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국제고·자사고 2025년 ‘일반고 전환’…반발·우려

입력 2019.11.07 (21:25) 수정 2019.11.07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외국어고와 국제고, 자사고가 2025년부터 모두 사라지고 일반고로 일제히 전환됩니다.

고교 서열화의 폐단이 너무 크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일반고에 대해선 앞으로 5년간 2조 원 넘게 투입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천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가 2025년부터 모두 일반고로 바뀝니다.

전국 30개 외고와 7개 국제고, 42개 자사고가 대상입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안에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유은혜/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우수한 학생들을 먼저 선점하고 비싼 학비와 교육비가 소요되다 보니 현재 고등학교는 사실상 1류, 2류로 서열화되고..."]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는 그동안 갖던 학생 선발 권한이 사라집니다.

월 100만 원가량인 학비도 없애 일반고와 마찬가지로 무상교육으로 바뀝니다.

기존의 '외국어고' 명칭은 계속 사용할 수 있고, 교육 과정도 그대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특목고 중 과학고와 영재고, 예술고, 체육고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하지만 영재고의 지필 평가를 없애는 등 사교육을 줄일 수 있도록 선발 방식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일반고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내놨습니다.

5년간 2조 2천억 원을 투입해 일반고의 역량을 강화하고 교육 불평등을 없애갈 계획입니다.

[조희연/서울시 교육감 : "학교 간 서열화의 시대에서 학교 내 다양성의 시대로 커다란 전환을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당사자인 외고와 자사고 등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김철경/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장 : "획일적 평등의 퇴행적 교육 질환을 앓게 하는 낡은 시대로의 회귀라고 생각합니다."]

전교조는 일괄 전환을 환영했지만 한국교총은 교육 다양성의 포기라고 비판하는 등 교육단체들도 엇갈리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KBS 뉴스 천효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고·국제고·자사고 2025년 ‘일반고 전환’…반발·우려
    • 입력 2019-11-07 21:27:38
    • 수정2019-11-07 22:08:43
    뉴스 9
[앵커]

외국어고와 국제고, 자사고가 2025년부터 모두 사라지고 일반고로 일제히 전환됩니다.

고교 서열화의 폐단이 너무 크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일반고에 대해선 앞으로 5년간 2조 원 넘게 투입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천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가 2025년부터 모두 일반고로 바뀝니다.

전국 30개 외고와 7개 국제고, 42개 자사고가 대상입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안에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유은혜/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우수한 학생들을 먼저 선점하고 비싼 학비와 교육비가 소요되다 보니 현재 고등학교는 사실상 1류, 2류로 서열화되고..."]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는 그동안 갖던 학생 선발 권한이 사라집니다.

월 100만 원가량인 학비도 없애 일반고와 마찬가지로 무상교육으로 바뀝니다.

기존의 '외국어고' 명칭은 계속 사용할 수 있고, 교육 과정도 그대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특목고 중 과학고와 영재고, 예술고, 체육고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하지만 영재고의 지필 평가를 없애는 등 사교육을 줄일 수 있도록 선발 방식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일반고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내놨습니다.

5년간 2조 2천억 원을 투입해 일반고의 역량을 강화하고 교육 불평등을 없애갈 계획입니다.

[조희연/서울시 교육감 : "학교 간 서열화의 시대에서 학교 내 다양성의 시대로 커다란 전환을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당사자인 외고와 자사고 등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김철경/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장 : "획일적 평등의 퇴행적 교육 질환을 앓게 하는 낡은 시대로의 회귀라고 생각합니다."]

전교조는 일괄 전환을 환영했지만 한국교총은 교육 다양성의 포기라고 비판하는 등 교육단체들도 엇갈리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KBS 뉴스 천효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