원장 업무가 끝이 났는데, 김한정 의원실에서 관련 업체들에 '김대중평화센터에 가서 비용을 달라고 하라'고 해서 비용 문제가 나온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어제 KBS는 지난 6월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故 이희호 여사의 추모식과 관련해 꽃 제단 마련과 행사진행 등에 모두 4천5백만 원의 비용이 들었지만, 50여 일 넘게 업체들에 비용지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추모식에 사용된 故 이희호 여사의 영정사진조차 관련 업체에 수십 일간 방치돼 오다 취재가 시작된 이후 뒤늦게 찾아갔다고 보도했습니다. 사회장으로 치러진 이희호 여사의 장례엔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부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억 원의 장례보조금을 지급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설훈·김한정 의원과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은 오늘(7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일로 상심이 크실 국민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여성 지도자 故 이희호 여사의 명예에 누를 끼치게 되어 매우 송구스러운 마음뿐"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사회장 비용 지급이 늦어져 본의 아니게 피해를 끼친 업체 관계자에게도 사과드린다"면서 "이번 일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이들은 비용 미지급의 책임은 김성재 김대중평화센터 상임이사에게 있다고 재차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들은 "정부 장례보조금은 유족에게 지급됐고, 지원 취지에 따라 제반 장례비용에 사용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단법인 김대중평화센터는 유족과 상의도 없이 사회장 비용에 대해서만 지급하지 않았다"면서 "김성재 상임임사 개인이 결정할 수도 없고 결정해서도 안 된다"고 전했습니다.
또 "김성재 상임이사 개인의 잘못된 결정으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고인의 명예가 더 이상 실추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전했습니다.
장례위 집행위원장을 맡았던 김성재 상임이사도 취재진에게 문자를 보내 비용 미지급에 대한 책임은 설훈·김한정 의원 측에 있다고 재차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상임이사는 "본래 장례식순에는 추모식이 없었는데, 장례식을 두 번 하는 게 된다는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두 의원이 강력하게 주장해 안장식 전 현충관에서 추모식을 갖기로 하고, 두 의원이 주관한다고 했으며 비용도 국회의원들의 후원금으로 별도 충당한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장례집행위원장으로서 모든 장례를 마치고, 사회장 주관단체인 김대중평화센터 이사회에 정산 회계보고까지 하고 행정안전부에도 보고했다"면서 "이렇게 장례집행위원장 업무가 끝이 났는데, 김한정 의원실에서 관련 업체들에 '김대중평화센터에 가서 비용을 달라고 하라'고 해서 비용 문제가 나온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어제 KBS는 지난 6월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故 이희호 여사의 추모식과 관련해 꽃 제단 마련과 행사진행 등에 모두 4천5백만 원의 비용이 들었지만, 50여 일 넘게 업체들에 비용지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추모식에 사용된 故 이희호 여사의 영정사진조차 관련 업체에 수십 일간 방치돼 오다 취재가 시작된 이후 뒤늦게 찾아갔다고 보도했습니다. 사회장으로 치러진 이희호 여사의 장례엔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부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억 원의 장례보조금을 지급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故 이희호 여사 추모식 비용 미지급’ 설훈·김한정 “누끼쳐 송구, 국민께 사과”
-
- 입력 2019-08-07 16:52:41
- 수정2019-08-07 16:55:54

故 이희호 여사의 추모식 비용 수천만 원이 50여 일 넘게 업체들에 지급되지 않고 있다는 어제(6일) KBS 보도와 관련해 장례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을 맡았던 설훈·김한정 민주당 국회의원이 사과의 뜻을 밝혔습니다.
설훈·김한정 의원과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은 오늘(7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일로 상심이 크실 국민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여성 지도자 故 이희호 여사의 명예에 누를 끼치게 되어 매우 송구스러운 마음뿐"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사회장 비용 지급이 늦어져 본의 아니게 피해를 끼친 업체 관계자에게도 사과드린다"면서 "이번 일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이들은 비용 미지급의 책임은 김성재 김대중평화센터 상임이사에게 있다고 재차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들은 "정부 장례보조금은 유족에게 지급됐고, 지원 취지에 따라 제반 장례비용에 사용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단법인 김대중평화센터는 유족과 상의도 없이 사회장 비용에 대해서만 지급하지 않았다"면서 "김성재 상임임사 개인이 결정할 수도 없고 결정해서도 안 된다"고 전했습니다.
또 "김성재 상임이사 개인의 잘못된 결정으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고인의 명예가 더 이상 실추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전했습니다.
장례위 집행위원장을 맡았던 김성재 상임이사도 취재진에게 문자를 보내 비용 미지급에 대한 책임은 설훈·김한정 의원 측에 있다고 재차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상임이사는 "본래 장례식순에는 추모식이 없었는데, 장례식을 두 번 하는 게 된다는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두 의원이 강력하게 주장해 안장식 전 현충관에서 추모식을 갖기로 하고, 두 의원이 주관한다고 했으며 비용도 국회의원들의 후원금으로 별도 충당한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장례집행위원장으로서 모든 장례를 마치고, 사회장 주관단체인 김대중평화센터 이사회에 정산 회계보고까지 하고 행정안전부에도 보고했다"면서 "이렇게 장례집행위원장 업무가 끝이 났는데, 김한정 의원실에서 관련 업체들에 '김대중평화센터에 가서 비용을 달라고 하라'고 해서 비용 문제가 나온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어제 KBS는 지난 6월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故 이희호 여사의 추모식과 관련해 꽃 제단 마련과 행사진행 등에 모두 4천5백만 원의 비용이 들었지만, 50여 일 넘게 업체들에 비용지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추모식에 사용된 故 이희호 여사의 영정사진조차 관련 업체에 수십 일간 방치돼 오다 취재가 시작된 이후 뒤늦게 찾아갔다고 보도했습니다. 사회장으로 치러진 이희호 여사의 장례엔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부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억 원의 장례보조금을 지급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설훈·김한정 의원과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은 오늘(7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일로 상심이 크실 국민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여성 지도자 故 이희호 여사의 명예에 누를 끼치게 되어 매우 송구스러운 마음뿐"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사회장 비용 지급이 늦어져 본의 아니게 피해를 끼친 업체 관계자에게도 사과드린다"면서 "이번 일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이들은 비용 미지급의 책임은 김성재 김대중평화센터 상임이사에게 있다고 재차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들은 "정부 장례보조금은 유족에게 지급됐고, 지원 취지에 따라 제반 장례비용에 사용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단법인 김대중평화센터는 유족과 상의도 없이 사회장 비용에 대해서만 지급하지 않았다"면서 "김성재 상임임사 개인이 결정할 수도 없고 결정해서도 안 된다"고 전했습니다.
또 "김성재 상임이사 개인의 잘못된 결정으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것을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고인의 명예가 더 이상 실추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전했습니다.
장례위 집행위원장을 맡았던 김성재 상임이사도 취재진에게 문자를 보내 비용 미지급에 대한 책임은 설훈·김한정 의원 측에 있다고 재차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상임이사는 "본래 장례식순에는 추모식이 없었는데, 장례식을 두 번 하는 게 된다는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두 의원이 강력하게 주장해 안장식 전 현충관에서 추모식을 갖기로 하고, 두 의원이 주관한다고 했으며 비용도 국회의원들의 후원금으로 별도 충당한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장례집행위원장으로서 모든 장례를 마치고, 사회장 주관단체인 김대중평화센터 이사회에 정산 회계보고까지 하고 행정안전부에도 보고했다"면서 "이렇게 장례집행위원장 업무가 끝이 났는데, 김한정 의원실에서 관련 업체들에 '김대중평화센터에 가서 비용을 달라고 하라'고 해서 비용 문제가 나온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어제 KBS는 지난 6월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故 이희호 여사의 추모식과 관련해 꽃 제단 마련과 행사진행 등에 모두 4천5백만 원의 비용이 들었지만, 50여 일 넘게 업체들에 비용지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추모식에 사용된 故 이희호 여사의 영정사진조차 관련 업체에 수십 일간 방치돼 오다 취재가 시작된 이후 뒤늦게 찾아갔다고 보도했습니다. 사회장으로 치러진 이희호 여사의 장례엔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부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억 원의 장례보조금을 지급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오대성 기자 ohwhy@kbs.co.kr
오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