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치 몇 번에 한 끼 해결이 ‘대세’…월 이용액 첫 1조 원 돌파
입력 2020.01.02 (18:01)
수정 2020.01.02 (18: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 속 '배달 앱'으로 익숙하게 음식을 주문하죠.
이런 식의 '음식 서비스' 이용 규모가 사상 처음 한 달에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전체 온라인 쇼핑 시장 상승세를 이끌 정도로 대세가 됐습니다.
박예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식이 생각날 때 휴대전화를 꺼내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열어보는 것.
젊은 세대에게는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노현지/경기도 하남시 : "앱 한번 확인해서 할인을 받으면 좋은 거니까, 요일마다 이벤트도 있고 해서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음식점 입장에서도 이런 수요를 무시할 수 없다 보니 커피 한 잔을 팔더라도 참여하는 분위기입니다.
[박찬환/커피전문점 운영 : "대세라고 생각하고 앞으로 시장이 더 커질 것 같고 매출 증대에도 도움이 될 것 같기도 해요."]
이렇게 커진 온라인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지난해 11월 한 달만 약 1조 2백억 원.
1년 전보다 정확히 두 배로 늘어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할인 등 여러 가지 혜택이 있는 데다, 간편식, 배달식을 선호하는 문화가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음식 서비스 외에 화장품, 음 식료품의 온라인 거래액도 30% 안팎으로 급증했습니다.
이러면서 전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2조 7천5백억 원으로 20% 늘며 월간 거래액 최고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전체 소매 판매 가운데 온라인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도 23.1%까지 높아졌습니다.
[양동희/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 : "(온라인쇼핑은)전년 동월 대비로 17% 이상의 증가가 매월 계속 이루어지고 있고요, 특히 (11월에) 총 거래액, 모바일 거래액, 소매판매 대비 비중이 이러한 결과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 가운데 모바일 쇼핑 비중이 66%로 손안에서 이뤄지는 거래가 전체 시장을 좌우하는 흐름이 갈수록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 속 '배달 앱'으로 익숙하게 음식을 주문하죠.
이런 식의 '음식 서비스' 이용 규모가 사상 처음 한 달에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전체 온라인 쇼핑 시장 상승세를 이끌 정도로 대세가 됐습니다.
박예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식이 생각날 때 휴대전화를 꺼내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열어보는 것.
젊은 세대에게는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노현지/경기도 하남시 : "앱 한번 확인해서 할인을 받으면 좋은 거니까, 요일마다 이벤트도 있고 해서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음식점 입장에서도 이런 수요를 무시할 수 없다 보니 커피 한 잔을 팔더라도 참여하는 분위기입니다.
[박찬환/커피전문점 운영 : "대세라고 생각하고 앞으로 시장이 더 커질 것 같고 매출 증대에도 도움이 될 것 같기도 해요."]
이렇게 커진 온라인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지난해 11월 한 달만 약 1조 2백억 원.
1년 전보다 정확히 두 배로 늘어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할인 등 여러 가지 혜택이 있는 데다, 간편식, 배달식을 선호하는 문화가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음식 서비스 외에 화장품, 음 식료품의 온라인 거래액도 30% 안팎으로 급증했습니다.
이러면서 전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2조 7천5백억 원으로 20% 늘며 월간 거래액 최고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전체 소매 판매 가운데 온라인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도 23.1%까지 높아졌습니다.
[양동희/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 : "(온라인쇼핑은)전년 동월 대비로 17% 이상의 증가가 매월 계속 이루어지고 있고요, 특히 (11월에) 총 거래액, 모바일 거래액, 소매판매 대비 비중이 이러한 결과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 가운데 모바일 쇼핑 비중이 66%로 손안에서 이뤄지는 거래가 전체 시장을 좌우하는 흐름이 갈수록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터치 몇 번에 한 끼 해결이 ‘대세’…월 이용액 첫 1조 원 돌파
-
- 입력 2020-01-02 18:03:32
- 수정2020-01-02 18:27:06

[앵커]
요즘,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 속 '배달 앱'으로 익숙하게 음식을 주문하죠.
이런 식의 '음식 서비스' 이용 규모가 사상 처음 한 달에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전체 온라인 쇼핑 시장 상승세를 이끌 정도로 대세가 됐습니다.
박예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식이 생각날 때 휴대전화를 꺼내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열어보는 것.
젊은 세대에게는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노현지/경기도 하남시 : "앱 한번 확인해서 할인을 받으면 좋은 거니까, 요일마다 이벤트도 있고 해서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음식점 입장에서도 이런 수요를 무시할 수 없다 보니 커피 한 잔을 팔더라도 참여하는 분위기입니다.
[박찬환/커피전문점 운영 : "대세라고 생각하고 앞으로 시장이 더 커질 것 같고 매출 증대에도 도움이 될 것 같기도 해요."]
이렇게 커진 온라인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지난해 11월 한 달만 약 1조 2백억 원.
1년 전보다 정확히 두 배로 늘어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할인 등 여러 가지 혜택이 있는 데다, 간편식, 배달식을 선호하는 문화가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음식 서비스 외에 화장품, 음 식료품의 온라인 거래액도 30% 안팎으로 급증했습니다.
이러면서 전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2조 7천5백억 원으로 20% 늘며 월간 거래액 최고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전체 소매 판매 가운데 온라인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도 23.1%까지 높아졌습니다.
[양동희/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 : "(온라인쇼핑은)전년 동월 대비로 17% 이상의 증가가 매월 계속 이루어지고 있고요, 특히 (11월에) 총 거래액, 모바일 거래액, 소매판매 대비 비중이 이러한 결과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 가운데 모바일 쇼핑 비중이 66%로 손안에서 이뤄지는 거래가 전체 시장을 좌우하는 흐름이 갈수록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 속 '배달 앱'으로 익숙하게 음식을 주문하죠.
이런 식의 '음식 서비스' 이용 규모가 사상 처음 한 달에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전체 온라인 쇼핑 시장 상승세를 이끌 정도로 대세가 됐습니다.
박예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식이 생각날 때 휴대전화를 꺼내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열어보는 것.
젊은 세대에게는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노현지/경기도 하남시 : "앱 한번 확인해서 할인을 받으면 좋은 거니까, 요일마다 이벤트도 있고 해서 자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음식점 입장에서도 이런 수요를 무시할 수 없다 보니 커피 한 잔을 팔더라도 참여하는 분위기입니다.
[박찬환/커피전문점 운영 : "대세라고 생각하고 앞으로 시장이 더 커질 것 같고 매출 증대에도 도움이 될 것 같기도 해요."]
이렇게 커진 온라인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지난해 11월 한 달만 약 1조 2백억 원.
1년 전보다 정확히 두 배로 늘어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할인 등 여러 가지 혜택이 있는 데다, 간편식, 배달식을 선호하는 문화가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음식 서비스 외에 화장품, 음 식료품의 온라인 거래액도 30% 안팎으로 급증했습니다.
이러면서 전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2조 7천5백억 원으로 20% 늘며 월간 거래액 최고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전체 소매 판매 가운데 온라인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도 23.1%까지 높아졌습니다.
[양동희/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 : "(온라인쇼핑은)전년 동월 대비로 17% 이상의 증가가 매월 계속 이루어지고 있고요, 특히 (11월에) 총 거래액, 모바일 거래액, 소매판매 대비 비중이 이러한 결과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온라인 쇼핑 가운데 모바일 쇼핑 비중이 66%로 손안에서 이뤄지는 거래가 전체 시장을 좌우하는 흐름이 갈수록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
-
박예원 기자 air@kbs.co.kr
박예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