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위는 청년들의 절규…빈부격차·본토인과 경쟁 심화
입력 2019.08.31 (07:36)
수정 2019.08.31 (08: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홍콩 시위가 이렇게 격화되고 길어지는 건 물론 민주와 자치를 원하는 홍콩 시민들의 요구가 분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만, 좀 더 들여다보면 특히 홍콩의 젊은이들이 겪고 있는 경제 문제, 사회 문제가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강민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늘 위로 아찔하게 뻗어 올라간 건물들.
이는 홍콩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무거운 현실을 반영합니다.
홍콩의 한 주택가, 10제곱미터 크기의 공간이 전붑니다.
[선신화/홍콩 시민 : "한 달 수입이 8~9000달러(130만 원) 정도인데, 이 방세로만 절반이 나갑니다."]
의외로 낮은 홍콩의 최저임금은 한 시간에 5천8백 원, 월급 중간값은 270만 원인데 집값 평균은 15억 원입니다.
대다수 젊은이들이 집을 사는 건 엄두조차 내지 못합니다.
[고든/도시 빈민을 위한 시민단체 : "지금 홍콩에서는 파는 집과 임대하는 집 모두 계속 작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홍콩 젊은이들은 이게 중국 본토인들 탓이라고 느낍니다.
1997년 반환 이후 중국에서 사람과 투기자금이 몰려들어 부동산 값을 폭등시켰다는 겁니다.
현재 홍콩 인구 740만 가운데 13%인 100만 명 가량이 본토인들이고, 지난 2003년 이후 집값은 400% 넘게 폭등했습니다.
본토 출신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한정된 일자리를 놓고 경쟁도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폭넓은 인맥까지 갖춘 본토의 젊은이들은 이제 금융 등 고수익 분야에서도 홍콩인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홍콩에서 0.539까지 치솟았습니다.
0.5면 학계에서는 폭동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으로 여깁니다.
홍콩에서 태어나 홍콩에서 교육받았는데, 홍콩에서 일자리 찾는 게 별 따기가 된 상황입니다.
시위가 장기화되는 배경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함께 홍콩 청년들의 이런 절망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홍콩 시위가 이렇게 격화되고 길어지는 건 물론 민주와 자치를 원하는 홍콩 시민들의 요구가 분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만, 좀 더 들여다보면 특히 홍콩의 젊은이들이 겪고 있는 경제 문제, 사회 문제가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강민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늘 위로 아찔하게 뻗어 올라간 건물들.
이는 홍콩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무거운 현실을 반영합니다.
홍콩의 한 주택가, 10제곱미터 크기의 공간이 전붑니다.
[선신화/홍콩 시민 : "한 달 수입이 8~9000달러(130만 원) 정도인데, 이 방세로만 절반이 나갑니다."]
의외로 낮은 홍콩의 최저임금은 한 시간에 5천8백 원, 월급 중간값은 270만 원인데 집값 평균은 15억 원입니다.
대다수 젊은이들이 집을 사는 건 엄두조차 내지 못합니다.
[고든/도시 빈민을 위한 시민단체 : "지금 홍콩에서는 파는 집과 임대하는 집 모두 계속 작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홍콩 젊은이들은 이게 중국 본토인들 탓이라고 느낍니다.
1997년 반환 이후 중국에서 사람과 투기자금이 몰려들어 부동산 값을 폭등시켰다는 겁니다.
현재 홍콩 인구 740만 가운데 13%인 100만 명 가량이 본토인들이고, 지난 2003년 이후 집값은 400% 넘게 폭등했습니다.
본토 출신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한정된 일자리를 놓고 경쟁도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폭넓은 인맥까지 갖춘 본토의 젊은이들은 이제 금융 등 고수익 분야에서도 홍콩인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홍콩에서 0.539까지 치솟았습니다.
0.5면 학계에서는 폭동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으로 여깁니다.
홍콩에서 태어나 홍콩에서 교육받았는데, 홍콩에서 일자리 찾는 게 별 따기가 된 상황입니다.
시위가 장기화되는 배경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함께 홍콩 청년들의 이런 절망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콩 시위는 청년들의 절규…빈부격차·본토인과 경쟁 심화
-
- 입력 2019-08-31 07:45:01
- 수정2019-08-31 08:10:00

[앵커]
홍콩 시위가 이렇게 격화되고 길어지는 건 물론 민주와 자치를 원하는 홍콩 시민들의 요구가 분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만, 좀 더 들여다보면 특히 홍콩의 젊은이들이 겪고 있는 경제 문제, 사회 문제가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강민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늘 위로 아찔하게 뻗어 올라간 건물들.
이는 홍콩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무거운 현실을 반영합니다.
홍콩의 한 주택가, 10제곱미터 크기의 공간이 전붑니다.
[선신화/홍콩 시민 : "한 달 수입이 8~9000달러(130만 원) 정도인데, 이 방세로만 절반이 나갑니다."]
의외로 낮은 홍콩의 최저임금은 한 시간에 5천8백 원, 월급 중간값은 270만 원인데 집값 평균은 15억 원입니다.
대다수 젊은이들이 집을 사는 건 엄두조차 내지 못합니다.
[고든/도시 빈민을 위한 시민단체 : "지금 홍콩에서는 파는 집과 임대하는 집 모두 계속 작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홍콩 젊은이들은 이게 중국 본토인들 탓이라고 느낍니다.
1997년 반환 이후 중국에서 사람과 투기자금이 몰려들어 부동산 값을 폭등시켰다는 겁니다.
현재 홍콩 인구 740만 가운데 13%인 100만 명 가량이 본토인들이고, 지난 2003년 이후 집값은 400% 넘게 폭등했습니다.
본토 출신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한정된 일자리를 놓고 경쟁도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폭넓은 인맥까지 갖춘 본토의 젊은이들은 이제 금융 등 고수익 분야에서도 홍콩인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홍콩에서 0.539까지 치솟았습니다.
0.5면 학계에서는 폭동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으로 여깁니다.
홍콩에서 태어나 홍콩에서 교육받았는데, 홍콩에서 일자리 찾는 게 별 따기가 된 상황입니다.
시위가 장기화되는 배경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함께 홍콩 청년들의 이런 절망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홍콩 시위가 이렇게 격화되고 길어지는 건 물론 민주와 자치를 원하는 홍콩 시민들의 요구가 분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만, 좀 더 들여다보면 특히 홍콩의 젊은이들이 겪고 있는 경제 문제, 사회 문제가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강민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늘 위로 아찔하게 뻗어 올라간 건물들.
이는 홍콩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무거운 현실을 반영합니다.
홍콩의 한 주택가, 10제곱미터 크기의 공간이 전붑니다.
[선신화/홍콩 시민 : "한 달 수입이 8~9000달러(130만 원) 정도인데, 이 방세로만 절반이 나갑니다."]
의외로 낮은 홍콩의 최저임금은 한 시간에 5천8백 원, 월급 중간값은 270만 원인데 집값 평균은 15억 원입니다.
대다수 젊은이들이 집을 사는 건 엄두조차 내지 못합니다.
[고든/도시 빈민을 위한 시민단체 : "지금 홍콩에서는 파는 집과 임대하는 집 모두 계속 작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홍콩 젊은이들은 이게 중국 본토인들 탓이라고 느낍니다.
1997년 반환 이후 중국에서 사람과 투기자금이 몰려들어 부동산 값을 폭등시켰다는 겁니다.
현재 홍콩 인구 740만 가운데 13%인 100만 명 가량이 본토인들이고, 지난 2003년 이후 집값은 400% 넘게 폭등했습니다.
본토 출신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한정된 일자리를 놓고 경쟁도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폭넓은 인맥까지 갖춘 본토의 젊은이들은 이제 금융 등 고수익 분야에서도 홍콩인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홍콩에서 0.539까지 치솟았습니다.
0.5면 학계에서는 폭동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으로 여깁니다.
홍콩에서 태어나 홍콩에서 교육받았는데, 홍콩에서 일자리 찾는 게 별 따기가 된 상황입니다.
시위가 장기화되는 배경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함께 홍콩 청년들의 이런 절망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
-
강민수 기자 mandoo@kbs.co.kr
강민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