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진단 라이브]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9%
입력 2019.11.10 (09:01)
수정 2019.11.10 (10: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가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이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KBS <일요진단 라이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7일과 8일, 이틀 동안 전국의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9%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북한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을 펼쳐왔습니다. 이같은 정책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봤습니다.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31%,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25%로 응답자의 56%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매우 성과를 냈다'는 응답은 8%,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응답은 31%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이 성과를 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39%를 차지했습니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5%였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 '성과 못 냈다' 59% vs '성과 냈다' 37%
문재인 정부가 펼쳐온 최저임금 인상 등을 포함한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가 33%,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가 26%로, 10명 중 6명 정도가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7%를 차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매우 성과를 냈다'가 6%,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0%였습니다. '모르겠다'는 4%였습니다.
적폐청산,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8%
문재인 정부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추진하고 실행해 온 적폐청산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6%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응답이 38%,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응답은 18%였습니다.
이에 반해 '매우 성과를 냈다'는 의견이 6%,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3%에 달해 응답자의 38%가 적폐청산 작업에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모르겠다’는 5%였습니다.

▲조사기관 : 한국리서치 ▲조사대상 :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 ▲조사기간: 2019년 11월 7일~8일 ▲조사방법 : 웹 조사 (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통해 URL 발송) ▲응답률 : 조사요청 대비 14.7%, 조사참여 대비 92.1%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p
KBS <일요진단 라이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7일과 8일, 이틀 동안 전국의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9%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북한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을 펼쳐왔습니다. 이같은 정책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봤습니다.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31%,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25%로 응답자의 56%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매우 성과를 냈다'는 응답은 8%,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응답은 31%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이 성과를 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39%를 차지했습니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5%였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 '성과 못 냈다' 59% vs '성과 냈다' 37%
문재인 정부가 펼쳐온 최저임금 인상 등을 포함한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가 33%,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가 26%로, 10명 중 6명 정도가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7%를 차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매우 성과를 냈다'가 6%,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0%였습니다. '모르겠다'는 4%였습니다.

적폐청산,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8%
문재인 정부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추진하고 실행해 온 적폐청산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6%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응답이 38%,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응답은 18%였습니다.
이에 반해 '매우 성과를 냈다'는 의견이 6%,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3%에 달해 응답자의 38%가 적폐청산 작업에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모르겠다’는 5%였습니다.

▲조사기관 : 한국리서치 ▲조사대상 :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 ▲조사기간: 2019년 11월 7일~8일 ▲조사방법 : 웹 조사 (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통해 URL 발송) ▲응답률 : 조사요청 대비 14.7%, 조사참여 대비 92.1%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p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요진단 라이브]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9%
-
- 입력 2019-11-10 09:01:37
- 수정2019-11-10 10:08:46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가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이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KBS <일요진단 라이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7일과 8일, 이틀 동안 전국의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9%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북한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을 펼쳐왔습니다. 이같은 정책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봤습니다.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31%,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25%로 응답자의 56%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매우 성과를 냈다'는 응답은 8%,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응답은 31%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이 성과를 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39%를 차지했습니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5%였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 '성과 못 냈다' 59% vs '성과 냈다' 37%
문재인 정부가 펼쳐온 최저임금 인상 등을 포함한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가 33%,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가 26%로, 10명 중 6명 정도가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7%를 차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매우 성과를 냈다'가 6%,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0%였습니다. '모르겠다'는 4%였습니다.
적폐청산,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8%
문재인 정부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추진하고 실행해 온 적폐청산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6%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응답이 38%,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응답은 18%였습니다.
이에 반해 '매우 성과를 냈다'는 의견이 6%,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3%에 달해 응답자의 38%가 적폐청산 작업에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모르겠다’는 5%였습니다.

▲조사기관 : 한국리서치 ▲조사대상 :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 ▲조사기간: 2019년 11월 7일~8일 ▲조사방법 : 웹 조사 (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통해 URL 발송) ▲응답률 : 조사요청 대비 14.7%, 조사참여 대비 92.1%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p
KBS <일요진단 라이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7일과 8일, 이틀 동안 전국의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9%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북한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을 펼쳐왔습니다. 이같은 정책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봤습니다.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31%,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25%로 응답자의 56%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매우 성과를 냈다'는 응답은 8%,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응답은 31%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이 성과를 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39%를 차지했습니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5%였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 '성과 못 냈다' 59% vs '성과 냈다' 37%
문재인 정부가 펼쳐온 최저임금 인상 등을 포함한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가 33%,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가 26%로, 10명 중 6명 정도가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7%를 차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매우 성과를 냈다'가 6%,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0%였습니다. '모르겠다'는 4%였습니다.

적폐청산, '성과 못 냈다' 56% vs '성과 냈다' 38%
문재인 정부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추진하고 실행해 온 적폐청산의 성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6%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별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응답이 38%, '전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응답은 18%였습니다.
이에 반해 '매우 성과를 냈다'는 의견이 6%, '대체로 성과를 냈다'는 의견은 33%에 달해 응답자의 38%가 적폐청산 작업에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모르겠다’는 5%였습니다.

▲조사기관 : 한국리서치 ▲조사대상 :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 ▲조사기간: 2019년 11월 7일~8일 ▲조사방법 : 웹 조사 (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통해 URL 발송) ▲응답률 : 조사요청 대비 14.7%, 조사참여 대비 92.1%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p

-
-
박재용 기자 pjyrep@kbs.co.kr
박재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