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아베 日 총리와 11분간 단독 환담…靑 “매우 우호적”
입력 2019.11.04 (17:01)
수정 2019.11.04 (2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태국을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11분간 단독 환담을 가졌습니다.
일본 수출 규제 조치 시행 이후 한일 두 정상이 환담을 나눈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예정에 없던 깜짝 만남이었는데 분위기는 매우 우호적이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태국 현지에서 이병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로 22번째 맞는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
회의 전 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통역만 배석한 단독 환담을 나눴습니다.
환담은 한국 시간으로 오전 10시 35분부터 46분까지 11분간 이뤄졌습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매우 우호적이며 진지한 분위기 속에 환담을 이어갔다고 밝혔습니다.
[고민정/청와대 대변인 : "양 정상은 한일관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한일 양국 관계 현안은 대화를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또 최근 외교부간 공식 채널로 진행되는 협의를 통해 실질적 관계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보다 고위급 협의를 갖는 방안을 검토해보자고 제의했고, 아베 총리도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답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이어 열린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자유무역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자유무역 질서'가 외풍에 흔들리지 않도록 지켜내고,'축소 균형'을 향해 치닫는 세계 경제를 '확대 균형'의 길로 다시 되돌려놓아야 합니다."]
앞서 문 대통령 내외는 어젯밤 축하 만찬에서 아베 총리 내외와 만나 짧은 인사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한일 두 정상이 대화다운 대화를 나눈 것은 지난해 9월 유엔총회 때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13개월 만입니다.
얼어붙었던 한일 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이병도입니다.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태국을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11분간 단독 환담을 가졌습니다.
일본 수출 규제 조치 시행 이후 한일 두 정상이 환담을 나눈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예정에 없던 깜짝 만남이었는데 분위기는 매우 우호적이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태국 현지에서 이병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로 22번째 맞는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
회의 전 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통역만 배석한 단독 환담을 나눴습니다.
환담은 한국 시간으로 오전 10시 35분부터 46분까지 11분간 이뤄졌습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매우 우호적이며 진지한 분위기 속에 환담을 이어갔다고 밝혔습니다.
[고민정/청와대 대변인 : "양 정상은 한일관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한일 양국 관계 현안은 대화를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또 최근 외교부간 공식 채널로 진행되는 협의를 통해 실질적 관계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보다 고위급 협의를 갖는 방안을 검토해보자고 제의했고, 아베 총리도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답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이어 열린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자유무역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자유무역 질서'가 외풍에 흔들리지 않도록 지켜내고,'축소 균형'을 향해 치닫는 세계 경제를 '확대 균형'의 길로 다시 되돌려놓아야 합니다."]
앞서 문 대통령 내외는 어젯밤 축하 만찬에서 아베 총리 내외와 만나 짧은 인사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한일 두 정상이 대화다운 대화를 나눈 것은 지난해 9월 유엔총회 때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13개월 만입니다.
얼어붙었던 한일 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이병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 대통령, 아베 日 총리와 11분간 단독 환담…靑 “매우 우호적”
-
- 입력 2019-11-04 17:03:51
- 수정2019-11-04 21:03:18

[앵커]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태국을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11분간 단독 환담을 가졌습니다.
일본 수출 규제 조치 시행 이후 한일 두 정상이 환담을 나눈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예정에 없던 깜짝 만남이었는데 분위기는 매우 우호적이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태국 현지에서 이병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로 22번째 맞는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
회의 전 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통역만 배석한 단독 환담을 나눴습니다.
환담은 한국 시간으로 오전 10시 35분부터 46분까지 11분간 이뤄졌습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매우 우호적이며 진지한 분위기 속에 환담을 이어갔다고 밝혔습니다.
[고민정/청와대 대변인 : "양 정상은 한일관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한일 양국 관계 현안은 대화를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또 최근 외교부간 공식 채널로 진행되는 협의를 통해 실질적 관계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보다 고위급 협의를 갖는 방안을 검토해보자고 제의했고, 아베 총리도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답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이어 열린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자유무역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자유무역 질서'가 외풍에 흔들리지 않도록 지켜내고,'축소 균형'을 향해 치닫는 세계 경제를 '확대 균형'의 길로 다시 되돌려놓아야 합니다."]
앞서 문 대통령 내외는 어젯밤 축하 만찬에서 아베 총리 내외와 만나 짧은 인사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한일 두 정상이 대화다운 대화를 나눈 것은 지난해 9월 유엔총회 때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13개월 만입니다.
얼어붙었던 한일 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이병도입니다.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태국을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11분간 단독 환담을 가졌습니다.
일본 수출 규제 조치 시행 이후 한일 두 정상이 환담을 나눈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예정에 없던 깜짝 만남이었는데 분위기는 매우 우호적이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태국 현지에서 이병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올해로 22번째 맞는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
회의 전 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통역만 배석한 단독 환담을 나눴습니다.
환담은 한국 시간으로 오전 10시 35분부터 46분까지 11분간 이뤄졌습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매우 우호적이며 진지한 분위기 속에 환담을 이어갔다고 밝혔습니다.
[고민정/청와대 대변인 : "양 정상은 한일관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한일 양국 관계 현안은 대화를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또 최근 외교부간 공식 채널로 진행되는 협의를 통해 실질적 관계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보다 고위급 협의를 갖는 방안을 검토해보자고 제의했고, 아베 총리도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답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이어 열린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자유무역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자유무역 질서'가 외풍에 흔들리지 않도록 지켜내고,'축소 균형'을 향해 치닫는 세계 경제를 '확대 균형'의 길로 다시 되돌려놓아야 합니다."]
앞서 문 대통령 내외는 어젯밤 축하 만찬에서 아베 총리 내외와 만나 짧은 인사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한일 두 정상이 대화다운 대화를 나눈 것은 지난해 9월 유엔총회 때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13개월 만입니다.
얼어붙었던 한일 관계에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이병도입니다.
-
-
이병도 기자 bdlee@kbs.co.kr
이병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지소미아 종료 ‘조건부 연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