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일부 프랜차이즈 카페 대장균 검출 등 위생관리 미흡

입력 2019.10.04 (13:41) 수정 2019.10.04 (13: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카페 제품에서 대장균이 검출되는 등 위생 상태가 엉망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오늘(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4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사례가 856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도별 위반 건수는 2014년 153건에서 2015년 154건, 2016년 165건, 2017년 178건, 2018년 206건으로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브랜드별 위반 현황을 보면 '설빙'이 '대장균 검출 및 조리기구 청결 상태 불량' 등 98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카페베네'가 '유통기한 경과 제품 판매 목적 보관' 등 97건, '이디야'가 '소독하지 않은 식기 사용, 식용얼음 세균수 초과 검출' 등 77건, '탐앤탐스'가 '조리장 위생불랑' 등 71건, '요거프레소'가 '조리 종사자 위생모 미착용' 등 71건, '던킨도너츠'가 '이물혼입' 등 55건 순이었습니다.

조사 대상인 프랜차이즈 카페는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커피, 설빙, 공차, 빽다방, 할리스커피, 파스쿠찌, 커피빈, 폴바셋, 던킨도너츠, 엔제리너스, 탐앤탐스, 아티제, 쥬씨, 요거프레소, 카페베네, 드롭탑, 달콤커피, 커핀그루나루, 망고식스 등입니다.

위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위생과 관련된 위반이 49%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습니다. '위생교육 미이수'가 267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이 102건, '이물혼입'이 7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물혼입의 경우 머리카락, 벌레, 비닐, 미세 플라스틱 등이 발견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위반 사항에 대한 조치는 대부분 가벼운 처벌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과태료 부과'가 405건으로 전체의 47%를 차지했고, '시정명령' 247건, '영업소 폐쇄' 81건, '과징금 부과'74건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재근 의원은 "프랜차이즈 카페의 디저트와 음료에서 대장균과 세균이 검출되고 벌레,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되는 끔찍한 일들이 더는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먹거리 안전을 위해서 프랜차이즈 카페 업계의 자성은 물론 식약처도 위생에 대해 더 철저하게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감] 일부 프랜차이즈 카페 대장균 검출 등 위생관리 미흡
    • 입력 2019-10-04 13:41:25
    • 수정2019-10-04 13:56:21
    사회
프랜차이즈 카페 제품에서 대장균이 검출되는 등 위생 상태가 엉망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오늘(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4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사례가 856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도별 위반 건수는 2014년 153건에서 2015년 154건, 2016년 165건, 2017년 178건, 2018년 206건으로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브랜드별 위반 현황을 보면 '설빙'이 '대장균 검출 및 조리기구 청결 상태 불량' 등 98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카페베네'가 '유통기한 경과 제품 판매 목적 보관' 등 97건, '이디야'가 '소독하지 않은 식기 사용, 식용얼음 세균수 초과 검출' 등 77건, '탐앤탐스'가 '조리장 위생불랑' 등 71건, '요거프레소'가 '조리 종사자 위생모 미착용' 등 71건, '던킨도너츠'가 '이물혼입' 등 55건 순이었습니다.

조사 대상인 프랜차이즈 카페는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커피, 설빙, 공차, 빽다방, 할리스커피, 파스쿠찌, 커피빈, 폴바셋, 던킨도너츠, 엔제리너스, 탐앤탐스, 아티제, 쥬씨, 요거프레소, 카페베네, 드롭탑, 달콤커피, 커핀그루나루, 망고식스 등입니다.

위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위생과 관련된 위반이 49%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습니다. '위생교육 미이수'가 267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이 102건, '이물혼입'이 7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물혼입의 경우 머리카락, 벌레, 비닐, 미세 플라스틱 등이 발견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위반 사항에 대한 조치는 대부분 가벼운 처벌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과태료 부과'가 405건으로 전체의 47%를 차지했고, '시정명령' 247건, '영업소 폐쇄' 81건, '과징금 부과'74건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재근 의원은 "프랜차이즈 카페의 디저트와 음료에서 대장균과 세균이 검출되고 벌레,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되는 끔찍한 일들이 더는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먹거리 안전을 위해서 프랜차이즈 카페 업계의 자성은 물론 식약처도 위생에 대해 더 철저하게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