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출품 대가가 하루 250원?…국립미술관의 황당한 계산법
입력 2019.10.18 (21:34)
수정 2019.10.18 (2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체부 산하 국립현대미술관이 특별전시에 초대한 작가들에게 황당한 출품대가를 제시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다섯달 전시에 고작 4만 원, 하루 250원 꼴입니다.
미술창작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주는 보상이라는데, 이걸 '존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유동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현대미술가 양철모 씨는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 50주년 기념 특별 전시에 참여 제안을 받았습니다.
출품 대가가 얼마냐고 묻자 황당한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다섯 달 계속하는 전시에 총 41,250원, 하루 250원꼴이었습니다.
결국 거절했습니다.
[양철모/미술작가 : "처음에는 0원이었어요. 말이 안 된다 어떻게 5개월 동안 50주년 전시를 하면서 0원이냐고 문제제기 하니까 받는 돈이 이 산출산식을 적용해서 41,250원이더라고요."]
현대미술관이 작가에게 보낸 이메일.
해당 전시에 작가비로 책정된 예산은 하루 5만 원, 여기에 전시 일수 165일을 곱하면 825만 원입니다.
이 액수를 전시에 참여한 작가 200명에게 나눠 41,250원씩 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미 출품을 결정하고 뒤늦게 이런 설명을 들은 다른 작가는 허탈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전시 출품 작가/음성변조 : "얼마 준다는 얘기는 없었는데, 하루 250원 준다고 하면 차라리 안 받고 순수한 작가로 남는 게 낫죠."]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문화체육관광부가 3월에 만든 미술창작 대가 기준안입니다.
전시의 하루 기준금액을 5만 원으로 정하고, 참여 작가 수로 나누도록 했습니다.
참여하는 작가가 많을수록 개개인에게 돌아가는 액수는 줄어듭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음성변조 : "미술창작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작가의 전시 참여에 대한 보상 개념으로 도입됐습니다. 올해 국립미술관에서 시범 운영 중입니다."]
문체부는 계산 방식은 참고사항일 뿐 실제 금액은 미술관이 자율로 정할 수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상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문체위 : "최저임금만 따져 봐도 시간당 8,350원부터 시작합니다. 200원이라는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도 모자라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금액입니다.)"]
공정한 대가를 지급하겠다며 도입한 제도가 정당한 대가는커녕 작가들의 자존심에 상처만 준 꼴입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문체부 산하 국립현대미술관이 특별전시에 초대한 작가들에게 황당한 출품대가를 제시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다섯달 전시에 고작 4만 원, 하루 250원 꼴입니다.
미술창작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주는 보상이라는데, 이걸 '존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유동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현대미술가 양철모 씨는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 50주년 기념 특별 전시에 참여 제안을 받았습니다.
출품 대가가 얼마냐고 묻자 황당한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다섯 달 계속하는 전시에 총 41,250원, 하루 250원꼴이었습니다.
결국 거절했습니다.
[양철모/미술작가 : "처음에는 0원이었어요. 말이 안 된다 어떻게 5개월 동안 50주년 전시를 하면서 0원이냐고 문제제기 하니까 받는 돈이 이 산출산식을 적용해서 41,250원이더라고요."]
현대미술관이 작가에게 보낸 이메일.
해당 전시에 작가비로 책정된 예산은 하루 5만 원, 여기에 전시 일수 165일을 곱하면 825만 원입니다.
이 액수를 전시에 참여한 작가 200명에게 나눠 41,250원씩 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미 출품을 결정하고 뒤늦게 이런 설명을 들은 다른 작가는 허탈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전시 출품 작가/음성변조 : "얼마 준다는 얘기는 없었는데, 하루 250원 준다고 하면 차라리 안 받고 순수한 작가로 남는 게 낫죠."]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문화체육관광부가 3월에 만든 미술창작 대가 기준안입니다.
전시의 하루 기준금액을 5만 원으로 정하고, 참여 작가 수로 나누도록 했습니다.
참여하는 작가가 많을수록 개개인에게 돌아가는 액수는 줄어듭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음성변조 : "미술창작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작가의 전시 참여에 대한 보상 개념으로 도입됐습니다. 올해 국립미술관에서 시범 운영 중입니다."]
문체부는 계산 방식은 참고사항일 뿐 실제 금액은 미술관이 자율로 정할 수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상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문체위 : "최저임금만 따져 봐도 시간당 8,350원부터 시작합니다. 200원이라는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도 모자라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금액입니다.)"]
공정한 대가를 지급하겠다며 도입한 제도가 정당한 대가는커녕 작가들의 자존심에 상처만 준 꼴입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시 출품 대가가 하루 250원?…국립미술관의 황당한 계산법
-
- 입력 2019-10-18 21:36:31
- 수정2019-10-18 21:40:24

[앵커]
문체부 산하 국립현대미술관이 특별전시에 초대한 작가들에게 황당한 출품대가를 제시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다섯달 전시에 고작 4만 원, 하루 250원 꼴입니다.
미술창작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주는 보상이라는데, 이걸 '존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유동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현대미술가 양철모 씨는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 50주년 기념 특별 전시에 참여 제안을 받았습니다.
출품 대가가 얼마냐고 묻자 황당한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다섯 달 계속하는 전시에 총 41,250원, 하루 250원꼴이었습니다.
결국 거절했습니다.
[양철모/미술작가 : "처음에는 0원이었어요. 말이 안 된다 어떻게 5개월 동안 50주년 전시를 하면서 0원이냐고 문제제기 하니까 받는 돈이 이 산출산식을 적용해서 41,250원이더라고요."]
현대미술관이 작가에게 보낸 이메일.
해당 전시에 작가비로 책정된 예산은 하루 5만 원, 여기에 전시 일수 165일을 곱하면 825만 원입니다.
이 액수를 전시에 참여한 작가 200명에게 나눠 41,250원씩 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미 출품을 결정하고 뒤늦게 이런 설명을 들은 다른 작가는 허탈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전시 출품 작가/음성변조 : "얼마 준다는 얘기는 없었는데, 하루 250원 준다고 하면 차라리 안 받고 순수한 작가로 남는 게 낫죠."]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문화체육관광부가 3월에 만든 미술창작 대가 기준안입니다.
전시의 하루 기준금액을 5만 원으로 정하고, 참여 작가 수로 나누도록 했습니다.
참여하는 작가가 많을수록 개개인에게 돌아가는 액수는 줄어듭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음성변조 : "미술창작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작가의 전시 참여에 대한 보상 개념으로 도입됐습니다. 올해 국립미술관에서 시범 운영 중입니다."]
문체부는 계산 방식은 참고사항일 뿐 실제 금액은 미술관이 자율로 정할 수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상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문체위 : "최저임금만 따져 봐도 시간당 8,350원부터 시작합니다. 200원이라는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도 모자라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금액입니다.)"]
공정한 대가를 지급하겠다며 도입한 제도가 정당한 대가는커녕 작가들의 자존심에 상처만 준 꼴입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문체부 산하 국립현대미술관이 특별전시에 초대한 작가들에게 황당한 출품대가를 제시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다섯달 전시에 고작 4만 원, 하루 250원 꼴입니다.
미술창작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주는 보상이라는데, 이걸 '존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유동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현대미술가 양철모 씨는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 50주년 기념 특별 전시에 참여 제안을 받았습니다.
출품 대가가 얼마냐고 묻자 황당한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다섯 달 계속하는 전시에 총 41,250원, 하루 250원꼴이었습니다.
결국 거절했습니다.
[양철모/미술작가 : "처음에는 0원이었어요. 말이 안 된다 어떻게 5개월 동안 50주년 전시를 하면서 0원이냐고 문제제기 하니까 받는 돈이 이 산출산식을 적용해서 41,250원이더라고요."]
현대미술관이 작가에게 보낸 이메일.
해당 전시에 작가비로 책정된 예산은 하루 5만 원, 여기에 전시 일수 165일을 곱하면 825만 원입니다.
이 액수를 전시에 참여한 작가 200명에게 나눠 41,250원씩 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미 출품을 결정하고 뒤늦게 이런 설명을 들은 다른 작가는 허탈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전시 출품 작가/음성변조 : "얼마 준다는 얘기는 없었는데, 하루 250원 준다고 하면 차라리 안 받고 순수한 작가로 남는 게 낫죠."]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문화체육관광부가 3월에 만든 미술창작 대가 기준안입니다.
전시의 하루 기준금액을 5만 원으로 정하고, 참여 작가 수로 나누도록 했습니다.
참여하는 작가가 많을수록 개개인에게 돌아가는 액수는 줄어듭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음성변조 : "미술창작에 대한 존중의 의미로, 작가의 전시 참여에 대한 보상 개념으로 도입됐습니다. 올해 국립미술관에서 시범 운영 중입니다."]
문체부는 계산 방식은 참고사항일 뿐 실제 금액은 미술관이 자율로 정할 수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상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문체위 : "최저임금만 따져 봐도 시간당 8,350원부터 시작합니다. 200원이라는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도 모자라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금액입니다.)"]
공정한 대가를 지급하겠다며 도입한 제도가 정당한 대가는커녕 작가들의 자존심에 상처만 준 꼴입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
유동엽 기자 imhere@kbs.co.kr
유동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