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 위한 수출상황지수 개발”
입력 2019.08.12 (12:00)
수정 2019.08.12 (13: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출 경기 흐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수출상황지수(ET-COIN)'가 새롭게 개발됐습니다.
한국은행 이동원 차장과 임성운 조사역은 한은 조사통계월보 7월호에 실린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을 위한 수출상황지수(ET-COIN) 개발'에서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 당분기 상품수출 등에 활용하기 위해 수출상황지수(이하 ET-COIN)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기존의 수출지표들은 업체사정과 영업일수 변화 등 단기·특이요인으로 변동성이 크고, 상품수출의 경우 작성주기와 공표시기 등의 측면에서 속보성도 떨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수출 관련 경제활동을 포괄적·객관적으로 보여주면서, 속보성이 우수하고, 단기·특이 변동요소가 제외된 지표가 필요했다고 검토 배경을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변동성이 높은 수출지표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한국은행 경기상황지수(이하 BOK-COIN) 시산방법을 보완해, 수출지표의 중장기 변동요소인 ET-COIN을 시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ET-COIN은 정보변수로부터 추출한 공통요인에 GDP성장률, 수출지표 등 대상지표를 투사할 때 신축망 정규화를 이용하고, 중장기 요인만 활용한다는 점에서 ECB의 EURO-COIN, 한국은행의 BOK-COIN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시산 결과, 상품수출 및 통관수출로 산출한 ET-COIN은 단기·특이 변동요소가 제외됨에 따라 안정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면서 수출지표의 기조적 흐름을 잘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기존 추세추출법보다 수출지표 시계열자료의 추가 공표에 따라 끝단치가 변경되는 폭이 작아 최근 시점의 수출 흐름을 판단하는 데 유용했고, 상품수출에 대한 기초전망치로서의 특성도 우수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출여건의 변화가 빈번한 만큼 교역여건, 지정학적 리스크 등 수출관련 정보변수를 확충하는 한편 대규모 정보변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생산관계, 주요국 경제구조 등 구조적 변화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변동주기 결정방법, 중장기 요인 식별법 등을 개선해나갈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 이동원 차장과 임성운 조사역은 한은 조사통계월보 7월호에 실린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을 위한 수출상황지수(ET-COIN) 개발'에서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 당분기 상품수출 등에 활용하기 위해 수출상황지수(이하 ET-COIN)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기존의 수출지표들은 업체사정과 영업일수 변화 등 단기·특이요인으로 변동성이 크고, 상품수출의 경우 작성주기와 공표시기 등의 측면에서 속보성도 떨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수출 관련 경제활동을 포괄적·객관적으로 보여주면서, 속보성이 우수하고, 단기·특이 변동요소가 제외된 지표가 필요했다고 검토 배경을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변동성이 높은 수출지표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한국은행 경기상황지수(이하 BOK-COIN) 시산방법을 보완해, 수출지표의 중장기 변동요소인 ET-COIN을 시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ET-COIN은 정보변수로부터 추출한 공통요인에 GDP성장률, 수출지표 등 대상지표를 투사할 때 신축망 정규화를 이용하고, 중장기 요인만 활용한다는 점에서 ECB의 EURO-COIN, 한국은행의 BOK-COIN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시산 결과, 상품수출 및 통관수출로 산출한 ET-COIN은 단기·특이 변동요소가 제외됨에 따라 안정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면서 수출지표의 기조적 흐름을 잘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기존 추세추출법보다 수출지표 시계열자료의 추가 공표에 따라 끝단치가 변경되는 폭이 작아 최근 시점의 수출 흐름을 판단하는 데 유용했고, 상품수출에 대한 기초전망치로서의 특성도 우수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출여건의 변화가 빈번한 만큼 교역여건, 지정학적 리스크 등 수출관련 정보변수를 확충하는 한편 대규모 정보변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생산관계, 주요국 경제구조 등 구조적 변화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변동주기 결정방법, 중장기 요인 식별법 등을 개선해나갈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 위한 수출상황지수 개발”
-
- 입력 2019-08-12 12:00:16
- 수정2019-08-12 13:05:46

수출 경기 흐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수출상황지수(ET-COIN)'가 새롭게 개발됐습니다.
한국은행 이동원 차장과 임성운 조사역은 한은 조사통계월보 7월호에 실린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을 위한 수출상황지수(ET-COIN) 개발'에서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 당분기 상품수출 등에 활용하기 위해 수출상황지수(이하 ET-COIN)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기존의 수출지표들은 업체사정과 영업일수 변화 등 단기·특이요인으로 변동성이 크고, 상품수출의 경우 작성주기와 공표시기 등의 측면에서 속보성도 떨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수출 관련 경제활동을 포괄적·객관적으로 보여주면서, 속보성이 우수하고, 단기·특이 변동요소가 제외된 지표가 필요했다고 검토 배경을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변동성이 높은 수출지표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한국은행 경기상황지수(이하 BOK-COIN) 시산방법을 보완해, 수출지표의 중장기 변동요소인 ET-COIN을 시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ET-COIN은 정보변수로부터 추출한 공통요인에 GDP성장률, 수출지표 등 대상지표를 투사할 때 신축망 정규화를 이용하고, 중장기 요인만 활용한다는 점에서 ECB의 EURO-COIN, 한국은행의 BOK-COIN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시산 결과, 상품수출 및 통관수출로 산출한 ET-COIN은 단기·특이 변동요소가 제외됨에 따라 안정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면서 수출지표의 기조적 흐름을 잘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기존 추세추출법보다 수출지표 시계열자료의 추가 공표에 따라 끝단치가 변경되는 폭이 작아 최근 시점의 수출 흐름을 판단하는 데 유용했고, 상품수출에 대한 기초전망치로서의 특성도 우수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출여건의 변화가 빈번한 만큼 교역여건, 지정학적 리스크 등 수출관련 정보변수를 확충하는 한편 대규모 정보변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생산관계, 주요국 경제구조 등 구조적 변화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변동주기 결정방법, 중장기 요인 식별법 등을 개선해나갈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 이동원 차장과 임성운 조사역은 한은 조사통계월보 7월호에 실린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을 위한 수출상황지수(ET-COIN) 개발'에서 "수출의 기조적 흐름 판단, 당분기 상품수출 등에 활용하기 위해 수출상황지수(이하 ET-COIN)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기존의 수출지표들은 업체사정과 영업일수 변화 등 단기·특이요인으로 변동성이 크고, 상품수출의 경우 작성주기와 공표시기 등의 측면에서 속보성도 떨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수출 관련 경제활동을 포괄적·객관적으로 보여주면서, 속보성이 우수하고, 단기·특이 변동요소가 제외된 지표가 필요했다고 검토 배경을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변동성이 높은 수출지표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한국은행 경기상황지수(이하 BOK-COIN) 시산방법을 보완해, 수출지표의 중장기 변동요소인 ET-COIN을 시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ET-COIN은 정보변수로부터 추출한 공통요인에 GDP성장률, 수출지표 등 대상지표를 투사할 때 신축망 정규화를 이용하고, 중장기 요인만 활용한다는 점에서 ECB의 EURO-COIN, 한국은행의 BOK-COIN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시산 결과, 상품수출 및 통관수출로 산출한 ET-COIN은 단기·특이 변동요소가 제외됨에 따라 안정적인 움직임을 나타내면서 수출지표의 기조적 흐름을 잘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기존 추세추출법보다 수출지표 시계열자료의 추가 공표에 따라 끝단치가 변경되는 폭이 작아 최근 시점의 수출 흐름을 판단하는 데 유용했고, 상품수출에 대한 기초전망치로서의 특성도 우수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출여건의 변화가 빈번한 만큼 교역여건, 지정학적 리스크 등 수출관련 정보변수를 확충하는 한편 대규모 정보변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생산관계, 주요국 경제구조 등 구조적 변화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변동주기 결정방법, 중장기 요인 식별법 등을 개선해나갈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민철 기자 mckim@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