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성 역할 편향’ AI가 밝혀냈다
입력 2019.11.14 (21:43)
수정 2019.11.14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양성 평등이 강조되는 요즘, 영화 속 남녀는 어떻게 묘사되고 있을까요.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봤더니, 남성중심적인 시선은 여전했습니다.
송형국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공지능 컴퓨터가 영화의 모든 장면을 고속으로 추적합니다.
출연 비중부터 시시각각 변하는 사람의 감정까지, 수치로 바꿔 계산해냅니다.
["옥외 광고물 관리법 위반이여!"]
["아유 내가 그냥 대단한 법을 어겼나 했네. 죽어야 돼, 내가 그냥."]
카이스트 연구팀이 한국과 미국의 장르별 주요 흥행작 40편을 분석한 결과, '분노'나 '싫다'는 감정은 남성이, 슬프거나 공포, 놀람의 감정은 여성이 더 많이 표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활동적인 이미지를 주는 자동차와 함께 여성이 등장한 장면은 남성 캐릭터의 절반에 불과했지만 주로 집안을 표현할 때 쓰이는 가구와 여성이 함께 등장한 장면은 1.2배 많았습니다.
특히 할리우드 영화 속 여성은 남성 인물의 86% 비중으로 등장한 반면, 한국 영화 속 여성은 36%에 불과했습니다.
[이병주/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예술의 영역인데, 감독의 자유 의지를 제한한다거나 이런 것을 목표로, 윤리적인 잣대를 들이대려고 했다기보다는 영화산업이 더 건강해지고 더 다양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입니다)."]
연구 결과는 미국에서 열린 국제 학회에서 발표돼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강유정/영화평론가/강남대 교수 : "남성중심적이고 폭력적인 세계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겠는데 상업성의 내면이 오히려 굉장히 남성중심적이라는 걸 이번에 결과로 알 수 있고요."]
향후 이같은 분석 기술이 널리 적용되면 인종과 국적 등에 차별 요소가 없는지까지 살피게 됨으로써 문화 다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양성 평등이 강조되는 요즘, 영화 속 남녀는 어떻게 묘사되고 있을까요.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봤더니, 남성중심적인 시선은 여전했습니다.
송형국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공지능 컴퓨터가 영화의 모든 장면을 고속으로 추적합니다.
출연 비중부터 시시각각 변하는 사람의 감정까지, 수치로 바꿔 계산해냅니다.
["옥외 광고물 관리법 위반이여!"]
["아유 내가 그냥 대단한 법을 어겼나 했네. 죽어야 돼, 내가 그냥."]
카이스트 연구팀이 한국과 미국의 장르별 주요 흥행작 40편을 분석한 결과, '분노'나 '싫다'는 감정은 남성이, 슬프거나 공포, 놀람의 감정은 여성이 더 많이 표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활동적인 이미지를 주는 자동차와 함께 여성이 등장한 장면은 남성 캐릭터의 절반에 불과했지만 주로 집안을 표현할 때 쓰이는 가구와 여성이 함께 등장한 장면은 1.2배 많았습니다.
특히 할리우드 영화 속 여성은 남성 인물의 86% 비중으로 등장한 반면, 한국 영화 속 여성은 36%에 불과했습니다.
[이병주/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예술의 영역인데, 감독의 자유 의지를 제한한다거나 이런 것을 목표로, 윤리적인 잣대를 들이대려고 했다기보다는 영화산업이 더 건강해지고 더 다양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입니다)."]
연구 결과는 미국에서 열린 국제 학회에서 발표돼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강유정/영화평론가/강남대 교수 : "남성중심적이고 폭력적인 세계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겠는데 상업성의 내면이 오히려 굉장히 남성중심적이라는 걸 이번에 결과로 알 수 있고요."]
향후 이같은 분석 기술이 널리 적용되면 인종과 국적 등에 차별 요소가 없는지까지 살피게 됨으로써 문화 다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화 속 ‘성 역할 편향’ AI가 밝혀냈다
-
- 입력 2019-11-14 21:47:18
- 수정2019-11-14 22:14:46

[앵커]
양성 평등이 강조되는 요즘, 영화 속 남녀는 어떻게 묘사되고 있을까요.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봤더니, 남성중심적인 시선은 여전했습니다.
송형국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공지능 컴퓨터가 영화의 모든 장면을 고속으로 추적합니다.
출연 비중부터 시시각각 변하는 사람의 감정까지, 수치로 바꿔 계산해냅니다.
["옥외 광고물 관리법 위반이여!"]
["아유 내가 그냥 대단한 법을 어겼나 했네. 죽어야 돼, 내가 그냥."]
카이스트 연구팀이 한국과 미국의 장르별 주요 흥행작 40편을 분석한 결과, '분노'나 '싫다'는 감정은 남성이, 슬프거나 공포, 놀람의 감정은 여성이 더 많이 표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활동적인 이미지를 주는 자동차와 함께 여성이 등장한 장면은 남성 캐릭터의 절반에 불과했지만 주로 집안을 표현할 때 쓰이는 가구와 여성이 함께 등장한 장면은 1.2배 많았습니다.
특히 할리우드 영화 속 여성은 남성 인물의 86% 비중으로 등장한 반면, 한국 영화 속 여성은 36%에 불과했습니다.
[이병주/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예술의 영역인데, 감독의 자유 의지를 제한한다거나 이런 것을 목표로, 윤리적인 잣대를 들이대려고 했다기보다는 영화산업이 더 건강해지고 더 다양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입니다)."]
연구 결과는 미국에서 열린 국제 학회에서 발표돼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강유정/영화평론가/강남대 교수 : "남성중심적이고 폭력적인 세계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겠는데 상업성의 내면이 오히려 굉장히 남성중심적이라는 걸 이번에 결과로 알 수 있고요."]
향후 이같은 분석 기술이 널리 적용되면 인종과 국적 등에 차별 요소가 없는지까지 살피게 됨으로써 문화 다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양성 평등이 강조되는 요즘, 영화 속 남녀는 어떻게 묘사되고 있을까요.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봤더니, 남성중심적인 시선은 여전했습니다.
송형국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공지능 컴퓨터가 영화의 모든 장면을 고속으로 추적합니다.
출연 비중부터 시시각각 변하는 사람의 감정까지, 수치로 바꿔 계산해냅니다.
["옥외 광고물 관리법 위반이여!"]
["아유 내가 그냥 대단한 법을 어겼나 했네. 죽어야 돼, 내가 그냥."]
카이스트 연구팀이 한국과 미국의 장르별 주요 흥행작 40편을 분석한 결과, '분노'나 '싫다'는 감정은 남성이, 슬프거나 공포, 놀람의 감정은 여성이 더 많이 표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활동적인 이미지를 주는 자동차와 함께 여성이 등장한 장면은 남성 캐릭터의 절반에 불과했지만 주로 집안을 표현할 때 쓰이는 가구와 여성이 함께 등장한 장면은 1.2배 많았습니다.
특히 할리우드 영화 속 여성은 남성 인물의 86% 비중으로 등장한 반면, 한국 영화 속 여성은 36%에 불과했습니다.
[이병주/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예술의 영역인데, 감독의 자유 의지를 제한한다거나 이런 것을 목표로, 윤리적인 잣대를 들이대려고 했다기보다는 영화산업이 더 건강해지고 더 다양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입니다)."]
연구 결과는 미국에서 열린 국제 학회에서 발표돼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강유정/영화평론가/강남대 교수 : "남성중심적이고 폭력적인 세계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겠는데 상업성의 내면이 오히려 굉장히 남성중심적이라는 걸 이번에 결과로 알 수 있고요."]
향후 이같은 분석 기술이 널리 적용되면 인종과 국적 등에 차별 요소가 없는지까지 살피게 됨으로써 문화 다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