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소녀상’ 다시 전시된다…이르면 다음달 6일부터
입력 2019.09.30 (21:45)
수정 2019.09.30 (22: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에서 사흘 만에 전시가 중단됐던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이 관람객들과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표현의 자유를 요구하는 자유롭고 열린 목소리가 전시 재개를 이끌었습니다.
도쿄 이민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은 표현의 부자유전 사흘 만인 지난달 3일 전시가 중단됐습니다.
우익들의 테러 위협과 예산을 깎겠다는 일본 정부의 압박 때문이었습니다.
전시 중단 이후 역사적 폭거라는 등의 규탄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이와사키/'표현의 부자유전' 전시회 기획자/지난 4일 : "역사적 폭거입니다. 전후 일본의 최대 검열사건이 될 겁니다."]
결국, 전시중단 두 달이 다된 오늘(30일) 전시 재개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전시회 안전 유지에 협조하고 사전 예약자만 볼 수 있는 등의 조건이 붙었습니다.
[오무라/아이치현 지사 : "진지하고 성의있게 조건에 대해 어떻게 운영해 나갈지 (실행위원회와 협의하겠습니다)."]
평화의 소녀상 작가와 전시회 실행위원회 측은 일단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김서경/'평화의 소녀상' 작가 : "저희들은 관객을 만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전시를 재개하기 위해서 노력해주신 많은 분이 있거든요. 그분들을 생각하면 너무 고맙죠."]
하지만 실행 위원회 측은 일본 정부가 최근 전시회 예산을 전액 삭감한 건 정치 개입이라며 더 큰 싸움을 예고했습니다.
[아라이/ '표현의 부자유전' 실행위원 : "지금 일본 사회를 덮고 있는 검열이라는 분위기를 물리치는 큰 첫걸음이 될 겁니다."]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은 이르면 다음 달 6일부터 다시 전시돼 폐막일인 14일까지 관람객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민영입니다.
일본에서 사흘 만에 전시가 중단됐던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이 관람객들과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표현의 자유를 요구하는 자유롭고 열린 목소리가 전시 재개를 이끌었습니다.
도쿄 이민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은 표현의 부자유전 사흘 만인 지난달 3일 전시가 중단됐습니다.
우익들의 테러 위협과 예산을 깎겠다는 일본 정부의 압박 때문이었습니다.
전시 중단 이후 역사적 폭거라는 등의 규탄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이와사키/'표현의 부자유전' 전시회 기획자/지난 4일 : "역사적 폭거입니다. 전후 일본의 최대 검열사건이 될 겁니다."]
결국, 전시중단 두 달이 다된 오늘(30일) 전시 재개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전시회 안전 유지에 협조하고 사전 예약자만 볼 수 있는 등의 조건이 붙었습니다.
[오무라/아이치현 지사 : "진지하고 성의있게 조건에 대해 어떻게 운영해 나갈지 (실행위원회와 협의하겠습니다)."]
평화의 소녀상 작가와 전시회 실행위원회 측은 일단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김서경/'평화의 소녀상' 작가 : "저희들은 관객을 만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전시를 재개하기 위해서 노력해주신 많은 분이 있거든요. 그분들을 생각하면 너무 고맙죠."]
하지만 실행 위원회 측은 일본 정부가 최근 전시회 예산을 전액 삭감한 건 정치 개입이라며 더 큰 싸움을 예고했습니다.
[아라이/ '표현의 부자유전' 실행위원 : "지금 일본 사회를 덮고 있는 검열이라는 분위기를 물리치는 큰 첫걸음이 될 겁니다."]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은 이르면 다음 달 6일부터 다시 전시돼 폐막일인 14일까지 관람객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평화의 소녀상’ 다시 전시된다…이르면 다음달 6일부터
-
- 입력 2019-09-30 21:47:58
- 수정2019-09-30 22:32:22

[앵커]
일본에서 사흘 만에 전시가 중단됐던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이 관람객들과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표현의 자유를 요구하는 자유롭고 열린 목소리가 전시 재개를 이끌었습니다.
도쿄 이민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은 표현의 부자유전 사흘 만인 지난달 3일 전시가 중단됐습니다.
우익들의 테러 위협과 예산을 깎겠다는 일본 정부의 압박 때문이었습니다.
전시 중단 이후 역사적 폭거라는 등의 규탄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이와사키/'표현의 부자유전' 전시회 기획자/지난 4일 : "역사적 폭거입니다. 전후 일본의 최대 검열사건이 될 겁니다."]
결국, 전시중단 두 달이 다된 오늘(30일) 전시 재개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전시회 안전 유지에 협조하고 사전 예약자만 볼 수 있는 등의 조건이 붙었습니다.
[오무라/아이치현 지사 : "진지하고 성의있게 조건에 대해 어떻게 운영해 나갈지 (실행위원회와 협의하겠습니다)."]
평화의 소녀상 작가와 전시회 실행위원회 측은 일단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김서경/'평화의 소녀상' 작가 : "저희들은 관객을 만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전시를 재개하기 위해서 노력해주신 많은 분이 있거든요. 그분들을 생각하면 너무 고맙죠."]
하지만 실행 위원회 측은 일본 정부가 최근 전시회 예산을 전액 삭감한 건 정치 개입이라며 더 큰 싸움을 예고했습니다.
[아라이/ '표현의 부자유전' 실행위원 : "지금 일본 사회를 덮고 있는 검열이라는 분위기를 물리치는 큰 첫걸음이 될 겁니다."]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은 이르면 다음 달 6일부터 다시 전시돼 폐막일인 14일까지 관람객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민영입니다.
일본에서 사흘 만에 전시가 중단됐던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이 관람객들과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표현의 자유를 요구하는 자유롭고 열린 목소리가 전시 재개를 이끌었습니다.
도쿄 이민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은 표현의 부자유전 사흘 만인 지난달 3일 전시가 중단됐습니다.
우익들의 테러 위협과 예산을 깎겠다는 일본 정부의 압박 때문이었습니다.
전시 중단 이후 역사적 폭거라는 등의 규탄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이와사키/'표현의 부자유전' 전시회 기획자/지난 4일 : "역사적 폭거입니다. 전후 일본의 최대 검열사건이 될 겁니다."]
결국, 전시중단 두 달이 다된 오늘(30일) 전시 재개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전시회 안전 유지에 협조하고 사전 예약자만 볼 수 있는 등의 조건이 붙었습니다.
[오무라/아이치현 지사 : "진지하고 성의있게 조건에 대해 어떻게 운영해 나갈지 (실행위원회와 협의하겠습니다)."]
평화의 소녀상 작가와 전시회 실행위원회 측은 일단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김서경/'평화의 소녀상' 작가 : "저희들은 관객을 만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전시를 재개하기 위해서 노력해주신 많은 분이 있거든요. 그분들을 생각하면 너무 고맙죠."]
하지만 실행 위원회 측은 일본 정부가 최근 전시회 예산을 전액 삭감한 건 정치 개입이라며 더 큰 싸움을 예고했습니다.
[아라이/ '표현의 부자유전' 실행위원 : "지금 일본 사회를 덮고 있는 검열이라는 분위기를 물리치는 큰 첫걸음이 될 겁니다."]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은 이르면 다음 달 6일부터 다시 전시돼 폐막일인 14일까지 관람객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민영입니다.
-
-
이민영 기자 mylee@kbs.co.kr
이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