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속 10%만 민간 개발 허용
입력 2019.09.30 (21:48)
수정 2019.09.30 (23: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공원 일몰제를 앞두고
'개발'이냐 '보존'이냐,
논란이 치열한 청주 구룡공원이,
결국 10%만 민간 개발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이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관 거버넌스가
청주 구룡공원의
민간 개발을 최소화하는데
뜻을 모았습니다.
현재 개발이 추진 중인
1구역의 1개 지구만 허용하되
생태 민감 지역일 경우
반드시 보존한다는 전제입니다.
나머지 2구역은
청주시가 모두 매입해
전면 보존하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개발이 허용된 면적은
구룡산 전체 면적 가운데
10%를 넘지 않습니다.
박종광/ 청주시 민관거버넌스 위원 [인터뷰]
"1구역에 민간공원 조성 사업이 들어가는 구역이고요. 2구역에 공원 사업을 통해서 70%가 매입되고 기부채납되는 전략입니다."
거버넌스는 한 달 넘게
5차례 전체 회의와
14차례의 실무태스크포스(TF)를 거쳐
일몰제 대상 필수 도시공원도
68곳 가운데 33곳으로 늘렸습니다.
이에 따라 예산 규모도
4천 420억 원으로 당초 추산액보다
천억여 원 늘어났습니다.
청주시는
관리 감독을 강화해 난개발을 막고
보상 TF 민·관 전담팀을
운영하도록 했습니다.
연방희/ 청주시 민관거버넌스 공동의장[인터뷰]
"보상 TF 민·관 전담팀을 운영하는 데 합의를 해주시고 청주시 예산과와 시의회 합의를 위한 논의 추인을 건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에 참여한 시행사 측이
이번 결론에 대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최종 확정으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공원 일몰제를 앞두고
'개발'이냐 '보존'이냐,
논란이 치열한 청주 구룡공원이,
결국 10%만 민간 개발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이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관 거버넌스가
청주 구룡공원의
민간 개발을 최소화하는데
뜻을 모았습니다.
현재 개발이 추진 중인
1구역의 1개 지구만 허용하되
생태 민감 지역일 경우
반드시 보존한다는 전제입니다.
나머지 2구역은
청주시가 모두 매입해
전면 보존하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개발이 허용된 면적은
구룡산 전체 면적 가운데
10%를 넘지 않습니다.
박종광/ 청주시 민관거버넌스 위원 [인터뷰]
"1구역에 민간공원 조성 사업이 들어가는 구역이고요. 2구역에 공원 사업을 통해서 70%가 매입되고 기부채납되는 전략입니다."
거버넌스는 한 달 넘게
5차례 전체 회의와
14차례의 실무태스크포스(TF)를 거쳐
일몰제 대상 필수 도시공원도
68곳 가운데 33곳으로 늘렸습니다.
이에 따라 예산 규모도
4천 420억 원으로 당초 추산액보다
천억여 원 늘어났습니다.
청주시는
관리 감독을 강화해 난개발을 막고
보상 TF 민·관 전담팀을
운영하도록 했습니다.
연방희/ 청주시 민관거버넌스 공동의장[인터뷰]
"보상 TF 민·관 전담팀을 운영하는 데 합의를 해주시고 청주시 예산과와 시의회 합의를 위한 논의 추인을 건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에 참여한 시행사 측이
이번 결론에 대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최종 확정으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논란 속 10%만 민간 개발 허용
-
- 입력 2019-09-30 21:48:34
- 수정2019-09-30 23:30:56

[앵커멘트]
공원 일몰제를 앞두고
'개발'이냐 '보존'이냐,
논란이 치열한 청주 구룡공원이,
결국 10%만 민간 개발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이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민관 거버넌스가
청주 구룡공원의
민간 개발을 최소화하는데
뜻을 모았습니다.
현재 개발이 추진 중인
1구역의 1개 지구만 허용하되
생태 민감 지역일 경우
반드시 보존한다는 전제입니다.
나머지 2구역은
청주시가 모두 매입해
전면 보존하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개발이 허용된 면적은
구룡산 전체 면적 가운데
10%를 넘지 않습니다.
박종광/ 청주시 민관거버넌스 위원 [인터뷰]
"1구역에 민간공원 조성 사업이 들어가는 구역이고요. 2구역에 공원 사업을 통해서 70%가 매입되고 기부채납되는 전략입니다."
거버넌스는 한 달 넘게
5차례 전체 회의와
14차례의 실무태스크포스(TF)를 거쳐
일몰제 대상 필수 도시공원도
68곳 가운데 33곳으로 늘렸습니다.
이에 따라 예산 규모도
4천 420억 원으로 당초 추산액보다
천억여 원 늘어났습니다.
청주시는
관리 감독을 강화해 난개발을 막고
보상 TF 민·관 전담팀을
운영하도록 했습니다.
연방희/ 청주시 민관거버넌스 공동의장[인터뷰]
"보상 TF 민·관 전담팀을 운영하는 데 합의를 해주시고 청주시 예산과와 시의회 합의를 위한 논의 추인을 건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에 참여한 시행사 측이
이번 결론에 대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최종 확정으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
-
이정훈 기자 hwarang08@kbs.co.kr
이정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