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북한은] 북한 요리 경연…잉엇국 대결 승자는? 외
입력 2019.11.30 (08:02)
수정 2019.12.02 (14: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 시간입니다.
요즘 북한에서도 각종 요리 대회가 자주 열린다고 합니다.
최근 평양에서 열린 특산물을 주재료로 하는 요리대회를 방송하기도 했는데요.
평양 시내 유명한 식당의 요리사들이 더 맛있는 잉어국을 만들기 위해 경쟁을 펼쳤습니다.
함께 보시죠.
[리포트]
박수 소리와 함께 시작한 제15차 각도 특산 요리 경연 대회.
평양 시내의 특산물 식당 중 양강도의 압록각, 자강도의 강계면옥, 황해북도의 경암각 요리사들이 참가했습니다.
[경연 진행자 : "경연은 지정 요리, 선택 요리 이렇게 두 가지 종목으로 진행되는데 오늘 이 시간에는 잉엇국을 가지고 진행하는 지정 요리 경연을 보시겠습니다."]
관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요리사들이 잉어 손질을 시작합니다.
전문가는 요리사의 손놀림에 맞춰 경기를 중계하는데요.
[전형진/장철구평양상업대학 교수 : "저 동무가 지금 피를 뽑고 있지 않습니까? 잉어의 피를 깨끗이 뽑아야 잉엇국에서 감탕내가 나지 않습니다."]
지정 요리 점수와 특산물로 자유롭게 만드는 선택 요리의 점수를 합산해 순위가 결정됩니다.
심사 기준은 요리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었는가, 재료 본연의 맛을 잘 살렸는가, 알맞은 그릇에 보기 좋게 담았는가 등 여러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김원삼/경연 심사위원 : "국에 된장이나 고추장을 넣지 않고 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맞춤으로 해서 잉어의 고유한 제맛을 살리고 또 국물을 맑고 산뜻하게 뽑은 것이 좋은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경연에선 압록각의 장현숙 요리사가 1등을 차지했다고 합니다.
북한에서는 요리 대회나 품평회 등을 통해 북한 식재료와 요리 수준을 홍보하고 있는데요.
얼마 전에도 미꾸라지 요리 경연 대회와 조개밥 품평회 등 다양한 요리 관련 행사들을 진행했습니다.
물고기 잡이 전투…도루묵을 잡아라!
[앵커]
요즘은 겨울철 별미인 도루묵이 제철이죠.
북한에서는 도루묵을 도루메기라고 부르는데요,
중요한 먹거리이기도 한 이 도루묵 잡이가 북한에서 한창이라고 합니다.
신문과 방송에서도 관련소식을 전하며 어부들을 독려하고 있다는데요.
북한의 물고기 잡이 현장으로 함께 가보시죠.
[리포트]
고기잡이배들이 물살을 가르며 조업에 나섭니다.
바닷속 커다란 그물을 끌어올리자 도루묵들이 쏟아집니다.
[김광명/어부 : "우리에게 있어서 제일 기쁜 때가 언제겠습니까. 이렇게 배 위에 철철 차 넘치는 물고기를 많이 잡았을 때가 아니겠습니까."]
목표 어획량 달성을 위해 밤에도 작업을 멈추지 않습니다.
북한은 물고기 잡이를 ‘전투’, 어부들을 ‘전사’라고 부르며 겨울철 조업을 독려하고 있는데요.
[고경룡/5월27일 수산사업소 지배인 : "고기가 들어와서 악을 쓰고 나가는 것은 따라가 잡고 들어오는 것은 마주 가서 잡고 있습니다."]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더 많다고 자랑스럽게 말합니다.
[고경룡/5월27일 수산사업소 지배인 : "현재까지 8900여 톤의 고기를 잡았는데, 지난 시기 비해서는 우리 사업소는 1.3배의 물고기를 더 잡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수산사업소 마당에 가득 쌓여있는 도루묵들.
사업소에선 잡은 물고기를 세척한 뒤 건조하거나 냉동하여 저장고에 보관합니다.
이번에 공개된 통천 물고기 가공사업소에선 스위스제 기계를 도입한 자동화 공정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오명남/통천물고기가공사업소 소장 : "하루에만 해도 수백 톤 능력의 급동능력과 수천 톤의 냉동저장능력을 갖추고 가공 처리가 현대화된 우리 사업소입니다."]
조선중앙TV는 축하 방송까지 하며 어로 전투 성과를 집중 보도했는데요.
북한은 올해 태풍과 가뭄 등의 자연재해로 농작물 수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겨울철 어로 전투에 더욱 힘쓰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 시간입니다.
요즘 북한에서도 각종 요리 대회가 자주 열린다고 합니다.
최근 평양에서 열린 특산물을 주재료로 하는 요리대회를 방송하기도 했는데요.
평양 시내 유명한 식당의 요리사들이 더 맛있는 잉어국을 만들기 위해 경쟁을 펼쳤습니다.
함께 보시죠.
[리포트]
박수 소리와 함께 시작한 제15차 각도 특산 요리 경연 대회.
평양 시내의 특산물 식당 중 양강도의 압록각, 자강도의 강계면옥, 황해북도의 경암각 요리사들이 참가했습니다.
[경연 진행자 : "경연은 지정 요리, 선택 요리 이렇게 두 가지 종목으로 진행되는데 오늘 이 시간에는 잉엇국을 가지고 진행하는 지정 요리 경연을 보시겠습니다."]
관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요리사들이 잉어 손질을 시작합니다.
전문가는 요리사의 손놀림에 맞춰 경기를 중계하는데요.
[전형진/장철구평양상업대학 교수 : "저 동무가 지금 피를 뽑고 있지 않습니까? 잉어의 피를 깨끗이 뽑아야 잉엇국에서 감탕내가 나지 않습니다."]
지정 요리 점수와 특산물로 자유롭게 만드는 선택 요리의 점수를 합산해 순위가 결정됩니다.
심사 기준은 요리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었는가, 재료 본연의 맛을 잘 살렸는가, 알맞은 그릇에 보기 좋게 담았는가 등 여러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김원삼/경연 심사위원 : "국에 된장이나 고추장을 넣지 않고 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맞춤으로 해서 잉어의 고유한 제맛을 살리고 또 국물을 맑고 산뜻하게 뽑은 것이 좋은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경연에선 압록각의 장현숙 요리사가 1등을 차지했다고 합니다.
북한에서는 요리 대회나 품평회 등을 통해 북한 식재료와 요리 수준을 홍보하고 있는데요.
얼마 전에도 미꾸라지 요리 경연 대회와 조개밥 품평회 등 다양한 요리 관련 행사들을 진행했습니다.
물고기 잡이 전투…도루묵을 잡아라!
[앵커]
요즘은 겨울철 별미인 도루묵이 제철이죠.
북한에서는 도루묵을 도루메기라고 부르는데요,
중요한 먹거리이기도 한 이 도루묵 잡이가 북한에서 한창이라고 합니다.
신문과 방송에서도 관련소식을 전하며 어부들을 독려하고 있다는데요.
북한의 물고기 잡이 현장으로 함께 가보시죠.
[리포트]
고기잡이배들이 물살을 가르며 조업에 나섭니다.
바닷속 커다란 그물을 끌어올리자 도루묵들이 쏟아집니다.
[김광명/어부 : "우리에게 있어서 제일 기쁜 때가 언제겠습니까. 이렇게 배 위에 철철 차 넘치는 물고기를 많이 잡았을 때가 아니겠습니까."]
목표 어획량 달성을 위해 밤에도 작업을 멈추지 않습니다.
북한은 물고기 잡이를 ‘전투’, 어부들을 ‘전사’라고 부르며 겨울철 조업을 독려하고 있는데요.
[고경룡/5월27일 수산사업소 지배인 : "고기가 들어와서 악을 쓰고 나가는 것은 따라가 잡고 들어오는 것은 마주 가서 잡고 있습니다."]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더 많다고 자랑스럽게 말합니다.
[고경룡/5월27일 수산사업소 지배인 : "현재까지 8900여 톤의 고기를 잡았는데, 지난 시기 비해서는 우리 사업소는 1.3배의 물고기를 더 잡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수산사업소 마당에 가득 쌓여있는 도루묵들.
사업소에선 잡은 물고기를 세척한 뒤 건조하거나 냉동하여 저장고에 보관합니다.
이번에 공개된 통천 물고기 가공사업소에선 스위스제 기계를 도입한 자동화 공정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오명남/통천물고기가공사업소 소장 : "하루에만 해도 수백 톤 능력의 급동능력과 수천 톤의 냉동저장능력을 갖추고 가공 처리가 현대화된 우리 사업소입니다."]
조선중앙TV는 축하 방송까지 하며 어로 전투 성과를 집중 보도했는데요.
북한은 올해 태풍과 가뭄 등의 자연재해로 농작물 수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겨울철 어로 전투에 더욱 힘쓰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요즘 북한은] 북한 요리 경연…잉엇국 대결 승자는? 외
-
- 입력 2019-11-30 08:24:39
- 수정2019-12-02 14:04:39

[앵커]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 시간입니다.
요즘 북한에서도 각종 요리 대회가 자주 열린다고 합니다.
최근 평양에서 열린 특산물을 주재료로 하는 요리대회를 방송하기도 했는데요.
평양 시내 유명한 식당의 요리사들이 더 맛있는 잉어국을 만들기 위해 경쟁을 펼쳤습니다.
함께 보시죠.
[리포트]
박수 소리와 함께 시작한 제15차 각도 특산 요리 경연 대회.
평양 시내의 특산물 식당 중 양강도의 압록각, 자강도의 강계면옥, 황해북도의 경암각 요리사들이 참가했습니다.
[경연 진행자 : "경연은 지정 요리, 선택 요리 이렇게 두 가지 종목으로 진행되는데 오늘 이 시간에는 잉엇국을 가지고 진행하는 지정 요리 경연을 보시겠습니다."]
관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요리사들이 잉어 손질을 시작합니다.
전문가는 요리사의 손놀림에 맞춰 경기를 중계하는데요.
[전형진/장철구평양상업대학 교수 : "저 동무가 지금 피를 뽑고 있지 않습니까? 잉어의 피를 깨끗이 뽑아야 잉엇국에서 감탕내가 나지 않습니다."]
지정 요리 점수와 특산물로 자유롭게 만드는 선택 요리의 점수를 합산해 순위가 결정됩니다.
심사 기준은 요리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었는가, 재료 본연의 맛을 잘 살렸는가, 알맞은 그릇에 보기 좋게 담았는가 등 여러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김원삼/경연 심사위원 : "국에 된장이나 고추장을 넣지 않고 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맞춤으로 해서 잉어의 고유한 제맛을 살리고 또 국물을 맑고 산뜻하게 뽑은 것이 좋은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경연에선 압록각의 장현숙 요리사가 1등을 차지했다고 합니다.
북한에서는 요리 대회나 품평회 등을 통해 북한 식재료와 요리 수준을 홍보하고 있는데요.
얼마 전에도 미꾸라지 요리 경연 대회와 조개밥 품평회 등 다양한 요리 관련 행사들을 진행했습니다.
물고기 잡이 전투…도루묵을 잡아라!
[앵커]
요즘은 겨울철 별미인 도루묵이 제철이죠.
북한에서는 도루묵을 도루메기라고 부르는데요,
중요한 먹거리이기도 한 이 도루묵 잡이가 북한에서 한창이라고 합니다.
신문과 방송에서도 관련소식을 전하며 어부들을 독려하고 있다는데요.
북한의 물고기 잡이 현장으로 함께 가보시죠.
[리포트]
고기잡이배들이 물살을 가르며 조업에 나섭니다.
바닷속 커다란 그물을 끌어올리자 도루묵들이 쏟아집니다.
[김광명/어부 : "우리에게 있어서 제일 기쁜 때가 언제겠습니까. 이렇게 배 위에 철철 차 넘치는 물고기를 많이 잡았을 때가 아니겠습니까."]
목표 어획량 달성을 위해 밤에도 작업을 멈추지 않습니다.
북한은 물고기 잡이를 ‘전투’, 어부들을 ‘전사’라고 부르며 겨울철 조업을 독려하고 있는데요.
[고경룡/5월27일 수산사업소 지배인 : "고기가 들어와서 악을 쓰고 나가는 것은 따라가 잡고 들어오는 것은 마주 가서 잡고 있습니다."]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더 많다고 자랑스럽게 말합니다.
[고경룡/5월27일 수산사업소 지배인 : "현재까지 8900여 톤의 고기를 잡았는데, 지난 시기 비해서는 우리 사업소는 1.3배의 물고기를 더 잡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수산사업소 마당에 가득 쌓여있는 도루묵들.
사업소에선 잡은 물고기를 세척한 뒤 건조하거나 냉동하여 저장고에 보관합니다.
이번에 공개된 통천 물고기 가공사업소에선 스위스제 기계를 도입한 자동화 공정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오명남/통천물고기가공사업소 소장 : "하루에만 해도 수백 톤 능력의 급동능력과 수천 톤의 냉동저장능력을 갖추고 가공 처리가 현대화된 우리 사업소입니다."]
조선중앙TV는 축하 방송까지 하며 어로 전투 성과를 집중 보도했는데요.
북한은 올해 태풍과 가뭄 등의 자연재해로 농작물 수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겨울철 어로 전투에 더욱 힘쓰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 시간입니다.
요즘 북한에서도 각종 요리 대회가 자주 열린다고 합니다.
최근 평양에서 열린 특산물을 주재료로 하는 요리대회를 방송하기도 했는데요.
평양 시내 유명한 식당의 요리사들이 더 맛있는 잉어국을 만들기 위해 경쟁을 펼쳤습니다.
함께 보시죠.
[리포트]
박수 소리와 함께 시작한 제15차 각도 특산 요리 경연 대회.
평양 시내의 특산물 식당 중 양강도의 압록각, 자강도의 강계면옥, 황해북도의 경암각 요리사들이 참가했습니다.
[경연 진행자 : "경연은 지정 요리, 선택 요리 이렇게 두 가지 종목으로 진행되는데 오늘 이 시간에는 잉엇국을 가지고 진행하는 지정 요리 경연을 보시겠습니다."]
관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요리사들이 잉어 손질을 시작합니다.
전문가는 요리사의 손놀림에 맞춰 경기를 중계하는데요.
[전형진/장철구평양상업대학 교수 : "저 동무가 지금 피를 뽑고 있지 않습니까? 잉어의 피를 깨끗이 뽑아야 잉엇국에서 감탕내가 나지 않습니다."]
지정 요리 점수와 특산물로 자유롭게 만드는 선택 요리의 점수를 합산해 순위가 결정됩니다.
심사 기준은 요리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었는가, 재료 본연의 맛을 잘 살렸는가, 알맞은 그릇에 보기 좋게 담았는가 등 여러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김원삼/경연 심사위원 : "국에 된장이나 고추장을 넣지 않고 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맞춤으로 해서 잉어의 고유한 제맛을 살리고 또 국물을 맑고 산뜻하게 뽑은 것이 좋은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경연에선 압록각의 장현숙 요리사가 1등을 차지했다고 합니다.
북한에서는 요리 대회나 품평회 등을 통해 북한 식재료와 요리 수준을 홍보하고 있는데요.
얼마 전에도 미꾸라지 요리 경연 대회와 조개밥 품평회 등 다양한 요리 관련 행사들을 진행했습니다.
물고기 잡이 전투…도루묵을 잡아라!
[앵커]
요즘은 겨울철 별미인 도루묵이 제철이죠.
북한에서는 도루묵을 도루메기라고 부르는데요,
중요한 먹거리이기도 한 이 도루묵 잡이가 북한에서 한창이라고 합니다.
신문과 방송에서도 관련소식을 전하며 어부들을 독려하고 있다는데요.
북한의 물고기 잡이 현장으로 함께 가보시죠.
[리포트]
고기잡이배들이 물살을 가르며 조업에 나섭니다.
바닷속 커다란 그물을 끌어올리자 도루묵들이 쏟아집니다.
[김광명/어부 : "우리에게 있어서 제일 기쁜 때가 언제겠습니까. 이렇게 배 위에 철철 차 넘치는 물고기를 많이 잡았을 때가 아니겠습니까."]
목표 어획량 달성을 위해 밤에도 작업을 멈추지 않습니다.
북한은 물고기 잡이를 ‘전투’, 어부들을 ‘전사’라고 부르며 겨울철 조업을 독려하고 있는데요.
[고경룡/5월27일 수산사업소 지배인 : "고기가 들어와서 악을 쓰고 나가는 것은 따라가 잡고 들어오는 것은 마주 가서 잡고 있습니다."]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더 많다고 자랑스럽게 말합니다.
[고경룡/5월27일 수산사업소 지배인 : "현재까지 8900여 톤의 고기를 잡았는데, 지난 시기 비해서는 우리 사업소는 1.3배의 물고기를 더 잡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수산사업소 마당에 가득 쌓여있는 도루묵들.
사업소에선 잡은 물고기를 세척한 뒤 건조하거나 냉동하여 저장고에 보관합니다.
이번에 공개된 통천 물고기 가공사업소에선 스위스제 기계를 도입한 자동화 공정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오명남/통천물고기가공사업소 소장 : "하루에만 해도 수백 톤 능력의 급동능력과 수천 톤의 냉동저장능력을 갖추고 가공 처리가 현대화된 우리 사업소입니다."]
조선중앙TV는 축하 방송까지 하며 어로 전투 성과를 집중 보도했는데요.
북한은 올해 태풍과 가뭄 등의 자연재해로 농작물 수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겨울철 어로 전투에 더욱 힘쓰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