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넘겼지만 회복 아직…반도체 부진 장기화에 경제 ‘흔들’

입력 2019.10.08 (19:14) 수정 2019.10.08 (19: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내외 어려운 상황 속에서 삼성전자는 3분기에 예상을 뛰어넘어 선전했습니다.

스마트폰 판매 호조로 예상보다 6천억 원을 더 벌어들여 영업이익이 7조 7천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주력인 반도체는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전자 전시회인 한국전자전.

세계 최고 기술의 국산 스마트폰과 스크린들이 전시돼있습니다.

삼성전자는 3분기에 예상을 뛰어넘는 7조 7천억 원을 벌어들였습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1분기 6조 2천억 원으로 바닥을 찍고 조금씩 나아지는 추세입니다.

[김동원/KB증권 이사 : "실적개선 요인은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은 제품 라인업의 효율화가 진행된 와중에 고가 스마트폰의 판매량이 크게 늘었고…."]

하지만 주력인 반도체는 계속 부진합니다.

올 초 대비 반값이 된 D램은 일본 수출 규제 이후 더 떨어지진 않았지만 오르지도 않았고, 수요도 그다지 늘지 않았습니다.

D램 수요가 살아나려면 구글이나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이 데이터 센터를 늘려야 합니다.

하지만 미·중 무역분쟁 악화로 전 세계가 불황을 우려하면서 데이터센터 투자를 미루는 추세입니다.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부진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에까지 치명적입니다.

국내 민간 연구기관들은 올해 성장률이 2% 안팎에 그칠 거라는 전망을 내놓았는데 반도체 부진 장기화가 원인입니다.

[이주열/한국은행 총재/국정감사 : "2.2%가 좀 쉽지 않아 보입니다. (1%대로 낮춰지겠죠?) 아니 그렇게 말씀드릴 순 없습니다. 반도체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지난해 우리 경제는 2.7% 성장했지만 반도체를 빼면 1.4% 성장에 그쳤습니다.

수년간 반도체 성공에 가려졌던 주요 산업의 본모습이 올해부터 여실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악 넘겼지만 회복 아직…반도체 부진 장기화에 경제 ‘흔들’
    • 입력 2019-10-08 19:16:01
    • 수정2019-10-08 19:18:43
    뉴스 7
[앵커]

대내외 어려운 상황 속에서 삼성전자는 3분기에 예상을 뛰어넘어 선전했습니다.

스마트폰 판매 호조로 예상보다 6천억 원을 더 벌어들여 영업이익이 7조 7천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주력인 반도체는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전자 전시회인 한국전자전.

세계 최고 기술의 국산 스마트폰과 스크린들이 전시돼있습니다.

삼성전자는 3분기에 예상을 뛰어넘는 7조 7천억 원을 벌어들였습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1분기 6조 2천억 원으로 바닥을 찍고 조금씩 나아지는 추세입니다.

[김동원/KB증권 이사 : "실적개선 요인은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은 제품 라인업의 효율화가 진행된 와중에 고가 스마트폰의 판매량이 크게 늘었고…."]

하지만 주력인 반도체는 계속 부진합니다.

올 초 대비 반값이 된 D램은 일본 수출 규제 이후 더 떨어지진 않았지만 오르지도 않았고, 수요도 그다지 늘지 않았습니다.

D램 수요가 살아나려면 구글이나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이 데이터 센터를 늘려야 합니다.

하지만 미·중 무역분쟁 악화로 전 세계가 불황을 우려하면서 데이터센터 투자를 미루는 추세입니다.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부진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에까지 치명적입니다.

국내 민간 연구기관들은 올해 성장률이 2% 안팎에 그칠 거라는 전망을 내놓았는데 반도체 부진 장기화가 원인입니다.

[이주열/한국은행 총재/국정감사 : "2.2%가 좀 쉽지 않아 보입니다. (1%대로 낮춰지겠죠?) 아니 그렇게 말씀드릴 순 없습니다. 반도체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지난해 우리 경제는 2.7% 성장했지만 반도체를 빼면 1.4% 성장에 그쳤습니다.

수년간 반도체 성공에 가려졌던 주요 산업의 본모습이 올해부터 여실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