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붓아들도 살해"… 연쇄 살인 결론
입력 2019.09.30 (21:48)
수정 2019.09.30 (23: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전 남편을 살해하고
유기한 혐의를 받는 고유정이
의붓아들까지 살해한 것으로
경찰이 결론 냈습니다.
수사가 반년 넘게 이어졌지만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지 못해,
그동안의 수사가
안일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진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고유정이
의붓아들을 살해했다고 보는
주요 정황 증거,
'약물 검사' 결과를 경찰이 확보한 건
두 달여 전인 7월 말입니다.
사건 발생 5개월 만이자,
심지어 아이 친부 A 씨의 과실로
수사 종결을 앞두던 때입니다.
수사 결론을 뒤집은 주요 단서를
왜 뒤늦게 확인한 걸까.
경찰은
수면 보조제 성분의 이 약물은
범죄 연관성이 적어
애초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분석 항목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고 씨가
전 남편을 살해하는 데 약물을 썼고,
A 씨 역시 아이가 사망 당일,
평소와 다르게 잠들었다며
수면제 사용을 계속 의심했다는 점에서
경찰이 안일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수사 초기
부실한 정황 증거를 토대로 한
용의자 설정도 패착이었습니다.
거짓말 탐지기 조사에서
A 씨가 '거짓 반응'을 보이자
경찰은 의심을 굳혔지만,
두 달 뒤 고유정 역시
똑같은 거짓 반응이 확인되며
수사는 원점으로 돌아왔습니다.
아이가 10분 이상
강하게 눌려 숨졌다는 부검 결과에
경찰은 한 방에서 함께 잔
A 씨의 정황에 대해서도
끝내 그 이상의 연관성은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전 남편 살해 사건으로
고유정에 대한 수사 중심이
제주로 넘어가며
충북 경찰과의 공조도 부족했습니다.
충북 경찰은 실제
고 씨의 휴대전화 등
디지털 사용기록 분석을
제주 경찰로부터 압수해
7월 중순에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A 씨가 수사에 불만을 제기하고
여론도 악화하면서
경찰의 부담은 가중됐습니다.
반년 넘는 장고 끝에 내려진
경찰의 결론.
결정적 증거가 없는 이 사건에
검찰은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전 남편을 살해하고
유기한 혐의를 받는 고유정이
의붓아들까지 살해한 것으로
경찰이 결론 냈습니다.
수사가 반년 넘게 이어졌지만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지 못해,
그동안의 수사가
안일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진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고유정이
의붓아들을 살해했다고 보는
주요 정황 증거,
'약물 검사' 결과를 경찰이 확보한 건
두 달여 전인 7월 말입니다.
사건 발생 5개월 만이자,
심지어 아이 친부 A 씨의 과실로
수사 종결을 앞두던 때입니다.
수사 결론을 뒤집은 주요 단서를
왜 뒤늦게 확인한 걸까.
경찰은
수면 보조제 성분의 이 약물은
범죄 연관성이 적어
애초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분석 항목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고 씨가
전 남편을 살해하는 데 약물을 썼고,
A 씨 역시 아이가 사망 당일,
평소와 다르게 잠들었다며
수면제 사용을 계속 의심했다는 점에서
경찰이 안일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수사 초기
부실한 정황 증거를 토대로 한
용의자 설정도 패착이었습니다.
거짓말 탐지기 조사에서
A 씨가 '거짓 반응'을 보이자
경찰은 의심을 굳혔지만,
두 달 뒤 고유정 역시
똑같은 거짓 반응이 확인되며
수사는 원점으로 돌아왔습니다.
아이가 10분 이상
강하게 눌려 숨졌다는 부검 결과에
경찰은 한 방에서 함께 잔
A 씨의 정황에 대해서도
끝내 그 이상의 연관성은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전 남편 살해 사건으로
고유정에 대한 수사 중심이
제주로 넘어가며
충북 경찰과의 공조도 부족했습니다.
충북 경찰은 실제
고 씨의 휴대전화 등
디지털 사용기록 분석을
제주 경찰로부터 압수해
7월 중순에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A 씨가 수사에 불만을 제기하고
여론도 악화하면서
경찰의 부담은 가중됐습니다.
반년 넘는 장고 끝에 내려진
경찰의 결론.
결정적 증거가 없는 이 사건에
검찰은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붓아들도 살해"… 연쇄 살인 결론
-
- 입력 2019-09-30 21:48:35
- 수정2019-09-30 23:30:16

[앵커멘트]
전 남편을 살해하고
유기한 혐의를 받는 고유정이
의붓아들까지 살해한 것으로
경찰이 결론 냈습니다.
수사가 반년 넘게 이어졌지만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지 못해,
그동안의 수사가
안일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진희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고유정이
의붓아들을 살해했다고 보는
주요 정황 증거,
'약물 검사' 결과를 경찰이 확보한 건
두 달여 전인 7월 말입니다.
사건 발생 5개월 만이자,
심지어 아이 친부 A 씨의 과실로
수사 종결을 앞두던 때입니다.
수사 결론을 뒤집은 주요 단서를
왜 뒤늦게 확인한 걸까.
경찰은
수면 보조제 성분의 이 약물은
범죄 연관성이 적어
애초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분석 항목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고 씨가
전 남편을 살해하는 데 약물을 썼고,
A 씨 역시 아이가 사망 당일,
평소와 다르게 잠들었다며
수면제 사용을 계속 의심했다는 점에서
경찰이 안일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습니다.
수사 초기
부실한 정황 증거를 토대로 한
용의자 설정도 패착이었습니다.
거짓말 탐지기 조사에서
A 씨가 '거짓 반응'을 보이자
경찰은 의심을 굳혔지만,
두 달 뒤 고유정 역시
똑같은 거짓 반응이 확인되며
수사는 원점으로 돌아왔습니다.
아이가 10분 이상
강하게 눌려 숨졌다는 부검 결과에
경찰은 한 방에서 함께 잔
A 씨의 정황에 대해서도
끝내 그 이상의 연관성은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전 남편 살해 사건으로
고유정에 대한 수사 중심이
제주로 넘어가며
충북 경찰과의 공조도 부족했습니다.
충북 경찰은 실제
고 씨의 휴대전화 등
디지털 사용기록 분석을
제주 경찰로부터 압수해
7월 중순에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A 씨가 수사에 불만을 제기하고
여론도 악화하면서
경찰의 부담은 가중됐습니다.
반년 넘는 장고 끝에 내려진
경찰의 결론.
결정적 증거가 없는 이 사건에
검찰은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
-
진희정 기자 5w1h@kbs.co.kr
진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