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캐리 람 책임론…시진핑 ‘중국몽’ 흔들
입력 2019.11.30 (21:40)
수정 2019.11.30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6개월간 계속되고 있는 홍콩 민주화 시위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함에 따라 그동안 행정장관 선거의 들러리에 불과했던 범민주 진영이 킹 메이커로 부상했습니다.
반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최대 위기를 맞았고,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 구상도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보도본부 국제부 연결합니다.
남종혁 기자!
[리포트]
네, 송환법으로 촉발된 홍콩 시위는 6개월간 계속됐고, 그 와중에 구의원 선거가 치러졌습니다.
양산과 모자를 쓴 홍콩 시민들의 행렬이 보시는 것처럼 끝없이 이어졌습니다.
장년층은 물론이고, 청년층도 투표소로 달려간 겁니다.
이들은 어떤 마음으로 투표에 참여했을까요?
[안젤라/홍콩 시민 : "혹시 오후에 투표소를 닫는 일이 발생할까봐 일찍 투표하러 나왔어요. 올해 투표하러 오는 사람이 많아진 것 같아요."]
[매튜/홍콩 시민 : "지난 6개월 동안 많은 일이 있었어요. 투표는 그 동안의 폭력을 끝내기 위한 유일한 방법입니다."]
선거 결과는 범민주 진영의 압승입니다.
전체 452석의 86%인 388석이 범민주 진영에게 돌아갔습니다.
[아담/홍콩 시민 : "홍콩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과 시민들의 뜻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친중 진영은 13%에 불과한 60석을 지키는 데 그쳤습니다.
'백색테러'를 두둔했던 친중 후보는 낙선했지만, 홍콩 시위를 주도했던 시민단체 대표는 당선됐습니다.
민주화 시위에 대해 강경 대응으로 일관했던 홍콩 당국을 심판했다는 평갑니다.
[지미 샴/민권인권전선 대표/구의원 당선자 : "우리는 젊은이들의 희생을 잊지 않을 겁니다. 그들을 구출해 낼 겁니다."]
이로써 행정장관 선거인단 1200명 중 구 의원에 할당된 117명을 범민주 진영에서 독차지하게 됐습니다.
범민주 진영은 기존의 325명을 합해 선거인단 442명을 확보한 겁니다.
들러리에 불과했던 범민주 진영이 킹 메이커를 넘어, 행정장관 도전도 가능하게 됐다는 분석까지 나옵니다.
[레슬리 챈 카롱/범민주 진영 구의원 당선자 : "우리는 홍콩 정부에게 정치적 압력을 주기 위해 이곳에 왔습니다. 사실 그 득표수는 이미 홍콩 시민들의 뜻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친중 진영이 궤멸 수준으로 참패함에 따라 캐리 람 행정 장관은 책임론까지 거론되는 등 코너로 더욱 내몰리게 됐습니다.
행정장관 직선제 요구도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캐리 람 장관은 기존의 원칙 대응 입장을 되풀이 했습니다.
[캐리 람/홍콩 행정장관 : "(최근 6개월간) 홍콩 시민들은 홍콩이 더 이상 혼란한 상황을 견딜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깨달았습니다."]
중국 정부도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일국양제, 즉 '한 국가 두 체제'를 내세워 타이완 통일까지 꿈꿨지만, 홍콩 변수가 커지면서 물거품이 될 수 있는 상황으로 바뀐 겁니다.
중국 정부는 신장 등 다른 자치구로의 확산까지 우려하면서, 사전 차단하는 분위깁니다.
[겅솽/중국 외교부 대변인 : "일국양제는 흔들림이 없을 것입니다. 중국 정부는 홍콩 문제에 대해 어떤 외세의 간섭도 반대합니다."]
시위대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졌던 홍콩 이공대앞.
선거가 끝난 뒤 시위대와 경찰이 다시 마주했지만, 전쟁터 같은 상황은 사라졌습니다.
구의원 선거의 당선자들도 중재를 자처했습니다.
[입 킨유엔/구의원 당선자 : "경찰들이 학교를 떠나고 대학 측에서 상황을 관리하는 게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입니다."]
홍콩 경찰도 무조건 체포 방침에서 한발짝 물러섰습니다.
대학 안에 남아있는 시위자의 경우도 먼저 의료 진단과 치료를 받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호 윤싱/홍콩 야침지구 경찰서장 : "학교 안에 남아있는 시위대에게 평화롭고 질서 있게 나올 것을 다시한번 호소합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에 서명하고 중국이 강력 반발하면서,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홍콩 사태가 큰 고비를 넘긴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폭력 시위 대신 제도권 내 투쟁으로 전환해, 내년 9월로 예정된 입법회 선거를 대비한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지금까지 핫이슈였습니다.
6개월간 계속되고 있는 홍콩 민주화 시위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함에 따라 그동안 행정장관 선거의 들러리에 불과했던 범민주 진영이 킹 메이커로 부상했습니다.
반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최대 위기를 맞았고,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 구상도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보도본부 국제부 연결합니다.
남종혁 기자!
[리포트]
네, 송환법으로 촉발된 홍콩 시위는 6개월간 계속됐고, 그 와중에 구의원 선거가 치러졌습니다.
양산과 모자를 쓴 홍콩 시민들의 행렬이 보시는 것처럼 끝없이 이어졌습니다.
장년층은 물론이고, 청년층도 투표소로 달려간 겁니다.
이들은 어떤 마음으로 투표에 참여했을까요?
[안젤라/홍콩 시민 : "혹시 오후에 투표소를 닫는 일이 발생할까봐 일찍 투표하러 나왔어요. 올해 투표하러 오는 사람이 많아진 것 같아요."]
[매튜/홍콩 시민 : "지난 6개월 동안 많은 일이 있었어요. 투표는 그 동안의 폭력을 끝내기 위한 유일한 방법입니다."]
선거 결과는 범민주 진영의 압승입니다.
전체 452석의 86%인 388석이 범민주 진영에게 돌아갔습니다.
[아담/홍콩 시민 : "홍콩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과 시민들의 뜻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친중 진영은 13%에 불과한 60석을 지키는 데 그쳤습니다.
'백색테러'를 두둔했던 친중 후보는 낙선했지만, 홍콩 시위를 주도했던 시민단체 대표는 당선됐습니다.
민주화 시위에 대해 강경 대응으로 일관했던 홍콩 당국을 심판했다는 평갑니다.
[지미 샴/민권인권전선 대표/구의원 당선자 : "우리는 젊은이들의 희생을 잊지 않을 겁니다. 그들을 구출해 낼 겁니다."]
이로써 행정장관 선거인단 1200명 중 구 의원에 할당된 117명을 범민주 진영에서 독차지하게 됐습니다.
범민주 진영은 기존의 325명을 합해 선거인단 442명을 확보한 겁니다.
들러리에 불과했던 범민주 진영이 킹 메이커를 넘어, 행정장관 도전도 가능하게 됐다는 분석까지 나옵니다.
[레슬리 챈 카롱/범민주 진영 구의원 당선자 : "우리는 홍콩 정부에게 정치적 압력을 주기 위해 이곳에 왔습니다. 사실 그 득표수는 이미 홍콩 시민들의 뜻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친중 진영이 궤멸 수준으로 참패함에 따라 캐리 람 행정 장관은 책임론까지 거론되는 등 코너로 더욱 내몰리게 됐습니다.
행정장관 직선제 요구도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캐리 람 장관은 기존의 원칙 대응 입장을 되풀이 했습니다.
[캐리 람/홍콩 행정장관 : "(최근 6개월간) 홍콩 시민들은 홍콩이 더 이상 혼란한 상황을 견딜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깨달았습니다."]
중국 정부도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일국양제, 즉 '한 국가 두 체제'를 내세워 타이완 통일까지 꿈꿨지만, 홍콩 변수가 커지면서 물거품이 될 수 있는 상황으로 바뀐 겁니다.
중국 정부는 신장 등 다른 자치구로의 확산까지 우려하면서, 사전 차단하는 분위깁니다.
[겅솽/중국 외교부 대변인 : "일국양제는 흔들림이 없을 것입니다. 중국 정부는 홍콩 문제에 대해 어떤 외세의 간섭도 반대합니다."]
시위대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졌던 홍콩 이공대앞.
선거가 끝난 뒤 시위대와 경찰이 다시 마주했지만, 전쟁터 같은 상황은 사라졌습니다.
구의원 선거의 당선자들도 중재를 자처했습니다.
[입 킨유엔/구의원 당선자 : "경찰들이 학교를 떠나고 대학 측에서 상황을 관리하는 게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입니다."]
홍콩 경찰도 무조건 체포 방침에서 한발짝 물러섰습니다.
대학 안에 남아있는 시위자의 경우도 먼저 의료 진단과 치료를 받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호 윤싱/홍콩 야침지구 경찰서장 : "학교 안에 남아있는 시위대에게 평화롭고 질서 있게 나올 것을 다시한번 호소합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에 서명하고 중국이 강력 반발하면서,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홍콩 사태가 큰 고비를 넘긴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폭력 시위 대신 제도권 내 투쟁으로 전환해, 내년 9월로 예정된 입법회 선거를 대비한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지금까지 핫이슈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핫이슈] 캐리 람 책임론…시진핑 ‘중국몽’ 흔들
-
- 입력 2019-11-30 22:08:14
- 수정2019-11-30 22:30:51

[앵커]
6개월간 계속되고 있는 홍콩 민주화 시위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함에 따라 그동안 행정장관 선거의 들러리에 불과했던 범민주 진영이 킹 메이커로 부상했습니다.
반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최대 위기를 맞았고,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 구상도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보도본부 국제부 연결합니다.
남종혁 기자!
[리포트]
네, 송환법으로 촉발된 홍콩 시위는 6개월간 계속됐고, 그 와중에 구의원 선거가 치러졌습니다.
양산과 모자를 쓴 홍콩 시민들의 행렬이 보시는 것처럼 끝없이 이어졌습니다.
장년층은 물론이고, 청년층도 투표소로 달려간 겁니다.
이들은 어떤 마음으로 투표에 참여했을까요?
[안젤라/홍콩 시민 : "혹시 오후에 투표소를 닫는 일이 발생할까봐 일찍 투표하러 나왔어요. 올해 투표하러 오는 사람이 많아진 것 같아요."]
[매튜/홍콩 시민 : "지난 6개월 동안 많은 일이 있었어요. 투표는 그 동안의 폭력을 끝내기 위한 유일한 방법입니다."]
선거 결과는 범민주 진영의 압승입니다.
전체 452석의 86%인 388석이 범민주 진영에게 돌아갔습니다.
[아담/홍콩 시민 : "홍콩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과 시민들의 뜻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친중 진영은 13%에 불과한 60석을 지키는 데 그쳤습니다.
'백색테러'를 두둔했던 친중 후보는 낙선했지만, 홍콩 시위를 주도했던 시민단체 대표는 당선됐습니다.
민주화 시위에 대해 강경 대응으로 일관했던 홍콩 당국을 심판했다는 평갑니다.
[지미 샴/민권인권전선 대표/구의원 당선자 : "우리는 젊은이들의 희생을 잊지 않을 겁니다. 그들을 구출해 낼 겁니다."]
이로써 행정장관 선거인단 1200명 중 구 의원에 할당된 117명을 범민주 진영에서 독차지하게 됐습니다.
범민주 진영은 기존의 325명을 합해 선거인단 442명을 확보한 겁니다.
들러리에 불과했던 범민주 진영이 킹 메이커를 넘어, 행정장관 도전도 가능하게 됐다는 분석까지 나옵니다.
[레슬리 챈 카롱/범민주 진영 구의원 당선자 : "우리는 홍콩 정부에게 정치적 압력을 주기 위해 이곳에 왔습니다. 사실 그 득표수는 이미 홍콩 시민들의 뜻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친중 진영이 궤멸 수준으로 참패함에 따라 캐리 람 행정 장관은 책임론까지 거론되는 등 코너로 더욱 내몰리게 됐습니다.
행정장관 직선제 요구도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캐리 람 장관은 기존의 원칙 대응 입장을 되풀이 했습니다.
[캐리 람/홍콩 행정장관 : "(최근 6개월간) 홍콩 시민들은 홍콩이 더 이상 혼란한 상황을 견딜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깨달았습니다."]
중국 정부도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일국양제, 즉 '한 국가 두 체제'를 내세워 타이완 통일까지 꿈꿨지만, 홍콩 변수가 커지면서 물거품이 될 수 있는 상황으로 바뀐 겁니다.
중국 정부는 신장 등 다른 자치구로의 확산까지 우려하면서, 사전 차단하는 분위깁니다.
[겅솽/중국 외교부 대변인 : "일국양제는 흔들림이 없을 것입니다. 중국 정부는 홍콩 문제에 대해 어떤 외세의 간섭도 반대합니다."]
시위대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졌던 홍콩 이공대앞.
선거가 끝난 뒤 시위대와 경찰이 다시 마주했지만, 전쟁터 같은 상황은 사라졌습니다.
구의원 선거의 당선자들도 중재를 자처했습니다.
[입 킨유엔/구의원 당선자 : "경찰들이 학교를 떠나고 대학 측에서 상황을 관리하는 게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입니다."]
홍콩 경찰도 무조건 체포 방침에서 한발짝 물러섰습니다.
대학 안에 남아있는 시위자의 경우도 먼저 의료 진단과 치료를 받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호 윤싱/홍콩 야침지구 경찰서장 : "학교 안에 남아있는 시위대에게 평화롭고 질서 있게 나올 것을 다시한번 호소합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에 서명하고 중국이 강력 반발하면서,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홍콩 사태가 큰 고비를 넘긴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폭력 시위 대신 제도권 내 투쟁으로 전환해, 내년 9월로 예정된 입법회 선거를 대비한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지금까지 핫이슈였습니다.
6개월간 계속되고 있는 홍콩 민주화 시위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함에 따라 그동안 행정장관 선거의 들러리에 불과했던 범민주 진영이 킹 메이커로 부상했습니다.
반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최대 위기를 맞았고,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 구상도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보도본부 국제부 연결합니다.
남종혁 기자!
[리포트]
네, 송환법으로 촉발된 홍콩 시위는 6개월간 계속됐고, 그 와중에 구의원 선거가 치러졌습니다.
양산과 모자를 쓴 홍콩 시민들의 행렬이 보시는 것처럼 끝없이 이어졌습니다.
장년층은 물론이고, 청년층도 투표소로 달려간 겁니다.
이들은 어떤 마음으로 투표에 참여했을까요?
[안젤라/홍콩 시민 : "혹시 오후에 투표소를 닫는 일이 발생할까봐 일찍 투표하러 나왔어요. 올해 투표하러 오는 사람이 많아진 것 같아요."]
[매튜/홍콩 시민 : "지난 6개월 동안 많은 일이 있었어요. 투표는 그 동안의 폭력을 끝내기 위한 유일한 방법입니다."]
선거 결과는 범민주 진영의 압승입니다.
전체 452석의 86%인 388석이 범민주 진영에게 돌아갔습니다.
[아담/홍콩 시민 : "홍콩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과 시민들의 뜻을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친중 진영은 13%에 불과한 60석을 지키는 데 그쳤습니다.
'백색테러'를 두둔했던 친중 후보는 낙선했지만, 홍콩 시위를 주도했던 시민단체 대표는 당선됐습니다.
민주화 시위에 대해 강경 대응으로 일관했던 홍콩 당국을 심판했다는 평갑니다.
[지미 샴/민권인권전선 대표/구의원 당선자 : "우리는 젊은이들의 희생을 잊지 않을 겁니다. 그들을 구출해 낼 겁니다."]
이로써 행정장관 선거인단 1200명 중 구 의원에 할당된 117명을 범민주 진영에서 독차지하게 됐습니다.
범민주 진영은 기존의 325명을 합해 선거인단 442명을 확보한 겁니다.
들러리에 불과했던 범민주 진영이 킹 메이커를 넘어, 행정장관 도전도 가능하게 됐다는 분석까지 나옵니다.
[레슬리 챈 카롱/범민주 진영 구의원 당선자 : "우리는 홍콩 정부에게 정치적 압력을 주기 위해 이곳에 왔습니다. 사실 그 득표수는 이미 홍콩 시민들의 뜻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친중 진영이 궤멸 수준으로 참패함에 따라 캐리 람 행정 장관은 책임론까지 거론되는 등 코너로 더욱 내몰리게 됐습니다.
행정장관 직선제 요구도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캐리 람 장관은 기존의 원칙 대응 입장을 되풀이 했습니다.
[캐리 람/홍콩 행정장관 : "(최근 6개월간) 홍콩 시민들은 홍콩이 더 이상 혼란한 상황을 견딜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깨달았습니다."]
중국 정부도 시진핑 국가주석의 '중국몽'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일국양제, 즉 '한 국가 두 체제'를 내세워 타이완 통일까지 꿈꿨지만, 홍콩 변수가 커지면서 물거품이 될 수 있는 상황으로 바뀐 겁니다.
중국 정부는 신장 등 다른 자치구로의 확산까지 우려하면서, 사전 차단하는 분위깁니다.
[겅솽/중국 외교부 대변인 : "일국양제는 흔들림이 없을 것입니다. 중국 정부는 홍콩 문제에 대해 어떤 외세의 간섭도 반대합니다."]
시위대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졌던 홍콩 이공대앞.
선거가 끝난 뒤 시위대와 경찰이 다시 마주했지만, 전쟁터 같은 상황은 사라졌습니다.
구의원 선거의 당선자들도 중재를 자처했습니다.
[입 킨유엔/구의원 당선자 : "경찰들이 학교를 떠나고 대학 측에서 상황을 관리하는 게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입니다."]
홍콩 경찰도 무조건 체포 방침에서 한발짝 물러섰습니다.
대학 안에 남아있는 시위자의 경우도 먼저 의료 진단과 치료를 받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호 윤싱/홍콩 야침지구 경찰서장 : "학교 안에 남아있는 시위대에게 평화롭고 질서 있게 나올 것을 다시한번 호소합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에 서명하고 중국이 강력 반발하면서,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홍콩 사태가 큰 고비를 넘긴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폭력 시위 대신 제도권 내 투쟁으로 전환해, 내년 9월로 예정된 입법회 선거를 대비한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지금까지 핫이슈였습니다.
-
-
남종혁 기자 namjh@kbs.co.kr
남종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홍콩 시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