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강원상품권 재상정 추진…우려 여전
입력 2019.11.12 (22:03)
수정 2019.11.12 (23: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강원도가
이번 도의회 회기에
종이로 된 강원상품권을
전자 상품권으로 바꾸는 사업을
재추진할 방침입니다.
타당성 검토가 필요하다며
관련 조례안이
도의회에서 계류된지
불과 한 달만에
다시 추진하는 건데요.
하지만, 아직도 우려가 여전해
진통이 예상됩니다.
김문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KBS가 입수한
강원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종이 강원상품권
3년치 성과분석 자료입니다.
연간 판매액이
2017년 48억 원에서
올해는 131억 원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돼 있습니다.
같은 기간 개인의 구매 비중이
30% 정도에서 70% 정도까지 늘었다는 것도
상품권이 안착됐다는 증거라고 주장합니다.
현재 40대 이상 구매자의 비율이
70%가 넘는 만큼,
이젠 전자상품권을 도입해서
20대~30대까지 끌어오겠다는 게
강원도의 구상입니다.
하지만, 이런 효과가
부풀려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확한 성과분석을 위해선
판매액이 아니라
회수액을 기준으로 해야한다는 겁니다.
또, 팔지 못해
재고로 남아 있는 상품권이
백억 원어치가 넘는다는 점,
할인과 수수료 등
적지않은 부대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도
계산에 넣어야한다는 지적이
도청 안팎에서 나옵니다.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 방지라는
강원상품권 도입 취지를
제대로 달성했다는 근거도
빈약하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신영재/강원도의원[인터뷰]
"종이상품권으로 유통되는 이 사업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따져본 이후에 전자상품권 도입을 하는 것이 맞다는 것이죠."
이같은 우려로 인해
전자상품권 관련 조례안은
지난번 도의회에서 계류된 상탭니다.
강원도는 이 조례를
이번 회기에 재상정할 방침입니다.
강원도는 상품권 조례안의 도의회 재상정을 앞두고 의회 눈치를 보느라 관련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문영입니다.(끝)
강원도가
이번 도의회 회기에
종이로 된 강원상품권을
전자 상품권으로 바꾸는 사업을
재추진할 방침입니다.
타당성 검토가 필요하다며
관련 조례안이
도의회에서 계류된지
불과 한 달만에
다시 추진하는 건데요.
하지만, 아직도 우려가 여전해
진통이 예상됩니다.
김문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KBS가 입수한
강원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종이 강원상품권
3년치 성과분석 자료입니다.
연간 판매액이
2017년 48억 원에서
올해는 131억 원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돼 있습니다.
같은 기간 개인의 구매 비중이
30% 정도에서 70% 정도까지 늘었다는 것도
상품권이 안착됐다는 증거라고 주장합니다.
현재 40대 이상 구매자의 비율이
70%가 넘는 만큼,
이젠 전자상품권을 도입해서
20대~30대까지 끌어오겠다는 게
강원도의 구상입니다.
하지만, 이런 효과가
부풀려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확한 성과분석을 위해선
판매액이 아니라
회수액을 기준으로 해야한다는 겁니다.
또, 팔지 못해
재고로 남아 있는 상품권이
백억 원어치가 넘는다는 점,
할인과 수수료 등
적지않은 부대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도
계산에 넣어야한다는 지적이
도청 안팎에서 나옵니다.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 방지라는
강원상품권 도입 취지를
제대로 달성했다는 근거도
빈약하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신영재/강원도의원[인터뷰]
"종이상품권으로 유통되는 이 사업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따져본 이후에 전자상품권 도입을 하는 것이 맞다는 것이죠."
이같은 우려로 인해
전자상품권 관련 조례안은
지난번 도의회에서 계류된 상탭니다.
강원도는 이 조례를
이번 회기에 재상정할 방침입니다.
강원도는 상품권 조례안의 도의회 재상정을 앞두고 의회 눈치를 보느라 관련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문영입니다.(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자 강원상품권 재상정 추진…우려 여전
-
- 입력 2019-11-12 22:03:27
- 수정2019-11-12 23:57:39

[앵커멘트]
강원도가
이번 도의회 회기에
종이로 된 강원상품권을
전자 상품권으로 바꾸는 사업을
재추진할 방침입니다.
타당성 검토가 필요하다며
관련 조례안이
도의회에서 계류된지
불과 한 달만에
다시 추진하는 건데요.
하지만, 아직도 우려가 여전해
진통이 예상됩니다.
김문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KBS가 입수한
강원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종이 강원상품권
3년치 성과분석 자료입니다.
연간 판매액이
2017년 48억 원에서
올해는 131억 원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돼 있습니다.
같은 기간 개인의 구매 비중이
30% 정도에서 70% 정도까지 늘었다는 것도
상품권이 안착됐다는 증거라고 주장합니다.
현재 40대 이상 구매자의 비율이
70%가 넘는 만큼,
이젠 전자상품권을 도입해서
20대~30대까지 끌어오겠다는 게
강원도의 구상입니다.
하지만, 이런 효과가
부풀려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확한 성과분석을 위해선
판매액이 아니라
회수액을 기준으로 해야한다는 겁니다.
또, 팔지 못해
재고로 남아 있는 상품권이
백억 원어치가 넘는다는 점,
할인과 수수료 등
적지않은 부대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도
계산에 넣어야한다는 지적이
도청 안팎에서 나옵니다.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 방지라는
강원상품권 도입 취지를
제대로 달성했다는 근거도
빈약하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신영재/강원도의원[인터뷰]
"종이상품권으로 유통되는 이 사업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따져본 이후에 전자상품권 도입을 하는 것이 맞다는 것이죠."
이같은 우려로 인해
전자상품권 관련 조례안은
지난번 도의회에서 계류된 상탭니다.
강원도는 이 조례를
이번 회기에 재상정할 방침입니다.
강원도는 상품권 조례안의 도의회 재상정을 앞두고 의회 눈치를 보느라 관련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문영입니다.(끝)
-
-
김문영 기자 mykim@kbs.co.kr
김문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