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조업난에 어민들 '공동 대응'

입력 2019.11.22 (21:52) 수정 2019.11.22 (23: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동해안 북한수역에 넘어온
중국 어선들의
이른바 싹쓸이 조업으로,
오징어 어획량이 급속히 줄고 있죠.

참다 못한 어민들이
생존권을 보장해달라며,
정부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박상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어선들이 줄지어
북한 수역으로 들어갑니다.

북한수역에 도착한 중국 어선들은
촘촘한 그물을 이용해
일명 싹쓸이 조업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 수역을 지나
북한 수역으로 넘어간
중국 어선만 2천 백여 척.

2004년 첫 진출 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은
또 다시 최저치를 갱신했습니다.

2만 2천 톤 넘게 잡히던 오징어가
지난해 2천 6백여 톤으로,
14년 만에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결국 동해안 어민들이
들고 일어났습니다.

수협 조합장과 어업인,
국회의원들이 힘을 합쳐
어민들의 생존권을 보장해달라고
정부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겁니다.

박인봉/속초채낚기협회장[인터뷰]
"오징어가 없어가지고. 정부에서 강력하게 중국 어선을 퇴치를 해주든가 대체 어장을 마련해줘야지 저희들이 살 길이 없습니다. 아니면 저희들은 그냥 그 자리에 죽습니다."

위원회는 먼저,
우리 수역에서 이뤄지는
중국 어선의 약탈적인 불법 조업에 대한
정부의 철저한 단속을 촉구했습니다.

한일어업협정의 장기 표류로
조업 가능한 수역이
줄어든 것도 문제 삼았습니다.

강석호/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녹취]
"중국어선이 우리바다를 마음대로 활보하면서 약탈조업을 자행하여 자원을 고갈시키고, 한일어업협정 장기표류로 인해서 어업인들의 가슴 가슴마다 피멍이 들고."

어민들을 대상으로 한
규제 강화를 중단하고,
동해 수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됐습니다.

이어진 정책토론회에서도
중국 어선으로 인한
피해 현황과 대응 방안 위주로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오늘 창립총회를 가진
대책추진위원회는
이후 서해와 남해지역까지 조직을 확대해,
정부에 대한 공동 대응에
힘을 쏟을 방침입니다.

KBS뉴스, 박상희입니다. (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징어 조업난에 어민들 '공동 대응'
    • 입력 2019-11-22 21:52:17
    • 수정2019-11-22 23:34:15
    뉴스9(강릉)
[앵커멘트] 동해안 북한수역에 넘어온 중국 어선들의 이른바 싹쓸이 조업으로, 오징어 어획량이 급속히 줄고 있죠. 참다 못한 어민들이 생존권을 보장해달라며, 정부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박상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어선들이 줄지어 북한 수역으로 들어갑니다. 북한수역에 도착한 중국 어선들은 촘촘한 그물을 이용해 일명 싹쓸이 조업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 수역을 지나 북한 수역으로 넘어간 중국 어선만 2천 백여 척. 2004년 첫 진출 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은 또 다시 최저치를 갱신했습니다. 2만 2천 톤 넘게 잡히던 오징어가 지난해 2천 6백여 톤으로, 14년 만에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결국 동해안 어민들이 들고 일어났습니다. 수협 조합장과 어업인, 국회의원들이 힘을 합쳐 어민들의 생존권을 보장해달라고 정부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겁니다. 박인봉/속초채낚기협회장[인터뷰] "오징어가 없어가지고. 정부에서 강력하게 중국 어선을 퇴치를 해주든가 대체 어장을 마련해줘야지 저희들이 살 길이 없습니다. 아니면 저희들은 그냥 그 자리에 죽습니다." 위원회는 먼저, 우리 수역에서 이뤄지는 중국 어선의 약탈적인 불법 조업에 대한 정부의 철저한 단속을 촉구했습니다. 한일어업협정의 장기 표류로 조업 가능한 수역이 줄어든 것도 문제 삼았습니다. 강석호/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녹취] "중국어선이 우리바다를 마음대로 활보하면서 약탈조업을 자행하여 자원을 고갈시키고, 한일어업협정 장기표류로 인해서 어업인들의 가슴 가슴마다 피멍이 들고." 어민들을 대상으로 한 규제 강화를 중단하고, 동해 수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됐습니다. 이어진 정책토론회에서도 중국 어선으로 인한 피해 현황과 대응 방안 위주로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오늘 창립총회를 가진 대책추진위원회는 이후 서해와 남해지역까지 조직을 확대해, 정부에 대한 공동 대응에 힘을 쏟을 방침입니다. KBS뉴스, 박상희입니다. (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강릉-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