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일제 손에 사라진 ‘동십자각 조각상’…90년 만에 찾았다
입력 2019.08.07 (21:44)
수정 2019.08.07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경복궁 담장과 연결돼 있었던 누각, '동십자각'을 지키던 조각상이 발견됐습니다.
일제가 담장을 허물면서 누각의 계단과 계단 입구의 조각상까지 사라져버린지 90여 년 만입니다.
유동엽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복궁 동남쪽 도로 한복판에 서 있는 동십자각.
교통섬처럼 보이는 이 건물은 본래 경복궁 담장 모서리에 있던 누각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 흑백 사진에서 본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담장을 끊어낸 건 1920년대 말 당시 일본인들의 소행이었습니다.
[홍순민/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 : "(일제가) 경복궁 뒤편에서 대규모 박람회를 개최하는데요. 그러면서 주변의 도로를 확장하고 정비하는 일을 벌이는데 그와 함께 동십자각이 이렇게 떨어져 나가게 되지 않았을까..."]
일제가 담장을 철거하면서 동십자각의 계단도 없어졌습니다.
입구에는 상서로운 동물의 형상을 한 조각상도 서 있었는데 그때 함께 사라졌습니다.
그동안 자취를 모르던 이 조각상이 뜻밖의 장소에서 발견됐습니다.
문화재청이 최근 궁궐 안에 보관된 석조물 현황을 조사하는 과정에 창덕궁 내 현장사무실 근처에서 찾아낸 겁니다.
이것과 짝을 이루는 서십자각 조각상과 비교해 보니 사라졌던 동십자각 조각상이 맞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정연/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복원정비과장 : "사진하고 같은 위치를 비교해서 무늬 하나, 문양 하나를 세어 볼 때 아니면 전체적인 형태를 볼 때 일치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었습니다."]
일제에 의해 사라졌다가 90여 년 만에 발견한 동십자각 조각상.
문화재청은 일제가 훼손한 경복궁 담장을 복원하고 조각상도 제자리에 돌려놓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경복궁 담장과 연결돼 있었던 누각, '동십자각'을 지키던 조각상이 발견됐습니다.
일제가 담장을 허물면서 누각의 계단과 계단 입구의 조각상까지 사라져버린지 90여 년 만입니다.
유동엽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복궁 동남쪽 도로 한복판에 서 있는 동십자각.
교통섬처럼 보이는 이 건물은 본래 경복궁 담장 모서리에 있던 누각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 흑백 사진에서 본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담장을 끊어낸 건 1920년대 말 당시 일본인들의 소행이었습니다.
[홍순민/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 : "(일제가) 경복궁 뒤편에서 대규모 박람회를 개최하는데요. 그러면서 주변의 도로를 확장하고 정비하는 일을 벌이는데 그와 함께 동십자각이 이렇게 떨어져 나가게 되지 않았을까..."]
일제가 담장을 철거하면서 동십자각의 계단도 없어졌습니다.
입구에는 상서로운 동물의 형상을 한 조각상도 서 있었는데 그때 함께 사라졌습니다.
그동안 자취를 모르던 이 조각상이 뜻밖의 장소에서 발견됐습니다.
문화재청이 최근 궁궐 안에 보관된 석조물 현황을 조사하는 과정에 창덕궁 내 현장사무실 근처에서 찾아낸 겁니다.
이것과 짝을 이루는 서십자각 조각상과 비교해 보니 사라졌던 동십자각 조각상이 맞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정연/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복원정비과장 : "사진하고 같은 위치를 비교해서 무늬 하나, 문양 하나를 세어 볼 때 아니면 전체적인 형태를 볼 때 일치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었습니다."]
일제에 의해 사라졌다가 90여 년 만에 발견한 동십자각 조각상.
문화재청은 일제가 훼손한 경복궁 담장을 복원하고 조각상도 제자리에 돌려놓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일제 손에 사라진 ‘동십자각 조각상’…90년 만에 찾았다
-
- 입력 2019-08-07 21:46:59
- 수정2019-08-07 22:30:04

[앵커]
경복궁 담장과 연결돼 있었던 누각, '동십자각'을 지키던 조각상이 발견됐습니다.
일제가 담장을 허물면서 누각의 계단과 계단 입구의 조각상까지 사라져버린지 90여 년 만입니다.
유동엽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복궁 동남쪽 도로 한복판에 서 있는 동십자각.
교통섬처럼 보이는 이 건물은 본래 경복궁 담장 모서리에 있던 누각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 흑백 사진에서 본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담장을 끊어낸 건 1920년대 말 당시 일본인들의 소행이었습니다.
[홍순민/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 : "(일제가) 경복궁 뒤편에서 대규모 박람회를 개최하는데요. 그러면서 주변의 도로를 확장하고 정비하는 일을 벌이는데 그와 함께 동십자각이 이렇게 떨어져 나가게 되지 않았을까..."]
일제가 담장을 철거하면서 동십자각의 계단도 없어졌습니다.
입구에는 상서로운 동물의 형상을 한 조각상도 서 있었는데 그때 함께 사라졌습니다.
그동안 자취를 모르던 이 조각상이 뜻밖의 장소에서 발견됐습니다.
문화재청이 최근 궁궐 안에 보관된 석조물 현황을 조사하는 과정에 창덕궁 내 현장사무실 근처에서 찾아낸 겁니다.
이것과 짝을 이루는 서십자각 조각상과 비교해 보니 사라졌던 동십자각 조각상이 맞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정연/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복원정비과장 : "사진하고 같은 위치를 비교해서 무늬 하나, 문양 하나를 세어 볼 때 아니면 전체적인 형태를 볼 때 일치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었습니다."]
일제에 의해 사라졌다가 90여 년 만에 발견한 동십자각 조각상.
문화재청은 일제가 훼손한 경복궁 담장을 복원하고 조각상도 제자리에 돌려놓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경복궁 담장과 연결돼 있었던 누각, '동십자각'을 지키던 조각상이 발견됐습니다.
일제가 담장을 허물면서 누각의 계단과 계단 입구의 조각상까지 사라져버린지 90여 년 만입니다.
유동엽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복궁 동남쪽 도로 한복판에 서 있는 동십자각.
교통섬처럼 보이는 이 건물은 본래 경복궁 담장 모서리에 있던 누각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 흑백 사진에서 본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담장을 끊어낸 건 1920년대 말 당시 일본인들의 소행이었습니다.
[홍순민/명지대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교수 : "(일제가) 경복궁 뒤편에서 대규모 박람회를 개최하는데요. 그러면서 주변의 도로를 확장하고 정비하는 일을 벌이는데 그와 함께 동십자각이 이렇게 떨어져 나가게 되지 않았을까..."]
일제가 담장을 철거하면서 동십자각의 계단도 없어졌습니다.
입구에는 상서로운 동물의 형상을 한 조각상도 서 있었는데 그때 함께 사라졌습니다.
그동안 자취를 모르던 이 조각상이 뜻밖의 장소에서 발견됐습니다.
문화재청이 최근 궁궐 안에 보관된 석조물 현황을 조사하는 과정에 창덕궁 내 현장사무실 근처에서 찾아낸 겁니다.
이것과 짝을 이루는 서십자각 조각상과 비교해 보니 사라졌던 동십자각 조각상이 맞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정연/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복원정비과장 : "사진하고 같은 위치를 비교해서 무늬 하나, 문양 하나를 세어 볼 때 아니면 전체적인 형태를 볼 때 일치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었습니다."]
일제에 의해 사라졌다가 90여 년 만에 발견한 동십자각 조각상.
문화재청은 일제가 훼손한 경복궁 담장을 복원하고 조각상도 제자리에 돌려놓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
유동엽 기자 imhere@kbs.co.kr
유동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