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반드시 전화위복”…‘국산화 힘 싣기’ 시동

입력 2019.08.08 (06:28) 수정 2019.08.08 (14: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이 시행령을 공포하자마자, 문재인 대통령은 한 중소기업을 방문했습니다.

일본에 의존하던 로봇부품의 국산화에 성공한 강소기업이었는데, 정부는 부품 소재 산업의 국산화, 탈일본화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크게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이병도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전에 일본이 시행령을 공포하자, 문 대통령은 곧바로 로봇 부품업체를 찾았습니다.

일본에서 수입해오던 로봇용 감속기를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곳입니다.

이른바 극일 첨병업체인 셈입니다.

핵심 부품이 베어링인데, 이 베어링은 일본의 전략물자로, 백색국가 제외조치에 따라 일본의 수출규제 대상입니다

[손정윤/로봇 부품업체 이사 : "오랜 시간 구부렸다 폈다 하면서도 내구성을 견딜 수 있는 기술이 이 제품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 "이렇게 톱니바퀴식으로 돼 있어서 '치형'이라고 부릅니까? (네, 맞습니다.)"]

이어진 간담회, 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통령으로서 여러분께 감사 박수를 한번..."]

문 대통령은 기술력이 한 나라를 먹여 살린다며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우리가 선진국으로 도약한 것도 기술력 덕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의 규제로 당장은 어렵지만 길게 보고 우리 산업 생태계를 바꾸는 기회로 삼자고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국민들과 기업들은 이번에도 반드시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서 우리 경제와 산업을 더 키워내실거라 믿습니다."]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며 연구개발 예산과 병역특례 지원을 중소기업에 더 많이 배분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일본을 반드시 뛰어넘자는 문 대통령의 극일 행보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병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 대통령 “반드시 전화위복”…‘국산화 힘 싣기’ 시동
    • 입력 2019-08-08 06:43:01
    • 수정2019-08-08 14:37:02
    뉴스광장 1부
[앵커]

일본이 시행령을 공포하자마자, 문재인 대통령은 한 중소기업을 방문했습니다.

일본에 의존하던 로봇부품의 국산화에 성공한 강소기업이었는데, 정부는 부품 소재 산업의 국산화, 탈일본화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크게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이병도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전에 일본이 시행령을 공포하자, 문 대통령은 곧바로 로봇 부품업체를 찾았습니다.

일본에서 수입해오던 로봇용 감속기를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곳입니다.

이른바 극일 첨병업체인 셈입니다.

핵심 부품이 베어링인데, 이 베어링은 일본의 전략물자로, 백색국가 제외조치에 따라 일본의 수출규제 대상입니다

[손정윤/로봇 부품업체 이사 : "오랜 시간 구부렸다 폈다 하면서도 내구성을 견딜 수 있는 기술이 이 제품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 "이렇게 톱니바퀴식으로 돼 있어서 '치형'이라고 부릅니까? (네, 맞습니다.)"]

이어진 간담회, 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대통령으로서 여러분께 감사 박수를 한번..."]

문 대통령은 기술력이 한 나라를 먹여 살린다며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우리가 선진국으로 도약한 것도 기술력 덕분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의 규제로 당장은 어렵지만 길게 보고 우리 산업 생태계를 바꾸는 기회로 삼자고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국민들과 기업들은 이번에도 반드시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서 우리 경제와 산업을 더 키워내실거라 믿습니다."]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며 연구개발 예산과 병역특례 지원을 중소기업에 더 많이 배분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일본을 반드시 뛰어넘자는 문 대통령의 극일 행보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병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