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②) 민간공원특례사업 진행 차질 없나?
입력 2019.11.12 (21:56)
수정 2019.11.12 (23: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고위 간부들에 대한
구속과 영장 청구로 이어지자
광주시는 당혹해하는
모습이 역력합니다.
이용섭 시장은
유감을 표명하며
흔들림없이 사업을
진행할 것으로 주문했지만,
절차적 정당성이
의심받게 되면서
민간공원 특례사업 전반에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용섭 광주시장은
시민들에게 송구스럽다면서도
행정부시장과 감사위원장이
민간공원 사업과 관련해
몸을 사라지 않고 일해 왔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습니다.
고위 간부들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가
'적극적인 행정처리'의 일환이었다는
취집니다.
검찰의 신속한 수사도 요구했습니다.
[녹취]이용섭/광주시장
"이번 일로 최대 규모 중앙공원 등이
도시공원에서 제외되는 최악의 상황이
온다면 시민들의 삶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 사장의
지속적인 사업추진 주문에도 불구하고
민간공원 사업 전반은
차질이 불가피합니다.
광주시는
구속영장 청구 내용을 토대로
문제가 된 중앙공원 1,2지구
협약 추진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법률 자문을 받기로 했습니다.
자문 결과,
예정대로 사업을 추진하는 게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더라도
협약 절차는 늦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업계에선 수사의 파장을 우려해
사업 추진을 주저하며
관망하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협약을 맺으려면
우선협상대상자가
특수목적법인을 만들어야 하는데
법인이 설립된 건 전체 10곳 가운데
송암공원과 신용공원 두 곳 뿐입니다.
사업자들은
수백억에서 많게는 수천억 원에 이르는
자금 조달 계획도
대부분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와 향후 법적소송으로 인해
중앙공원 1,2지구의 사업이 지연될 경우
민간공원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유승용입니다.
고위 간부들에 대한
구속과 영장 청구로 이어지자
광주시는 당혹해하는
모습이 역력합니다.
이용섭 시장은
유감을 표명하며
흔들림없이 사업을
진행할 것으로 주문했지만,
절차적 정당성이
의심받게 되면서
민간공원 특례사업 전반에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용섭 광주시장은
시민들에게 송구스럽다면서도
행정부시장과 감사위원장이
민간공원 사업과 관련해
몸을 사라지 않고 일해 왔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습니다.
고위 간부들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가
'적극적인 행정처리'의 일환이었다는
취집니다.
검찰의 신속한 수사도 요구했습니다.
[녹취]이용섭/광주시장
"이번 일로 최대 규모 중앙공원 등이
도시공원에서 제외되는 최악의 상황이
온다면 시민들의 삶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 사장의
지속적인 사업추진 주문에도 불구하고
민간공원 사업 전반은
차질이 불가피합니다.
광주시는
구속영장 청구 내용을 토대로
문제가 된 중앙공원 1,2지구
협약 추진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법률 자문을 받기로 했습니다.
자문 결과,
예정대로 사업을 추진하는 게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더라도
협약 절차는 늦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업계에선 수사의 파장을 우려해
사업 추진을 주저하며
관망하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협약을 맺으려면
우선협상대상자가
특수목적법인을 만들어야 하는데
법인이 설립된 건 전체 10곳 가운데
송암공원과 신용공원 두 곳 뿐입니다.
사업자들은
수백억에서 많게는 수천억 원에 이르는
자금 조달 계획도
대부분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와 향후 법적소송으로 인해
중앙공원 1,2지구의 사업이 지연될 경우
민간공원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유승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②) 민간공원특례사업 진행 차질 없나?
-
- 입력 2019-11-12 21:56:09
- 수정2019-11-12 23:23:53

[앵커멘트]
고위 간부들에 대한
구속과 영장 청구로 이어지자
광주시는 당혹해하는
모습이 역력합니다.
이용섭 시장은
유감을 표명하며
흔들림없이 사업을
진행할 것으로 주문했지만,
절차적 정당성이
의심받게 되면서
민간공원 특례사업 전반에도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용섭 광주시장은
시민들에게 송구스럽다면서도
행정부시장과 감사위원장이
민간공원 사업과 관련해
몸을 사라지 않고 일해 왔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습니다.
고위 간부들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가
'적극적인 행정처리'의 일환이었다는
취집니다.
검찰의 신속한 수사도 요구했습니다.
[녹취]이용섭/광주시장
"이번 일로 최대 규모 중앙공원 등이
도시공원에서 제외되는 최악의 상황이
온다면 시민들의 삶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 사장의
지속적인 사업추진 주문에도 불구하고
민간공원 사업 전반은
차질이 불가피합니다.
광주시는
구속영장 청구 내용을 토대로
문제가 된 중앙공원 1,2지구
협약 추진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법률 자문을 받기로 했습니다.
자문 결과,
예정대로 사업을 추진하는 게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더라도
협약 절차는 늦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업계에선 수사의 파장을 우려해
사업 추진을 주저하며
관망하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
협약을 맺으려면
우선협상대상자가
특수목적법인을 만들어야 하는데
법인이 설립된 건 전체 10곳 가운데
송암공원과 신용공원 두 곳 뿐입니다.
사업자들은
수백억에서 많게는 수천억 원에 이르는
자금 조달 계획도
대부분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와 향후 법적소송으로 인해
중앙공원 1,2지구의 사업이 지연될 경우
민간공원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유승용입니다.
-
-
유승용 기자 hara1848@kbs.co.kr
유승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