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 전통주 육성, 법률에 발 묶여"
입력 2019.11.12 (17:00)
수정 2019.11.13 (00: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안동 소주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는
지역의 대표 특산품이지만
상당수 업체들이 영세한 처지인데요,
쌀소비 확산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전통주를 육성하고 있지만
정작 법률에 발이 묶여 있습니다.
이하늬 기자가
그 내용을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괌과 사이판에
첫 수출된 안동소주입니다.
외국인의 입맛에 맞게
도수를 낮췄는데, 다음달엔
전통주 최초로
독일 수출도 앞두고 있습니다.
윤종림/[인터뷰]
'명품 안동소주' 대표
"위스키나 럼이나 꼬냑이나 다 증류식 술이에요.(안동소주가 외국인의) 입에 맞아서 많이 나가는 것 같습니다."
이 업체는 지난해, 농식품부로부터
술 제조와 시음 체험을 하는
'찾아가는 양조장'에 선정됐습니다.
전통주 규제 완화에 따라
2년 전엔 인터넷 판매도 허용되면서
매출이 늘고 있습니다.
박찬관/[인터뷰]
'명인 안동소주' 대표
"백화점에 납품했었는데, 지금은 혼술족이라든지 집에서 마시는 추세로 인터넷 판매가 굉장히 늘고 있죠."
농식품부는 지난해,
'전통주 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한 뒤
연구개발, 마케팅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추진중입니다.
하지만 이런 자구 노력과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전통주 제조업체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통주 업체 수는 전체 주류업체의
44%, 그러나, 시장 규모는 0.4%에 불과합니다.
문제는 법률,
연간 판매량의 백 킬로리터까지만
세금 혜택을 주다 보니, 추가 성장에 한계가 있는 겁니다.
정철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양조학 박사)[녹취]
"비싼 (우리)농산물을 써야 되는 의무가 있단 말이에요, 100% 써야 돼요. 원가에서 상당히 우리 전통주 업체가 불리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전체 (전통주)업체가 내는 세금이 50억 정도밖에 안 돼요.세제혜택을 더 준다고 해서 국가의 세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전통의 보전과,
우리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
전통주 산업에 대한
정책과 제도의 일치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안동 소주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는
지역의 대표 특산품이지만
상당수 업체들이 영세한 처지인데요,
쌀소비 확산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전통주를 육성하고 있지만
정작 법률에 발이 묶여 있습니다.
이하늬 기자가
그 내용을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괌과 사이판에
첫 수출된 안동소주입니다.
외국인의 입맛에 맞게
도수를 낮췄는데, 다음달엔
전통주 최초로
독일 수출도 앞두고 있습니다.
윤종림/[인터뷰]
'명품 안동소주' 대표
"위스키나 럼이나 꼬냑이나 다 증류식 술이에요.(안동소주가 외국인의) 입에 맞아서 많이 나가는 것 같습니다."
이 업체는 지난해, 농식품부로부터
술 제조와 시음 체험을 하는
'찾아가는 양조장'에 선정됐습니다.
전통주 규제 완화에 따라
2년 전엔 인터넷 판매도 허용되면서
매출이 늘고 있습니다.
박찬관/[인터뷰]
'명인 안동소주' 대표
"백화점에 납품했었는데, 지금은 혼술족이라든지 집에서 마시는 추세로 인터넷 판매가 굉장히 늘고 있죠."
농식품부는 지난해,
'전통주 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한 뒤
연구개발, 마케팅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추진중입니다.
하지만 이런 자구 노력과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전통주 제조업체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통주 업체 수는 전체 주류업체의
44%, 그러나, 시장 규모는 0.4%에 불과합니다.
문제는 법률,
연간 판매량의 백 킬로리터까지만
세금 혜택을 주다 보니, 추가 성장에 한계가 있는 겁니다.
정철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양조학 박사)[녹취]
"비싼 (우리)농산물을 써야 되는 의무가 있단 말이에요, 100% 써야 돼요. 원가에서 상당히 우리 전통주 업체가 불리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전체 (전통주)업체가 내는 세금이 50억 정도밖에 안 돼요.세제혜택을 더 준다고 해서 국가의 세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전통의 보전과,
우리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
전통주 산업에 대한
정책과 제도의 일치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쌀 소비 전통주 육성, 법률에 발 묶여"
-
- 입력 2019-11-13 00:20:02
- 수정2019-11-13 00:20:54

[앵커멘트]
안동 소주는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는
지역의 대표 특산품이지만
상당수 업체들이 영세한 처지인데요,
쌀소비 확산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전통주를 육성하고 있지만
정작 법률에 발이 묶여 있습니다.
이하늬 기자가
그 내용을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괌과 사이판에
첫 수출된 안동소주입니다.
외국인의 입맛에 맞게
도수를 낮췄는데, 다음달엔
전통주 최초로
독일 수출도 앞두고 있습니다.
윤종림/[인터뷰]
'명품 안동소주' 대표
"위스키나 럼이나 꼬냑이나 다 증류식 술이에요.(안동소주가 외국인의) 입에 맞아서 많이 나가는 것 같습니다."
이 업체는 지난해, 농식품부로부터
술 제조와 시음 체험을 하는
'찾아가는 양조장'에 선정됐습니다.
전통주 규제 완화에 따라
2년 전엔 인터넷 판매도 허용되면서
매출이 늘고 있습니다.
박찬관/[인터뷰]
'명인 안동소주' 대표
"백화점에 납품했었는데, 지금은 혼술족이라든지 집에서 마시는 추세로 인터넷 판매가 굉장히 늘고 있죠."
농식품부는 지난해,
'전통주 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한 뒤
연구개발, 마케팅 등
다각적인 지원책을 추진중입니다.
하지만 이런 자구 노력과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전통주 제조업체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통주 업체 수는 전체 주류업체의
44%, 그러나, 시장 규모는 0.4%에 불과합니다.
문제는 법률,
연간 판매량의 백 킬로리터까지만
세금 혜택을 주다 보니, 추가 성장에 한계가 있는 겁니다.
정철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양조학 박사)[녹취]
"비싼 (우리)농산물을 써야 되는 의무가 있단 말이에요, 100% 써야 돼요. 원가에서 상당히 우리 전통주 업체가 불리한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전체 (전통주)업체가 내는 세금이 50억 정도밖에 안 돼요.세제혜택을 더 준다고 해서 국가의 세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전통의 보전과,
우리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
전통주 산업에 대한
정책과 제도의 일치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하늬입니다.
-
-
이하늬 기자 hanuy@kbs.co.kr
이하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