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지정 효과는
입력 2019.11.12 (22:08)
수정 2019.11.13 (00: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군산과 새만금 산단 일대가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지정됐습니다.
그간 침체된
전북 자동차 산업의
새 전기를 마련할 지
벌써부터 기대가 큽니다.
김진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 위원회에서,
전라북도가 신청한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 계획이
최종 통과됐습니다.
내년부터 4년 동안
군산과 새만금 산업단지,
새만금 방조제 등
42제곱킬로미터 지역에서는
법적인 규제 없이
미래형 자동차 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
타타대우 상용차 등 19개 기업과
건설기계부품 연구원 등 8개 기관의
실증 연구와 신제품 생산에
한층 탄력이 예상됩니다.
[녹취]
여시락/정우정공(주) 전무
규제로 인해서 아예 개발을 보류했던 새로운 제품, 신기술 제품, 친환경 제품의 특장차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그런 추가적인 동기가 부여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액화천연가스,
LNG를 연료로 하는
중대형 상용차와 이동식 충전 사업 등
시장 개척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주행 거리와 관련이 깊은
차량용 LNG용기의 규제가 풀리면서,
이제 상용차는 물론
초소형 특수자동차 생산까지
영역도 넓어졌습니다.
나해수/전라북도 주력산업과장[인터뷰]
이 특구의 목적은 안전성 실증을 통해서 법의 규제를 푸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기업이 시장으로 나가는 데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전라북도는
1조 7천억 원의 경제 효과와
만 2천여 명의 고용 효과를 낼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규제자유특구 지정으로
군산형 일자리 사업과의
동반 상승 효과뿐 아니라,
전라북도가
친환경 자동차 생산 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군산과 새만금 산단 일대가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지정됐습니다.
그간 침체된
전북 자동차 산업의
새 전기를 마련할 지
벌써부터 기대가 큽니다.
김진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 위원회에서,
전라북도가 신청한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 계획이
최종 통과됐습니다.
내년부터 4년 동안
군산과 새만금 산업단지,
새만금 방조제 등
42제곱킬로미터 지역에서는
법적인 규제 없이
미래형 자동차 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
타타대우 상용차 등 19개 기업과
건설기계부품 연구원 등 8개 기관의
실증 연구와 신제품 생산에
한층 탄력이 예상됩니다.
[녹취]
여시락/정우정공(주) 전무
규제로 인해서 아예 개발을 보류했던 새로운 제품, 신기술 제품, 친환경 제품의 특장차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그런 추가적인 동기가 부여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액화천연가스,
LNG를 연료로 하는
중대형 상용차와 이동식 충전 사업 등
시장 개척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주행 거리와 관련이 깊은
차량용 LNG용기의 규제가 풀리면서,
이제 상용차는 물론
초소형 특수자동차 생산까지
영역도 넓어졌습니다.
나해수/전라북도 주력산업과장[인터뷰]
이 특구의 목적은 안전성 실증을 통해서 법의 규제를 푸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기업이 시장으로 나가는 데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전라북도는
1조 7천억 원의 경제 효과와
만 2천여 명의 고용 효과를 낼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규제자유특구 지정으로
군산형 일자리 사업과의
동반 상승 효과뿐 아니라,
전라북도가
친환경 자동차 생산 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지정 효과는
-
- 입력 2019-11-12 22:08:54
- 수정2019-11-13 00:38:51

[앵커멘트]
군산과 새만금 산단 일대가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지정됐습니다.
그간 침체된
전북 자동차 산업의
새 전기를 마련할 지
벌써부터 기대가 큽니다.
김진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 위원회에서,
전라북도가 신청한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 계획이
최종 통과됐습니다.
내년부터 4년 동안
군산과 새만금 산업단지,
새만금 방조제 등
42제곱킬로미터 지역에서는
법적인 규제 없이
미래형 자동차 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
타타대우 상용차 등 19개 기업과
건설기계부품 연구원 등 8개 기관의
실증 연구와 신제품 생산에
한층 탄력이 예상됩니다.
[녹취]
여시락/정우정공(주) 전무
규제로 인해서 아예 개발을 보류했던 새로운 제품, 신기술 제품, 친환경 제품의 특장차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그런 추가적인 동기가 부여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액화천연가스,
LNG를 연료로 하는
중대형 상용차와 이동식 충전 사업 등
시장 개척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주행 거리와 관련이 깊은
차량용 LNG용기의 규제가 풀리면서,
이제 상용차는 물론
초소형 특수자동차 생산까지
영역도 넓어졌습니다.
나해수/전라북도 주력산업과장[인터뷰]
이 특구의 목적은 안전성 실증을 통해서 법의 규제를 푸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기업이 시장으로 나가는 데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전라북도는
1조 7천억 원의 경제 효과와
만 2천여 명의 고용 효과를 낼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규제자유특구 지정으로
군산형 일자리 사업과의
동반 상승 효과뿐 아니라,
전라북도가
친환경 자동차 생산 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
-
김진희 기자 ginitree@kbs.co.kr
김진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