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교류 보류..중국 장쑤성과 성과 거둘까?
입력 2019.08.13 (21:23)
수정 2019.08.13 (23: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일본의 경제 보복 여파로
전라북도와
일본 지자체 간 교류도
줄줄이 미뤄지고 있는데요,
중국 장쑤성과는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어
실질적인 성과가 기대됩니다.
한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14년
한중 양국이 추진하기로 합의한
새만금 한중 산업협력단지.
우리 정부는 곧바로
새만금 한중 산단을
한중 FTA 수출 전진 기지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하고,
중국 정부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스 타이펑/중국 장쑤성장(지난 2016년)
"장쑤성의 기업들이 새만금에 진출해 투자할 수 있도록 하고, 장쑤성과 전라북도가 정상들 간의 합의에 따라 같이 발전하도록..."
하지만
지난 2017년 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양국의 논의가 좀처럼
진전되지 못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자매결연 25주년을 맞아
송하진 도지사가 지난 6월,
장쑤성을 방문해
새만금 한중 산단을 비롯해
군산과 장쑤성 간 항로 개설,
장쑤성 기업의 새만금 투자 유치 등
5가지 협력 사업을 제안했습니다.
이어 이번에는
전라북도 실무협상단이
장쑤성을 찾고,
다음 달에는 장쑤성 측이
군산에서 열릴
한중 산단 협력 교류회에 참가해
논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인터뷰]
나석훈/전라북도 일자리경제국장
"새만금 5공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혜택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서 투자사절단을 우리가 구체적으로 제의할 계획입니다."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일본 지자체와의 교류가
모두 미뤄진 가운데,
중국 장쑤성과의 경제 교류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한주연입니다.
일본의 경제 보복 여파로
전라북도와
일본 지자체 간 교류도
줄줄이 미뤄지고 있는데요,
중국 장쑤성과는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어
실질적인 성과가 기대됩니다.
한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14년
한중 양국이 추진하기로 합의한
새만금 한중 산업협력단지.
우리 정부는 곧바로
새만금 한중 산단을
한중 FTA 수출 전진 기지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하고,
중국 정부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스 타이펑/중국 장쑤성장(지난 2016년)
"장쑤성의 기업들이 새만금에 진출해 투자할 수 있도록 하고, 장쑤성과 전라북도가 정상들 간의 합의에 따라 같이 발전하도록..."
하지만
지난 2017년 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양국의 논의가 좀처럼
진전되지 못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자매결연 25주년을 맞아
송하진 도지사가 지난 6월,
장쑤성을 방문해
새만금 한중 산단을 비롯해
군산과 장쑤성 간 항로 개설,
장쑤성 기업의 새만금 투자 유치 등
5가지 협력 사업을 제안했습니다.
이어 이번에는
전라북도 실무협상단이
장쑤성을 찾고,
다음 달에는 장쑤성 측이
군산에서 열릴
한중 산단 협력 교류회에 참가해
논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인터뷰]
나석훈/전라북도 일자리경제국장
"새만금 5공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혜택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서 투자사절단을 우리가 구체적으로 제의할 계획입니다."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일본 지자체와의 교류가
모두 미뤄진 가운데,
중국 장쑤성과의 경제 교류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한주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과 교류 보류..중국 장쑤성과 성과 거둘까?
-
- 입력 2019-08-13 21:23:02
- 수정2019-08-13 23:45:46
[앵커멘트]
일본의 경제 보복 여파로
전라북도와
일본 지자체 간 교류도
줄줄이 미뤄지고 있는데요,
중국 장쑤성과는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어
실질적인 성과가 기대됩니다.
한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14년
한중 양국이 추진하기로 합의한
새만금 한중 산업협력단지.
우리 정부는 곧바로
새만금 한중 산단을
한중 FTA 수출 전진 기지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하고,
중국 정부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인터뷰]
스 타이펑/중국 장쑤성장(지난 2016년)
"장쑤성의 기업들이 새만금에 진출해 투자할 수 있도록 하고, 장쑤성과 전라북도가 정상들 간의 합의에 따라 같이 발전하도록..."
하지만
지난 2017년 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양국의 논의가 좀처럼
진전되지 못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자매결연 25주년을 맞아
송하진 도지사가 지난 6월,
장쑤성을 방문해
새만금 한중 산단을 비롯해
군산과 장쑤성 간 항로 개설,
장쑤성 기업의 새만금 투자 유치 등
5가지 협력 사업을 제안했습니다.
이어 이번에는
전라북도 실무협상단이
장쑤성을 찾고,
다음 달에는 장쑤성 측이
군산에서 열릴
한중 산단 협력 교류회에 참가해
논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인터뷰]
나석훈/전라북도 일자리경제국장
"새만금 5공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혜택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서 투자사절단을 우리가 구체적으로 제의할 계획입니다."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일본 지자체와의 교류가
모두 미뤄진 가운데,
중국 장쑤성과의 경제 교류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한주연입니다.
-
-
한주연 기자 jyhan31@kbs.co.kr
한주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