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백년가게 "장인정신 지킨다"
입력 2019.11.30 (23:18)
수정 2019.11.30 (23: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정부가
백년 이상 된 우수 소상공인들을
육성하기 위해 이른바 '백년 가게'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많은 점포들이
생겼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가운데
장인 정신을 지키고 있는
이들을 박영하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남구 도로변에
자리한 삼계탕 가게,
지난 1989년 4월 문을 연 뒤
30년이 넘었습니다.
산지에서 직접 받은 재료와
12가지 한약재를 섞는 조리 비법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부모님의 일손을 돕던
딸과 사위는 십여년 전부터
가업을 물려 받았습니다.
[인터뷰]
송동익/'00 삼계탕' 운영
"그때와 지금 맛이 변함없이 꾸준하다는
말씀을 해 주시고, 매일 하니까 언제나
와도 원할 때 오시면 삼계탕을 드실 수
있다는 말씀을 해 주실 때 보람됨을 느끼고 있습니다."
남구 야음시장에 위치한
이 식육점도 1989년 부터
30년 이상 영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질좋은 한우와 돼지고기를
직접 발골한 뒤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고 있어 고객들의 평이 좋습니다.
[인터뷰]
서범식/최복숙 ('서창 식육점' 운영)
"고기를 섞어 판다든지, 수입 고기를 속여 판다든지..우리는 그런 거 생각을 안 해 봤습니다. 또 열심히 하다보니까 소비자들도 그런 걸 아시고 찾아주시니까 자신감도 생기고..."
이 점포들은
울산중소벤처기업청으로부터
올해 '백년 가게'에 선정됐습니다.
'백년 가게'는
백년 이상 존속할 수 있는 우수 소상공인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해 도입한
제돕니다.
선정된 업체는
맞춤형 컨설팅과 보증*금리 우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백년가게는
30년 이상 영업을 해온 음식점 또는 도*소매업 가운데 연매출 10억 이하인 곳이 대상이며, 평가를 통해 선정됩니다.
일본에는
백년 넘는 전통기업이
3만 3천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울산의 '백년가게'는 현재 4곳,
전국적으로도 210곳에 불과합니다.
[녹취]
윤석철/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울산센터장
"재개발되면서 기존에 있던 가게들이 이전을 하거나 폐업을 하면서 백년가게로 갈 수 있는 점포가 많이 없어진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소상공인들이
장인 정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와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뉴스 박영합니다.(끝)
정부가
백년 이상 된 우수 소상공인들을
육성하기 위해 이른바 '백년 가게'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많은 점포들이
생겼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가운데
장인 정신을 지키고 있는
이들을 박영하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남구 도로변에
자리한 삼계탕 가게,
지난 1989년 4월 문을 연 뒤
30년이 넘었습니다.
산지에서 직접 받은 재료와
12가지 한약재를 섞는 조리 비법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부모님의 일손을 돕던
딸과 사위는 십여년 전부터
가업을 물려 받았습니다.
[인터뷰]
송동익/'00 삼계탕' 운영
"그때와 지금 맛이 변함없이 꾸준하다는
말씀을 해 주시고, 매일 하니까 언제나
와도 원할 때 오시면 삼계탕을 드실 수
있다는 말씀을 해 주실 때 보람됨을 느끼고 있습니다."
남구 야음시장에 위치한
이 식육점도 1989년 부터
30년 이상 영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질좋은 한우와 돼지고기를
직접 발골한 뒤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고 있어 고객들의 평이 좋습니다.
[인터뷰]
서범식/최복숙 ('서창 식육점' 운영)
"고기를 섞어 판다든지, 수입 고기를 속여 판다든지..우리는 그런 거 생각을 안 해 봤습니다. 또 열심히 하다보니까 소비자들도 그런 걸 아시고 찾아주시니까 자신감도 생기고..."
이 점포들은
울산중소벤처기업청으로부터
올해 '백년 가게'에 선정됐습니다.
'백년 가게'는
백년 이상 존속할 수 있는 우수 소상공인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해 도입한
제돕니다.
선정된 업체는
맞춤형 컨설팅과 보증*금리 우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백년가게는
30년 이상 영업을 해온 음식점 또는 도*소매업 가운데 연매출 10억 이하인 곳이 대상이며, 평가를 통해 선정됩니다.
일본에는
백년 넘는 전통기업이
3만 3천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울산의 '백년가게'는 현재 4곳,
전국적으로도 210곳에 불과합니다.
[녹취]
윤석철/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울산센터장
"재개발되면서 기존에 있던 가게들이 이전을 하거나 폐업을 하면서 백년가게로 갈 수 있는 점포가 많이 없어진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소상공인들이
장인 정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와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뉴스 박영합니다.(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역의 백년가게 "장인정신 지킨다"
-
- 입력 2019-11-30 23:18:34
- 수정2019-11-30 23:18:59

[앵커멘트]
정부가
백년 이상 된 우수 소상공인들을
육성하기 위해 이른바 '백년 가게'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많은 점포들이
생겼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가운데
장인 정신을 지키고 있는
이들을 박영하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남구 도로변에
자리한 삼계탕 가게,
지난 1989년 4월 문을 연 뒤
30년이 넘었습니다.
산지에서 직접 받은 재료와
12가지 한약재를 섞는 조리 비법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부모님의 일손을 돕던
딸과 사위는 십여년 전부터
가업을 물려 받았습니다.
[인터뷰]
송동익/'00 삼계탕' 운영
"그때와 지금 맛이 변함없이 꾸준하다는
말씀을 해 주시고, 매일 하니까 언제나
와도 원할 때 오시면 삼계탕을 드실 수
있다는 말씀을 해 주실 때 보람됨을 느끼고 있습니다."
남구 야음시장에 위치한
이 식육점도 1989년 부터
30년 이상 영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질좋은 한우와 돼지고기를
직접 발골한 뒤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하고 있어 고객들의 평이 좋습니다.
[인터뷰]
서범식/최복숙 ('서창 식육점' 운영)
"고기를 섞어 판다든지, 수입 고기를 속여 판다든지..우리는 그런 거 생각을 안 해 봤습니다. 또 열심히 하다보니까 소비자들도 그런 걸 아시고 찾아주시니까 자신감도 생기고..."
이 점포들은
울산중소벤처기업청으로부터
올해 '백년 가게'에 선정됐습니다.
'백년 가게'는
백년 이상 존속할 수 있는 우수 소상공인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해 도입한
제돕니다.
선정된 업체는
맞춤형 컨설팅과 보증*금리 우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백년가게는
30년 이상 영업을 해온 음식점 또는 도*소매업 가운데 연매출 10억 이하인 곳이 대상이며, 평가를 통해 선정됩니다.
일본에는
백년 넘는 전통기업이
3만 3천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울산의 '백년가게'는 현재 4곳,
전국적으로도 210곳에 불과합니다.
[녹취]
윤석철/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울산센터장
"재개발되면서 기존에 있던 가게들이 이전을 하거나 폐업을 하면서 백년가게로 갈 수 있는 점포가 많이 없어진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소상공인들이
장인 정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와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뉴스 박영합니다.(끝)
-
-
박영하 기자 ha93@kbs.co.kr
박영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