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서 일본군이 운영한 ‘위안소’, 프랑스군 공식 문서로 확인
입력 2019.08.12 (18:29)
수정 2019.08.12 (1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940년대 베트남 지역을 침공한 일본군이 주둔 지역에 '위안소'를 설치한 사실이 프랑스군 공식 문서로 확인됐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프랑스 해외영토자료관(ANOM)에 소장된 프랑스군 문서를 분석해 하이퐁과 박닌, 하노이 등지에 일본군 위안소가 설치됐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일본군은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프랑스 비시정부와 협력해 1940년 9월 베트남 북부에 진주했고 이듬해에는 하이퐁, 박닌, 하노이 등으로 진출했습니다.
이번에 확인된 1940년 10월 7∼10일 사이 하이퐁의 프랑스군 보고서는 "(일본) 육군과 해군이 각각 사용할 2개의 위안소(Maisons de Tolerance)가 비엔 호숫가에 일본군에 의해 세워질 것"이라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파리 7대학 마리 오랑쥬 교수, 재불사학자 이장규 씨가 참여한 조사단은 박닌의 일본군 기지 배치도와 하노이 시내의 일본군 배치도에 위안소가 표기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박닌 지도는 위안소가 일본군 기지 경계선에 붙어 있어서 위안소가 일본군이 직접적으로 통제·관리하는 시설이었음을 보여줍니다.
하노이 시내 위안소는 지도에 프로스티튀에(prostituees)로 표기됐으며, 일본군 주요 시설들과 함께 시내에 자리해 있습니다.
프랑스군 보고서는 1941년 2월 하이퐁을 통해 간호사 70명과 신원 불명의 여성 25명이 도착했다는 사실도 기록했습니다.
국사편찬위는 "프랑스군 보고서가 일본군 관련 내용만을 추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여성들이 일본군과 어떠한 관련이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라면서 "간호사와 구분되는 군 관련 여성들은 '위안부'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국사편찬위원회는 프랑스 해외영토자료관(ANOM)에 소장된 프랑스군 문서를 분석해 하이퐁과 박닌, 하노이 등지에 일본군 위안소가 설치됐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일본군은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프랑스 비시정부와 협력해 1940년 9월 베트남 북부에 진주했고 이듬해에는 하이퐁, 박닌, 하노이 등으로 진출했습니다.
이번에 확인된 1940년 10월 7∼10일 사이 하이퐁의 프랑스군 보고서는 "(일본) 육군과 해군이 각각 사용할 2개의 위안소(Maisons de Tolerance)가 비엔 호숫가에 일본군에 의해 세워질 것"이라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파리 7대학 마리 오랑쥬 교수, 재불사학자 이장규 씨가 참여한 조사단은 박닌의 일본군 기지 배치도와 하노이 시내의 일본군 배치도에 위안소가 표기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박닌 지도는 위안소가 일본군 기지 경계선에 붙어 있어서 위안소가 일본군이 직접적으로 통제·관리하는 시설이었음을 보여줍니다.
하노이 시내 위안소는 지도에 프로스티튀에(prostituees)로 표기됐으며, 일본군 주요 시설들과 함께 시내에 자리해 있습니다.
프랑스군 보고서는 1941년 2월 하이퐁을 통해 간호사 70명과 신원 불명의 여성 25명이 도착했다는 사실도 기록했습니다.
국사편찬위는 "프랑스군 보고서가 일본군 관련 내용만을 추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여성들이 일본군과 어떠한 관련이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라면서 "간호사와 구분되는 군 관련 여성들은 '위안부'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베트남서 일본군이 운영한 ‘위안소’, 프랑스군 공식 문서로 확인
-
- 입력 2019-08-12 18:29:15
- 수정2019-08-12 19:19:23

1940년대 베트남 지역을 침공한 일본군이 주둔 지역에 '위안소'를 설치한 사실이 프랑스군 공식 문서로 확인됐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프랑스 해외영토자료관(ANOM)에 소장된 프랑스군 문서를 분석해 하이퐁과 박닌, 하노이 등지에 일본군 위안소가 설치됐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일본군은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프랑스 비시정부와 협력해 1940년 9월 베트남 북부에 진주했고 이듬해에는 하이퐁, 박닌, 하노이 등으로 진출했습니다.
이번에 확인된 1940년 10월 7∼10일 사이 하이퐁의 프랑스군 보고서는 "(일본) 육군과 해군이 각각 사용할 2개의 위안소(Maisons de Tolerance)가 비엔 호숫가에 일본군에 의해 세워질 것"이라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파리 7대학 마리 오랑쥬 교수, 재불사학자 이장규 씨가 참여한 조사단은 박닌의 일본군 기지 배치도와 하노이 시내의 일본군 배치도에 위안소가 표기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박닌 지도는 위안소가 일본군 기지 경계선에 붙어 있어서 위안소가 일본군이 직접적으로 통제·관리하는 시설이었음을 보여줍니다.
하노이 시내 위안소는 지도에 프로스티튀에(prostituees)로 표기됐으며, 일본군 주요 시설들과 함께 시내에 자리해 있습니다.
프랑스군 보고서는 1941년 2월 하이퐁을 통해 간호사 70명과 신원 불명의 여성 25명이 도착했다는 사실도 기록했습니다.
국사편찬위는 "프랑스군 보고서가 일본군 관련 내용만을 추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여성들이 일본군과 어떠한 관련이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라면서 "간호사와 구분되는 군 관련 여성들은 '위안부'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국사편찬위원회는 프랑스 해외영토자료관(ANOM)에 소장된 프랑스군 문서를 분석해 하이퐁과 박닌, 하노이 등지에 일본군 위안소가 설치됐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일본군은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프랑스 비시정부와 협력해 1940년 9월 베트남 북부에 진주했고 이듬해에는 하이퐁, 박닌, 하노이 등으로 진출했습니다.
이번에 확인된 1940년 10월 7∼10일 사이 하이퐁의 프랑스군 보고서는 "(일본) 육군과 해군이 각각 사용할 2개의 위안소(Maisons de Tolerance)가 비엔 호숫가에 일본군에 의해 세워질 것"이라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파리 7대학 마리 오랑쥬 교수, 재불사학자 이장규 씨가 참여한 조사단은 박닌의 일본군 기지 배치도와 하노이 시내의 일본군 배치도에 위안소가 표기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박닌 지도는 위안소가 일본군 기지 경계선에 붙어 있어서 위안소가 일본군이 직접적으로 통제·관리하는 시설이었음을 보여줍니다.
하노이 시내 위안소는 지도에 프로스티튀에(prostituees)로 표기됐으며, 일본군 주요 시설들과 함께 시내에 자리해 있습니다.
프랑스군 보고서는 1941년 2월 하이퐁을 통해 간호사 70명과 신원 불명의 여성 25명이 도착했다는 사실도 기록했습니다.
국사편찬위는 "프랑스군 보고서가 일본군 관련 내용만을 추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여성들이 일본군과 어떠한 관련이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라면서 "간호사와 구분되는 군 관련 여성들은 '위안부'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
-
유동엽 기자 imhere@kbs.co.kr
유동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