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 전통주 육성, 법률에 발 묶여"

입력 2019.11.12 (17:00) 수정 2019.11.13 (00: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안동 소주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는
지역의 대표 특산품이지만
상당수 업체들이 영세한 처지인데요,
쌀소비 확산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전통주를 육성하고 있지만
정작 법률에 발이 묶여 있습니다.

이하늬 기자가
그 내용을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괌과 사이판에
첫 수출된 안동소주입니다.

외국인의 입맛에 맞게
도수를 낮췄는데, 다음달엔
전통주 최초로
독일 수출도 앞두고 있습니다.

윤종림/[인터뷰]
'명품 안동소주' 대표
"위스키나 럼이나 꼬냑이나 다 증류식 술이에요.(안동소주가 외국인의) 입에 맞아서 많이 나가는 것 같습니다."

이 업체는 지난해, 농식품부로부터
술 제조와 시음 체험을 하는
'찾아가는 양조장'에 선정됐습니다.

전통주 규제 완화에 따라
2년 전엔 인터넷 판매도 허용되면서
매출이 늘고 있습니다.

박찬관/[인터뷰]
'명인 안동소주' 대표
"백화점에 납품했었는데, 지금은 혼술족이라든지 집에서 마시는 추세로 인터넷 판매가 굉장히 늘고 있죠."

농식품부는 지난해,
'전통주 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한 뒤
연구개발, 마케팅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추진중입니다.

하지만 이런 자구 노력과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전통주 제조업체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통주 업체 수는 전체 주류업체의
44%, 그러나, 시장 규모는 0.4%에 불과합니다.

문제는 법률,
연간 판매량의 백 킬로리터까지만
세금 혜택을 주다 보니, 추가 성장에 한계가 있는 겁니다.

정철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양조학 박사)[녹취]
"비싼 (우리)농산물을 써야 되는 의무가 있단 말이에요, 100% 써야 돼요. 원가에서 상당히 우리 전통주 업체가 불리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전체 (전통주)업체가 내는 세금이 50억 정도밖에 안 돼요.세제혜택을 더 준다고 해서 국가의 세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전통의 보전과,
우리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
전통주 산업에 대한
정책과 제도의 일치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쌀 소비 전통주 육성, 법률에 발 묶여"
    • 입력 2019-11-13 00:20:02
    • 수정2019-11-13 00:20:54
    뉴스9(포항)
[앵커멘트] 안동 소주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는 지역의 대표 특산품이지만 상당수 업체들이 영세한 처지인데요, 쌀소비 확산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전통주를 육성하고 있지만 정작 법률에 발이 묶여 있습니다. 이하늬 기자가 그 내용을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괌과 사이판에 첫 수출된 안동소주입니다. 외국인의 입맛에 맞게 도수를 낮췄는데, 다음달엔 전통주 최초로 독일 수출도 앞두고 있습니다. 윤종림/[인터뷰] '명품 안동소주' 대표 "위스키나 럼이나 꼬냑이나 다 증류식 술이에요.(안동소주가 외국인의) 입에 맞아서 많이 나가는 것 같습니다." 이 업체는 지난해, 농식품부로부터 술 제조와 시음 체험을 하는 '찾아가는 양조장'에 선정됐습니다. 전통주 규제 완화에 따라 2년 전엔 인터넷 판매도 허용되면서 매출이 늘고 있습니다. 박찬관/[인터뷰] '명인 안동소주' 대표 "백화점에 납품했었는데, 지금은 혼술족이라든지 집에서 마시는 추세로 인터넷 판매가 굉장히 늘고 있죠." 농식품부는 지난해, '전통주 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한 뒤 연구개발, 마케팅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추진중입니다. 하지만 이런 자구 노력과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전통주 제조업체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통주 업체 수는 전체 주류업체의 44%, 그러나, 시장 규모는 0.4%에 불과합니다. 문제는 법률, 연간 판매량의 백 킬로리터까지만 세금 혜택을 주다 보니, 추가 성장에 한계가 있는 겁니다. 정철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양조학 박사)[녹취] "비싼 (우리)농산물을 써야 되는 의무가 있단 말이에요, 100% 써야 돼요. 원가에서 상당히 우리 전통주 업체가 불리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전체 (전통주)업체가 내는 세금이 50억 정도밖에 안 돼요.세제혜택을 더 준다고 해서 국가의 세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전통의 보전과, 우리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 전통주 산업에 대한 정책과 제도의 일치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포항-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