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군제서 한국 화장품·패션 매출 급증…“한한령 해소되는 듯”
입력 2019.11.12 (19:00)
수정 2019.11.12 (20: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최대 쇼핑일인 '광군제'(11월 11일)에서 올해 국내 화장품·패션업체들의 매출이 급증했습니다. 한국은 해외 직접 구매 순위에서도 미국, 일본에 이어 3위를 차지했습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광군제 매출이 전년 대비 62% 늘어 국내 뷰티 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LG생활건강도 후, 숨, 오휘, 빌리프, VDL 등 5개 화장품 브랜드의 매출이 전년 대비 187% 급증했습니다.
애경산업과 닥터자르트도 전년 대비 각각 371%, 295% 증가했습니다. AHC는 화장품 카테고리를 넘어서 티몰 글로벌 해외 직접 구매 상품 전체에서 4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이랜드가 티몰에서 2억 9,700만 위안(5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패션업체들도 좋은 실적을 거뒀습니다.
사드 갈등 여파로 2017년 광군제에서 해외 직접 구매 순위 5위까지 밀렸던 한국이 올해 큰 성과를 내면서 '한한령'이 완화되고 있는 겁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나 한국 기업에 대한 반감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광군제 매출도 증가했다"면서 "한국 기업들이 현지 인플루언서 왕훙을 활용하는 등 중국 맞춤형 마케팅을 벌인 것도 주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광군제 매출이 전년 대비 62% 늘어 국내 뷰티 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LG생활건강도 후, 숨, 오휘, 빌리프, VDL 등 5개 화장품 브랜드의 매출이 전년 대비 187% 급증했습니다.
애경산업과 닥터자르트도 전년 대비 각각 371%, 295% 증가했습니다. AHC는 화장품 카테고리를 넘어서 티몰 글로벌 해외 직접 구매 상품 전체에서 4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이랜드가 티몰에서 2억 9,700만 위안(5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패션업체들도 좋은 실적을 거뒀습니다.
사드 갈등 여파로 2017년 광군제에서 해외 직접 구매 순위 5위까지 밀렸던 한국이 올해 큰 성과를 내면서 '한한령'이 완화되고 있는 겁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나 한국 기업에 대한 반감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광군제 매출도 증가했다"면서 "한국 기업들이 현지 인플루언서 왕훙을 활용하는 등 중국 맞춤형 마케팅을 벌인 것도 주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광군제서 한국 화장품·패션 매출 급증…“한한령 해소되는 듯”
-
- 입력 2019-11-12 19:00:19
- 수정2019-11-12 20:45:50

중국 최대 쇼핑일인 '광군제'(11월 11일)에서 올해 국내 화장품·패션업체들의 매출이 급증했습니다. 한국은 해외 직접 구매 순위에서도 미국, 일본에 이어 3위를 차지했습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광군제 매출이 전년 대비 62% 늘어 국내 뷰티 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LG생활건강도 후, 숨, 오휘, 빌리프, VDL 등 5개 화장품 브랜드의 매출이 전년 대비 187% 급증했습니다.
애경산업과 닥터자르트도 전년 대비 각각 371%, 295% 증가했습니다. AHC는 화장품 카테고리를 넘어서 티몰 글로벌 해외 직접 구매 상품 전체에서 4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이랜드가 티몰에서 2억 9,700만 위안(5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패션업체들도 좋은 실적을 거뒀습니다.
사드 갈등 여파로 2017년 광군제에서 해외 직접 구매 순위 5위까지 밀렸던 한국이 올해 큰 성과를 내면서 '한한령'이 완화되고 있는 겁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나 한국 기업에 대한 반감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광군제 매출도 증가했다"면서 "한국 기업들이 현지 인플루언서 왕훙을 활용하는 등 중국 맞춤형 마케팅을 벌인 것도 주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광군제 매출이 전년 대비 62% 늘어 국내 뷰티 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고 오늘(12일) 밝혔습니다.
LG생활건강도 후, 숨, 오휘, 빌리프, VDL 등 5개 화장품 브랜드의 매출이 전년 대비 187% 급증했습니다.
애경산업과 닥터자르트도 전년 대비 각각 371%, 295% 증가했습니다. AHC는 화장품 카테고리를 넘어서 티몰 글로벌 해외 직접 구매 상품 전체에서 4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이랜드가 티몰에서 2억 9,700만 위안(5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패션업체들도 좋은 실적을 거뒀습니다.
사드 갈등 여파로 2017년 광군제에서 해외 직접 구매 순위 5위까지 밀렸던 한국이 올해 큰 성과를 내면서 '한한령'이 완화되고 있는 겁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나 한국 기업에 대한 반감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광군제 매출도 증가했다"면서 "한국 기업들이 현지 인플루언서 왕훙을 활용하는 등 중국 맞춤형 마케팅을 벌인 것도 주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조혜진 기자 jin2@kbs.co.kr
조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