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윤한덕 센터장 유공자 지정…응급의료체계 개선은 ‘아직’
입력 2019.08.13 (19:32)
수정 2019.08.13 (19: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에도 일하다 과로로 순직한 故 윤한덕 전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됐습니다.
고인이 떠난 뒤 응급환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책이 논의 중이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멉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증 응급환자들이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
고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평생을 바쳐 이루고자 한 꿈입니다.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 남아서 일하다 순직한 순간까지 윤 전 센터장은 응급의료체계 개선안을 손에 쥐고 있었습니다.
정부가 우리나라 응급 의료체계 발전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해 윤 전 센터장을 국가유공자로 지정했습니다.
민간인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된 건 이번이 두 번째로 아웅산 테러 당시 순직한 외교사절단 이후 30여 년 만입니다.
[장한석/중앙응급의료센터 선임연구원 : "그분 인생에서 응급의료를 빼놓고는 아무것도 없었다고 말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고인이 도입을 추진해온 닥터헬기에는 신화 속 거인을 뜻하는 그의 호출부호, 'ATLAS'가 새겨졌습니다.
이 헬기는 다음 달 국내 첫 24시간 운영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의 못다 한 꿈, 응급의료 체계 개선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협의체도 꾸려졌습니다.
하지만 갈 길은 아직 멉니다.
일부 응급실엔 환자들이 몰려 응급환자가 치료받기까지 12시간 넘게 걸립니다.
[윤순영/중앙응급의료센터 부센터장 : "경증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겠지만, 중증 응급환자들이 입원해야 하는데 입원실이나 중환자실이 모자란 경우들이 있거든요."]
7대에 불과한 닥터헬기를 늘리고, 지역 간 응급의료 격차를 줄이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에도 일하다 과로로 순직한 故 윤한덕 전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됐습니다.
고인이 떠난 뒤 응급환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책이 논의 중이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멉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증 응급환자들이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
고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평생을 바쳐 이루고자 한 꿈입니다.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 남아서 일하다 순직한 순간까지 윤 전 센터장은 응급의료체계 개선안을 손에 쥐고 있었습니다.
정부가 우리나라 응급 의료체계 발전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해 윤 전 센터장을 국가유공자로 지정했습니다.
민간인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된 건 이번이 두 번째로 아웅산 테러 당시 순직한 외교사절단 이후 30여 년 만입니다.
[장한석/중앙응급의료센터 선임연구원 : "그분 인생에서 응급의료를 빼놓고는 아무것도 없었다고 말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고인이 도입을 추진해온 닥터헬기에는 신화 속 거인을 뜻하는 그의 호출부호, 'ATLAS'가 새겨졌습니다.
이 헬기는 다음 달 국내 첫 24시간 운영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의 못다 한 꿈, 응급의료 체계 개선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협의체도 꾸려졌습니다.
하지만 갈 길은 아직 멉니다.
일부 응급실엔 환자들이 몰려 응급환자가 치료받기까지 12시간 넘게 걸립니다.
[윤순영/중앙응급의료센터 부센터장 : "경증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겠지만, 중증 응급환자들이 입원해야 하는데 입원실이나 중환자실이 모자란 경우들이 있거든요."]
7대에 불과한 닥터헬기를 늘리고, 지역 간 응급의료 격차를 줄이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故 윤한덕 센터장 유공자 지정…응급의료체계 개선은 ‘아직’
-
- 입력 2019-08-13 19:34:24
- 수정2019-08-13 19:58:25
[앵커]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에도 일하다 과로로 순직한 故 윤한덕 전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됐습니다.
고인이 떠난 뒤 응급환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책이 논의 중이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멉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증 응급환자들이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
고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평생을 바쳐 이루고자 한 꿈입니다.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 남아서 일하다 순직한 순간까지 윤 전 센터장은 응급의료체계 개선안을 손에 쥐고 있었습니다.
정부가 우리나라 응급 의료체계 발전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해 윤 전 센터장을 국가유공자로 지정했습니다.
민간인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된 건 이번이 두 번째로 아웅산 테러 당시 순직한 외교사절단 이후 30여 년 만입니다.
[장한석/중앙응급의료센터 선임연구원 : "그분 인생에서 응급의료를 빼놓고는 아무것도 없었다고 말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고인이 도입을 추진해온 닥터헬기에는 신화 속 거인을 뜻하는 그의 호출부호, 'ATLAS'가 새겨졌습니다.
이 헬기는 다음 달 국내 첫 24시간 운영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의 못다 한 꿈, 응급의료 체계 개선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협의체도 꾸려졌습니다.
하지만 갈 길은 아직 멉니다.
일부 응급실엔 환자들이 몰려 응급환자가 치료받기까지 12시간 넘게 걸립니다.
[윤순영/중앙응급의료센터 부센터장 : "경증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겠지만, 중증 응급환자들이 입원해야 하는데 입원실이나 중환자실이 모자란 경우들이 있거든요."]
7대에 불과한 닥터헬기를 늘리고, 지역 간 응급의료 격차를 줄이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에도 일하다 과로로 순직한 故 윤한덕 전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됐습니다.
고인이 떠난 뒤 응급환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책이 논의 중이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멉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증 응급환자들이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
고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평생을 바쳐 이루고자 한 꿈입니다.
올해 2월 설 연휴 기간 남아서 일하다 순직한 순간까지 윤 전 센터장은 응급의료체계 개선안을 손에 쥐고 있었습니다.
정부가 우리나라 응급 의료체계 발전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해 윤 전 센터장을 국가유공자로 지정했습니다.
민간인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된 건 이번이 두 번째로 아웅산 테러 당시 순직한 외교사절단 이후 30여 년 만입니다.
[장한석/중앙응급의료센터 선임연구원 : "그분 인생에서 응급의료를 빼놓고는 아무것도 없었다고 말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고인이 도입을 추진해온 닥터헬기에는 신화 속 거인을 뜻하는 그의 호출부호, 'ATLAS'가 새겨졌습니다.
이 헬기는 다음 달 국내 첫 24시간 운영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의 못다 한 꿈, 응급의료 체계 개선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협의체도 꾸려졌습니다.
하지만 갈 길은 아직 멉니다.
일부 응급실엔 환자들이 몰려 응급환자가 치료받기까지 12시간 넘게 걸립니다.
[윤순영/중앙응급의료센터 부센터장 : "경증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겠지만, 중증 응급환자들이 입원해야 하는데 입원실이나 중환자실이 모자란 경우들이 있거든요."]
7대에 불과한 닥터헬기를 늘리고, 지역 간 응급의료 격차를 줄이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