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올들어 10번째 발사체 발사…내륙 통과 ‘능력 과시’

입력 2019.09.10 (19:12) 수정 2019.09.11 (20: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17일 만에 오늘 아침 또다시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발사했습니다.

북한은 올들어서만 10차례에 걸쳐 4종의 신종 무기를 발사했는데요.

오늘 발사한 발사체 역시 이 중 한 종류로 내륙 통과 능력을 시험, 과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윤봄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발사체를 쏜 건 오늘 오전 6시 53분과 7시 12분입니다.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쏜 발사체는 내륙을 횡단해 동북방으로 날아갔습니다.

[김준락/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이번에 발사한 발사체의 최대 비행거리는 약 330㎞로 탐지하였으며, 추가적인 제원은 한미 정보 당국에서 정밀 분석 중에 있습니다."]

발사체의 비행 정점 고도는 50여 킬로미터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한 건 지난달 24일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신형 초대형 방사포 2발을 쏜 지 17일 만입니다.

올들어서는 4가지 신종 무기를 모두 10차례나 발사했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발사체를 쏜 장소입니다.

평안남도 개천은 서쪽 내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이 오늘 쏜 발사체는 4가지 신종 무기 중 내륙횡단 시험 발사를 하지 않은 무기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신종우/국방안보포럼 선임분석관 : "(북한은) 동해상에서 비행 안정성을 테스트한 후에 북한 내륙을 관통하는 실거리 발사를 하는데요. 내륙을 관통하는 실험을 안 한 북한판 에이태킴스나 신형 대구경 방사포로 추정됩니다."]

청와대는 발사 1시간여 만에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긴급회의를 열고, 북한이 계속해서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하는 데 대해 강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올들어 10번째 발사체 발사…내륙 통과 ‘능력 과시’
    • 입력 2019-09-10 19:14:38
    • 수정2019-09-11 20:19:52
    뉴스 7
[앵커]

북한이 17일 만에 오늘 아침 또다시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발사했습니다.

북한은 올들어서만 10차례에 걸쳐 4종의 신종 무기를 발사했는데요.

오늘 발사한 발사체 역시 이 중 한 종류로 내륙 통과 능력을 시험, 과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윤봄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발사체를 쏜 건 오늘 오전 6시 53분과 7시 12분입니다.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쏜 발사체는 내륙을 횡단해 동북방으로 날아갔습니다.

[김준락/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이번에 발사한 발사체의 최대 비행거리는 약 330㎞로 탐지하였으며, 추가적인 제원은 한미 정보 당국에서 정밀 분석 중에 있습니다."]

발사체의 비행 정점 고도는 50여 킬로미터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한 건 지난달 24일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신형 초대형 방사포 2발을 쏜 지 17일 만입니다.

올들어서는 4가지 신종 무기를 모두 10차례나 발사했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발사체를 쏜 장소입니다.

평안남도 개천은 서쪽 내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이 오늘 쏜 발사체는 4가지 신종 무기 중 내륙횡단 시험 발사를 하지 않은 무기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신종우/국방안보포럼 선임분석관 : "(북한은) 동해상에서 비행 안정성을 테스트한 후에 북한 내륙을 관통하는 실거리 발사를 하는데요. 내륙을 관통하는 실험을 안 한 북한판 에이태킴스나 신형 대구경 방사포로 추정됩니다."]

청와대는 발사 1시간여 만에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긴급회의를 열고, 북한이 계속해서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하는 데 대해 강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