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가 찾아준 모녀…44년 동안의 뒷 이야기

입력 2019.10.20 (14: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44년 만에 만난 한태순 씨와 신경하 씨. 두 사람은 서로를 안고 한참을 울었습니다.

한태순 씨의 딸 신경하 씨는 1975년 5월 9일 실종됐습니다. 그리고 모녀는 44년 동안 헤어져 있다가 2019년 10월 18일 다시 만났습니다. 딸을 잃어버렸던 18살 어린 엄마는 67살이 됐고, 졸지에 엄마를 잃어버렸던 딸은 49살이 돼 미국에 살고 있습니다. KBS는 어제, 9시 뉴스에서 이 모녀의 기적 같은 만남을 전해드렸습니다.

[연관기사] 44년 전 실종됐던 딸, DNA로 엄마 찾았다

모녀의 '기적 같은 만남'에 많은 시청자가 한마음으로 공감과 응원을 보내주셨는데요. 이들이 어떻게 서로를 찾게 됐는지 미처 들려드리지 못한 이야기를 전해드리려 합니다.

■ "난 할머니 댁 간 줄 알았지" 44년 전 엄마의 기억

"시장에 갈 건데, 같이 갈래? 하니까 친구들이랑 더 놀겠다고 안 가겠대..." 한태순 씨는 44년 전 딸이 실종됐던 날을 설명해 달라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말문을 열었습니다. 장을 보고 돌아온 집에 큰딸 경하는 없었습니다. 한 씨는 경하 씨가 근처에 사는 할머니 댁에 갔을 거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평소에도 종종 할머니 댁에 혼자 다녀오기도 했고, 경하 씨가 워낙 똘똘한 아이라 이번에도 그렇게 돌아올 줄 알았다는 겁니다. 하지만 다음 날이 되어도 경하 씨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경하 씨의 어린 시절 사진. 한 씨는 딱 한 장 있는 이 사진이 닳아버릴 정도로 딸을 찾아 헤맸습니다.경하 씨의 어린 시절 사진. 한 씨는 딱 한 장 있는 이 사진이 닳아버릴 정도로 딸을 찾아 헤맸습니다.

한 씨는 당장 경하 씨를 찾아 나섰습니다. 경하 씨를 동네에서 마지막으로 봤다는 이웃도 경하 씨가 할머니 댁에 간다고 했다고 합니다. 도대체 어디로 간 걸까. 딸을 찾았다는 소식을 들을 수 있을까 싶어 매일같이 경찰서를 찾아다니기를 2~3년. 발톱이 다 뽑혀나갈 정도였습니다.

가족 모두 지쳐갔습니다. 특히 힘들어하던 어린 두 자식을 보며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한 씨는 미용 기술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배운 기술로 일하며 손님들에게 잃어버린 딸의 이야기를 계속해 되풀이했습니다. 그 덕에 한 씨의 단골손님들은 경하 씨 이야기를 다 안다고 하는군요.

■ "전 기차역이 기억나요" 44년 전 딸의 기억

그렇다면 딸은 실종됐던 그 날의 기억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한태순 씨가 경하 씨에게서 들은 내용을 복기해 보면 이렇습니다. 경하 씨는 44년 전 실종된 뒤 '기차역'이 기억난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열차를 타러 갔는데 경하 씨가 열차에 올라서자, 갑자기 문이 닫혔고 엄마와 헤어졌다는 겁니다.

엄마 한 씨는 "기차역은 평소에 잘 가지도 않고, 할머니 댁과 정 반대편에 떨어져 있는데 어떻게 거기까지 간 건지 알 수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경하 씨 말을 계속 들어보죠. 그렇게 기차를 타게 된 경하 씨는 충북 제천에 도착했다고 합니다. 그곳의 한 보육원에 있다가 다른 아이들과 함께 미국으로 입양을 가게 됐습니다. 그곳에서 경하 씨는 지금의 양부모님을 만나 잘 성장했고, 간호사가 돼 지금은 미 인디애나주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가정을 꾸린 경하 씨는 현재 남편, 딸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경하 씨가 받은 모녀 관계 일치를 알리는 메일.경하 씨가 받은 모녀 관계 일치를 알리는 메일.

■ 혹시나 해서 등록했던 DNA가 모녀를 찾아줬다

40여 년 만에 모녀를 만나게 해준 건 바로 DNA였습니다. 3년 전 한 씨는 한 방송 프로그램을 보다가 DNA를 등록해 두면, 등록된 다른 DNA와 대조를 통해 딸을 찾아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곧바로 방송국에 전화를 걸어 어디서 등록을 할 수 있는지 물었고, 그 길로 DNA를 등록했습니다. 한 씨가 DNA를 등록한 비영리 단체는 '325캄라'(325Kamra)라는 곳입니다. 그동안 해외로 입양된 한인들의 DNA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곳이었습니다.

그리고 3년이 흘렀습니다. 그런데 보름 전인 지난 4일, 한 씨에게 '딸을 찾았다'는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경하 찾았어요!"

"'경하 찾았어요'하는데 내가 다짜고짜 '사기 치냐?' 이랬어요"라며 한 씨는 당시 상황을 믿을 수가 없었다고 했습니다. 딸을 찾았다는 소식에 몸에 경련이 올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고도 했습니다.

그런데 역으로 생각해 보면, 한 씨의 딸 경하 씨도 DNA를 등록해 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알고 보니 경하 씨도 10여 년 전부터 한국의 가족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합니다.

경하 씨는 미국의 한 업체에 DNA를 등록해뒀는데, 얼마 전 경하 씨 딸의 권유로 유전자 정보를 다른 업체로 이관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마침 이관한 단체가 325Kamra와 정보를 공유하는 단체여서 두 달 전 한 씨의 DNA와 대조를 해볼 수 있었던 겁니다.

경하 씨의 어린 시절 사진. 신고 있는 신발이 바로 그 ‘꽃신’입니다.경하 씨의 어린 시절 사진. 신고 있는 신발이 바로 그 ‘꽃신’입니다.

■ 한국어와 영어, 통역앱으로 매일 한 시간 반 씩 통화

44년 만에 찾은 경하 씨는 한국어를 다 잊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엄마는 괜찮습니다. 한 씨는 스마트폰 통역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딸과 매일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딸이 한글을 다 잊어 '엄마'라는 단어도 '옴마'라고 적는다고 말하며, 한 씨는 한참 웃었습니다.

한 씨는 44년간의 '잃어버린 시간'이 너무 궁금했습니다. 마치 퍼즐을 맞추듯 딸 경하 씨와 기억을 맞춰봤다고 했습니다. 경하 씨의 왼쪽 허리에 있는 작은 흉터, 경하 씨가 조르고 졸라 시장에서 사줬던 꽃신, 그리고 한 씨 가족이 살던 마을의 약도까지. 모녀의 기억은 일치했습니다.

경하 씨가 실종됐을 때 신고 있던 꽃신경하 씨가 실종됐을 때 신고 있던 꽃신

한 씨는 특히 '꽃신'을 보고 경하 씨가 딸이 맞는다고 확신했습니다. 가난했던 시절, 경하 씨가 떼를 쓰는 바람에 사줬던 꽃신은 경하 씨가 실종된 날에도 신고 있던 신발이었습니다. 경하 씨는 바로 그 신발을 신고 찍은 사진을 한 씨에게 보냈습니다. 그날 한 씨는 카카오톡 프로필을 바꿨습니다. '45(4)년 찾던 꽃신 찾았다'로 말이죠.

모녀가 지난 18일 인천국제공항에서 44년 만에 만났다모녀가 지난 18일 인천국제공항에서 44년 만에 만났다

지난 18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경하 씨는 2주 정도 한국에 머무를 예정입니다. 공항에서 만난 경하 씨는 "자신과 똑 닮은 사람이 있다는 것에 매우 놀랐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예전에 살던 곳과 한국을 떠나기 전 머물렀던 보육원 등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엄마 한태순 씨도 지금까지 다섯 식구가 함께 찍은 가족사진이 한 장도 없었다며, 이제야 드디어 온전한 가족사진을 찍을 수 있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태순 씨는 아직도 실종된 아이를 찾고 있는 부모들, 그리고 가족을 찾고 있는 아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어서 딸을 찾은 사연을 공개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20년 넘게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장기실종 아동은 국내에 486명입니다. KBS는 19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장기실종 아동'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들의 목소리를 전해드립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DNA가 찾아준 모녀…44년 동안의 뒷 이야기
    • 입력 2019-10-20 14:38:26
    취재K
44년 만에 만난 한태순 씨와 신경하 씨. 두 사람은 서로를 안고 한참을 울었습니다.

한태순 씨의 딸 신경하 씨는 1975년 5월 9일 실종됐습니다. 그리고 모녀는 44년 동안 헤어져 있다가 2019년 10월 18일 다시 만났습니다. 딸을 잃어버렸던 18살 어린 엄마는 67살이 됐고, 졸지에 엄마를 잃어버렸던 딸은 49살이 돼 미국에 살고 있습니다. KBS는 어제, 9시 뉴스에서 이 모녀의 기적 같은 만남을 전해드렸습니다.

[연관기사] 44년 전 실종됐던 딸, DNA로 엄마 찾았다

모녀의 '기적 같은 만남'에 많은 시청자가 한마음으로 공감과 응원을 보내주셨는데요. 이들이 어떻게 서로를 찾게 됐는지 미처 들려드리지 못한 이야기를 전해드리려 합니다.

■ "난 할머니 댁 간 줄 알았지" 44년 전 엄마의 기억

"시장에 갈 건데, 같이 갈래? 하니까 친구들이랑 더 놀겠다고 안 가겠대..." 한태순 씨는 44년 전 딸이 실종됐던 날을 설명해 달라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말문을 열었습니다. 장을 보고 돌아온 집에 큰딸 경하는 없었습니다. 한 씨는 경하 씨가 근처에 사는 할머니 댁에 갔을 거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평소에도 종종 할머니 댁에 혼자 다녀오기도 했고, 경하 씨가 워낙 똘똘한 아이라 이번에도 그렇게 돌아올 줄 알았다는 겁니다. 하지만 다음 날이 되어도 경하 씨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경하 씨의 어린 시절 사진. 한 씨는 딱 한 장 있는 이 사진이 닳아버릴 정도로 딸을 찾아 헤맸습니다.
한 씨는 당장 경하 씨를 찾아 나섰습니다. 경하 씨를 동네에서 마지막으로 봤다는 이웃도 경하 씨가 할머니 댁에 간다고 했다고 합니다. 도대체 어디로 간 걸까. 딸을 찾았다는 소식을 들을 수 있을까 싶어 매일같이 경찰서를 찾아다니기를 2~3년. 발톱이 다 뽑혀나갈 정도였습니다.

가족 모두 지쳐갔습니다. 특히 힘들어하던 어린 두 자식을 보며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한 씨는 미용 기술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배운 기술로 일하며 손님들에게 잃어버린 딸의 이야기를 계속해 되풀이했습니다. 그 덕에 한 씨의 단골손님들은 경하 씨 이야기를 다 안다고 하는군요.

■ "전 기차역이 기억나요" 44년 전 딸의 기억

그렇다면 딸은 실종됐던 그 날의 기억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한태순 씨가 경하 씨에게서 들은 내용을 복기해 보면 이렇습니다. 경하 씨는 44년 전 실종된 뒤 '기차역'이 기억난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열차를 타러 갔는데 경하 씨가 열차에 올라서자, 갑자기 문이 닫혔고 엄마와 헤어졌다는 겁니다.

엄마 한 씨는 "기차역은 평소에 잘 가지도 않고, 할머니 댁과 정 반대편에 떨어져 있는데 어떻게 거기까지 간 건지 알 수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경하 씨 말을 계속 들어보죠. 그렇게 기차를 타게 된 경하 씨는 충북 제천에 도착했다고 합니다. 그곳의 한 보육원에 있다가 다른 아이들과 함께 미국으로 입양을 가게 됐습니다. 그곳에서 경하 씨는 지금의 양부모님을 만나 잘 성장했고, 간호사가 돼 지금은 미 인디애나주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가정을 꾸린 경하 씨는 현재 남편, 딸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경하 씨가 받은 모녀 관계 일치를 알리는 메일.
■ 혹시나 해서 등록했던 DNA가 모녀를 찾아줬다

40여 년 만에 모녀를 만나게 해준 건 바로 DNA였습니다. 3년 전 한 씨는 한 방송 프로그램을 보다가 DNA를 등록해 두면, 등록된 다른 DNA와 대조를 통해 딸을 찾아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곧바로 방송국에 전화를 걸어 어디서 등록을 할 수 있는지 물었고, 그 길로 DNA를 등록했습니다. 한 씨가 DNA를 등록한 비영리 단체는 '325캄라'(325Kamra)라는 곳입니다. 그동안 해외로 입양된 한인들의 DNA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곳이었습니다.

그리고 3년이 흘렀습니다. 그런데 보름 전인 지난 4일, 한 씨에게 '딸을 찾았다'는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경하 찾았어요!"

"'경하 찾았어요'하는데 내가 다짜고짜 '사기 치냐?' 이랬어요"라며 한 씨는 당시 상황을 믿을 수가 없었다고 했습니다. 딸을 찾았다는 소식에 몸에 경련이 올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고도 했습니다.

그런데 역으로 생각해 보면, 한 씨의 딸 경하 씨도 DNA를 등록해 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알고 보니 경하 씨도 10여 년 전부터 한국의 가족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합니다.

경하 씨는 미국의 한 업체에 DNA를 등록해뒀는데, 얼마 전 경하 씨 딸의 권유로 유전자 정보를 다른 업체로 이관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마침 이관한 단체가 325Kamra와 정보를 공유하는 단체여서 두 달 전 한 씨의 DNA와 대조를 해볼 수 있었던 겁니다.

경하 씨의 어린 시절 사진. 신고 있는 신발이 바로 그 ‘꽃신’입니다.
■ 한국어와 영어, 통역앱으로 매일 한 시간 반 씩 통화

44년 만에 찾은 경하 씨는 한국어를 다 잊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엄마는 괜찮습니다. 한 씨는 스마트폰 통역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딸과 매일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딸이 한글을 다 잊어 '엄마'라는 단어도 '옴마'라고 적는다고 말하며, 한 씨는 한참 웃었습니다.

한 씨는 44년간의 '잃어버린 시간'이 너무 궁금했습니다. 마치 퍼즐을 맞추듯 딸 경하 씨와 기억을 맞춰봤다고 했습니다. 경하 씨의 왼쪽 허리에 있는 작은 흉터, 경하 씨가 조르고 졸라 시장에서 사줬던 꽃신, 그리고 한 씨 가족이 살던 마을의 약도까지. 모녀의 기억은 일치했습니다.

경하 씨가 실종됐을 때 신고 있던 꽃신
한 씨는 특히 '꽃신'을 보고 경하 씨가 딸이 맞는다고 확신했습니다. 가난했던 시절, 경하 씨가 떼를 쓰는 바람에 사줬던 꽃신은 경하 씨가 실종된 날에도 신고 있던 신발이었습니다. 경하 씨는 바로 그 신발을 신고 찍은 사진을 한 씨에게 보냈습니다. 그날 한 씨는 카카오톡 프로필을 바꿨습니다. '45(4)년 찾던 꽃신 찾았다'로 말이죠.

모녀가 지난 18일 인천국제공항에서 44년 만에 만났다
지난 18일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경하 씨는 2주 정도 한국에 머무를 예정입니다. 공항에서 만난 경하 씨는 "자신과 똑 닮은 사람이 있다는 것에 매우 놀랐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예전에 살던 곳과 한국을 떠나기 전 머물렀던 보육원 등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엄마 한태순 씨도 지금까지 다섯 식구가 함께 찍은 가족사진이 한 장도 없었다며, 이제야 드디어 온전한 가족사진을 찍을 수 있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태순 씨는 아직도 실종된 아이를 찾고 있는 부모들, 그리고 가족을 찾고 있는 아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어서 딸을 찾은 사연을 공개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20년 넘게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장기실종 아동은 국내에 486명입니다. KBS는 19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장기실종 아동'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들의 목소리를 전해드립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