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미분양 8,000가구 넘어…10년 만에 처음
입력 2019.09.30 (20:56)
수정 2019.09.30 (22: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강원도 내 미분양 아파트가
10년 만에
8천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거래 규제로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급증하면서,
도내 아파트 시장의 추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영일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춘천의 이 아파트 단지는
올해 초 400가구에 육박하는
미분양을 보였습니다.
분양을 시작한 지 8개월이 지났지만
미분양은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원주와 강릉 등
도내 대부분 시군의 사정도 비슷합니다.
권용수/한국감정원 춘천지사장[인터뷰]
지난해부터 도내 아파트 입주물량이
평소보다 2배 이상 급증하면서, 아파트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수요감소에도
영향을 미쳐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 8월 말 기준
강원도 내 미분양 주택은
10년만에 8천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한달 전보다
6백여 가구가 증가하면서,
경남과 경기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미분양이 많습니다.
강원도의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전국 미분양 주택의 13%에 이릅니다.
김은진/부동산 114 팀장[인터뷰]
정책적으로는 세제혜택이나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 사업을 지원하는 제도마련도
검토해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미분양 증가는
아파트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고,
다시 미분양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 우려가 높습니다.
여기에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도입이
결정되면서,부동산 투자 자금이
서울 아파트로 몰리고 있어
강원도 내 투자심리가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영일 기자
미분양 아파트가
8천 가구를 돌파하면서,
과다 공급에 따른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이영일입니다.
강원도 내 미분양 아파트가
10년 만에
8천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거래 규제로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급증하면서,
도내 아파트 시장의 추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영일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춘천의 이 아파트 단지는
올해 초 400가구에 육박하는
미분양을 보였습니다.
분양을 시작한 지 8개월이 지났지만
미분양은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원주와 강릉 등
도내 대부분 시군의 사정도 비슷합니다.
권용수/한국감정원 춘천지사장[인터뷰]
지난해부터 도내 아파트 입주물량이
평소보다 2배 이상 급증하면서, 아파트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수요감소에도
영향을 미쳐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 8월 말 기준
강원도 내 미분양 주택은
10년만에 8천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한달 전보다
6백여 가구가 증가하면서,
경남과 경기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미분양이 많습니다.
강원도의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전국 미분양 주택의 13%에 이릅니다.
김은진/부동산 114 팀장[인터뷰]
정책적으로는 세제혜택이나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 사업을 지원하는 제도마련도
검토해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미분양 증가는
아파트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고,
다시 미분양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 우려가 높습니다.
여기에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도입이
결정되면서,부동산 투자 자금이
서울 아파트로 몰리고 있어
강원도 내 투자심리가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영일 기자
미분양 아파트가
8천 가구를 돌파하면서,
과다 공급에 따른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이영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도 미분양 8,000가구 넘어…10년 만에 처음
-
- 입력 2019-09-30 20:56:44
- 수정2019-09-30 22:40:18

[앵커멘트]
강원도 내 미분양 아파트가
10년 만에
8천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거래 규제로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급증하면서,
도내 아파트 시장의 추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영일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춘천의 이 아파트 단지는
올해 초 400가구에 육박하는
미분양을 보였습니다.
분양을 시작한 지 8개월이 지났지만
미분양은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원주와 강릉 등
도내 대부분 시군의 사정도 비슷합니다.
권용수/한국감정원 춘천지사장[인터뷰]
지난해부터 도내 아파트 입주물량이
평소보다 2배 이상 급증하면서, 아파트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수요감소에도
영향을 미쳐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 8월 말 기준
강원도 내 미분양 주택은
10년만에 8천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한달 전보다
6백여 가구가 증가하면서,
경남과 경기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미분양이 많습니다.
강원도의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전국 미분양 주택의 13%에 이릅니다.
김은진/부동산 114 팀장[인터뷰]
정책적으로는 세제혜택이나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 사업을 지원하는 제도마련도
검토해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미분양 증가는
아파트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고,
다시 미분양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 우려가 높습니다.
여기에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도입이
결정되면서,부동산 투자 자금이
서울 아파트로 몰리고 있어
강원도 내 투자심리가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영일 기자
미분양 아파트가
8천 가구를 돌파하면서,
과다 공급에 따른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이영일입니다.
-
-
이영일 기자 my1004@kbs.co.kr
이영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