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폭염에 선풍기 과열 화재 잇따라…주의 필요
입력 2019.08.13 (08:22)
수정 2019.08.13 (08: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선풍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선풍기 과열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선풍기는 방안에서 사용하는 데다 신체에 가까운 곳에 두기 때문에 불이 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김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택 한쪽 벽면이 온통 새까맣게 그을렸습니다.
가재도구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탔습니다.
지난 7일 오후 대구의 한 주택에서 선풍기를 켜둔 채 낮잠을 자다가 화재 사고가 났습니다.
[김경희/화재 목격자 : "뭐 때문에 불이 났냐니까 선풍기 때문에 불이 났다고…. 그때는 이미 불로 (집이) 다 탄 상태였어요."]
이처럼 무더위로 선풍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집들이 늘면서 선풍기 과열로 인한 화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최근 5년 동안 선풍기 관련 화재가 705건 발생해 6명이 숨지고 45명이 다쳤습니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7월과 8월 무더위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특히 일반 화재는 화재 한 건 당 인명피해 발생률이 5% 정도지만, 선풍기 화재는 인명피해 발생률이 7%가 넘습니다.
선풍기는 항상 신체 가까이 두는 데다 심야시간에 불이 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신속한 대피가 어렵습니다.
[홍중표/대구소방안전본부 화재조사팀 : "가정의 실내에서 선풍기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모터 부분에서 심한 열이 발생하거나 이상이 발견되면 제품사용을 중단하고 점검을 받거나 제품을 교체해야 합니다."]
선풍기 화재는 대부분 전기 배선이나 모터 과열로 발생하기 때문에, 잠을 잘 때는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화재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선풍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선풍기 과열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선풍기는 방안에서 사용하는 데다 신체에 가까운 곳에 두기 때문에 불이 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김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택 한쪽 벽면이 온통 새까맣게 그을렸습니다.
가재도구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탔습니다.
지난 7일 오후 대구의 한 주택에서 선풍기를 켜둔 채 낮잠을 자다가 화재 사고가 났습니다.
[김경희/화재 목격자 : "뭐 때문에 불이 났냐니까 선풍기 때문에 불이 났다고…. 그때는 이미 불로 (집이) 다 탄 상태였어요."]
이처럼 무더위로 선풍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집들이 늘면서 선풍기 과열로 인한 화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최근 5년 동안 선풍기 관련 화재가 705건 발생해 6명이 숨지고 45명이 다쳤습니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7월과 8월 무더위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특히 일반 화재는 화재 한 건 당 인명피해 발생률이 5% 정도지만, 선풍기 화재는 인명피해 발생률이 7%가 넘습니다.
선풍기는 항상 신체 가까이 두는 데다 심야시간에 불이 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신속한 대피가 어렵습니다.
[홍중표/대구소방안전본부 화재조사팀 : "가정의 실내에서 선풍기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모터 부분에서 심한 열이 발생하거나 이상이 발견되면 제품사용을 중단하고 점검을 받거나 제품을 교체해야 합니다."]
선풍기 화재는 대부분 전기 배선이나 모터 과열로 발생하기 때문에, 잠을 잘 때는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화재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일 폭염에 선풍기 과열 화재 잇따라…주의 필요
-
- 입력 2019-08-13 08:24:28
- 수정2019-08-13 08:27:15
[앵커]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선풍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선풍기 과열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선풍기는 방안에서 사용하는 데다 신체에 가까운 곳에 두기 때문에 불이 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김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택 한쪽 벽면이 온통 새까맣게 그을렸습니다.
가재도구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탔습니다.
지난 7일 오후 대구의 한 주택에서 선풍기를 켜둔 채 낮잠을 자다가 화재 사고가 났습니다.
[김경희/화재 목격자 : "뭐 때문에 불이 났냐니까 선풍기 때문에 불이 났다고…. 그때는 이미 불로 (집이) 다 탄 상태였어요."]
이처럼 무더위로 선풍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집들이 늘면서 선풍기 과열로 인한 화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최근 5년 동안 선풍기 관련 화재가 705건 발생해 6명이 숨지고 45명이 다쳤습니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7월과 8월 무더위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특히 일반 화재는 화재 한 건 당 인명피해 발생률이 5% 정도지만, 선풍기 화재는 인명피해 발생률이 7%가 넘습니다.
선풍기는 항상 신체 가까이 두는 데다 심야시간에 불이 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신속한 대피가 어렵습니다.
[홍중표/대구소방안전본부 화재조사팀 : "가정의 실내에서 선풍기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모터 부분에서 심한 열이 발생하거나 이상이 발견되면 제품사용을 중단하고 점검을 받거나 제품을 교체해야 합니다."]
선풍기 화재는 대부분 전기 배선이나 모터 과열로 발생하기 때문에, 잠을 잘 때는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화재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선풍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선풍기 과열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선풍기는 방안에서 사용하는 데다 신체에 가까운 곳에 두기 때문에 불이 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큽니다.
김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주택 한쪽 벽면이 온통 새까맣게 그을렸습니다.
가재도구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탔습니다.
지난 7일 오후 대구의 한 주택에서 선풍기를 켜둔 채 낮잠을 자다가 화재 사고가 났습니다.
[김경희/화재 목격자 : "뭐 때문에 불이 났냐니까 선풍기 때문에 불이 났다고…. 그때는 이미 불로 (집이) 다 탄 상태였어요."]
이처럼 무더위로 선풍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집들이 늘면서 선풍기 과열로 인한 화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최근 5년 동안 선풍기 관련 화재가 705건 발생해 6명이 숨지고 45명이 다쳤습니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7월과 8월 무더위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특히 일반 화재는 화재 한 건 당 인명피해 발생률이 5% 정도지만, 선풍기 화재는 인명피해 발생률이 7%가 넘습니다.
선풍기는 항상 신체 가까이 두는 데다 심야시간에 불이 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신속한 대피가 어렵습니다.
[홍중표/대구소방안전본부 화재조사팀 : "가정의 실내에서 선풍기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모터 부분에서 심한 열이 발생하거나 이상이 발견되면 제품사용을 중단하고 점검을 받거나 제품을 교체해야 합니다."]
선풍기 화재는 대부분 전기 배선이나 모터 과열로 발생하기 때문에, 잠을 잘 때는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화재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합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
-
김지홍 기자 kjhong@kbs.co.kr
김지홍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