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 “북한 일련의 시험으로 미사일 완성 중” 하지만 당장 대응은 안해

입력 2019.08.07 (17:10) 수정 2019.08.07 (17: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볼턴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이, 신형 미사일을 완성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실험을 했다는 데 주목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그에 당장 대응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아시아 배치는 계속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박에스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볼턴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이 같은 종류의 미사일을 단기간에 걸쳐 반복해서 발사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탄도미사일로 드러났다면서, 북한이, 그 미사일이 완전히 작동하도록 만들기 위해 일련의 시험발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성능을 완성시키려는 목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북한도 군사 훈련을 전혀 억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시뮬레이션 위주인 현재의 한미군사훈련을 비난할 처지가 아니라고 일갈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당장 조치를 취할 생각은 없음을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합의는, '북한이 장거리,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하지 않는 것'이라고 다시 확인했습니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동북아시아에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하는 안은 검토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볼턴 보좌관은, 중국이 이미 수천개의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했기 때문에 미군과 한국, 일본, 여타지역 동맹군 방어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은 미-러 중거리 핵전력 조약 파기 이후, 지상발사형 중거리 미사일의 아시아 배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에스퍼 장관은 어떤 종류의 미사일이든 실제로 배치하기까지 몇 년이 걸리는 만큼 아직 어떤 나라에도 배치를 요청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어디가 좋을지 동맹국과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볼턴 “북한 일련의 시험으로 미사일 완성 중” 하지만 당장 대응은 안해
    • 입력 2019-08-07 17:12:20
    • 수정2019-08-07 17:17:24
    뉴스 5
[앵커]

볼턴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이, 신형 미사일을 완성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실험을 했다는 데 주목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그에 당장 대응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아시아 배치는 계속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박에스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볼턴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이 같은 종류의 미사일을 단기간에 걸쳐 반복해서 발사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탄도미사일로 드러났다면서, 북한이, 그 미사일이 완전히 작동하도록 만들기 위해 일련의 시험발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성능을 완성시키려는 목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북한도 군사 훈련을 전혀 억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시뮬레이션 위주인 현재의 한미군사훈련을 비난할 처지가 아니라고 일갈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당장 조치를 취할 생각은 없음을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합의는, '북한이 장거리,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하지 않는 것'이라고 다시 확인했습니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동북아시아에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하는 안은 검토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볼턴 보좌관은, 중국이 이미 수천개의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했기 때문에 미군과 한국, 일본, 여타지역 동맹군 방어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은 미-러 중거리 핵전력 조약 파기 이후, 지상발사형 중거리 미사일의 아시아 배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에스퍼 장관은 어떤 종류의 미사일이든 실제로 배치하기까지 몇 년이 걸리는 만큼 아직 어떤 나라에도 배치를 요청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어디가 좋을지 동맹국과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